View : 56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옥순-
dc.contributor.author석미정-
dc.creator석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2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1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2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162-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quo fir the administration and the reference service activities and to find our the barrier factors in the management of the Reference/Information Service Department in the domestic Academic Librarie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for the current trends in the Academic Libraries Reference Service. This study is also intended for the utilization of the desirable administration plan for the future operation in the Academic Librari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us quo on the practical basis data. This study was performed basically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along with field survey by menas of the questionaire, interview and observation. The literature research was studied for the theory of background and current trends about desirable administration of the Academic Libraries Reference/Information Service Department and the status quo of the department administration was also reviewed. As a survey research, Reference Librarians working at reference and periodical room in twenty four universities in Seoul area were reviewed by questionaire and interview. The questionaire were made out with two parts of A and B. For the questionaire A for the Reference Librarians, twenty two universities(91.6%) out of twenty four gave responce while questionaire B, for the Under-titled Reference Librarians, were responded by fifty librarians (79.3%) out of sixty three. The brief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status quo is as follows; 1. As the name of the department "The Reference Room" is mostly preferred and 40.9% of the Libraries were operating them as General Reference room. Only six Libraries located the Reference Room considering the point for the user's service. 2. Only three Libraries were equipped with separated de나 and two with separated spaces in the Reference Room for the user's reference interview. 3. the operating time of the Reference service Department is mostly 09:00 to 18:00 in weekdays and 09:00 to 13:00 on Saturday. 4. Regarding to the Reference Collection Size, only eight Libraries were equipped with 10,000 vol. to 15,000 vol. and only one Library with over 30,000 volumes. 5. Five Libraries are keeping Written materials Selection policy and ten Libraries are keeping Written the Weeding materials policy. 6. Most of the Reference Librarians (56%) working at Academic Libraries are young generations with Bachelor's Degree and about 90% of them are Certified Librarians and one half of them had been worked for under two years as a Reference Librarian. Participating in publication activities or in professional association as a professional worker were very low. The major subject performed well by them was the fields of Social Science. 7. their assignment rate for the Direct Reference Services to the users did not exceed 25% in most of them. 8. In services. Professional services such as Reference Service were not well performed while the Library Orientation is the main subject for the method of the library instruction. Only a few Libraries are keeping the bibliography or index or are maintaining information file for the materials. Any Co-operative planing for the Interlibrary loan Program was not found at all. On-line Searching System was adopted in seven Libraries, however, the utilization of the facility was very low. 9. the method of getting feedback and evaluation of the activities were mostly relyed on the enumeration and dairy sheets. With the view of the abov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concluded as follows. Frist, the major barrier factors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Reference/Information Service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n Seoul area were revealed in the Facilities, Material Collection and Reference Librarians. Second, the location of the Reference Room should be assigned considering for the view of service point. Third, the operating time of the Department should be extended than the present operating time. Forth, Written policy for the Material Selection and Weeding should be established. Fifth, Subject specialists suitable for our educational circumstances should be trained and reserved for. Sixth, the instruction of the library utiliz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faculty liaision should be intensified. Seventh, Utilization for nonprofessional manpower should be effectively developed. Finally, the Inter-library Loan NETWORK in adjacent universities should be constructed for the Inter-library Co-operation Program.;본 연구는 최근 대학도서관에서 이루어 지는 참고서비스의 동향에 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도서관의 참고서비스 부서의 운영현장과 서비스 활동을 알아보고, 운영 및 관리상의 저해요인을 분석하는데 주요목적이 있다. 또한 실태파악을 통해 바람직한 미래의 운영을 계획하는데 필요한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질문지와 면담 그리고 관찰을 통해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조사는 대학도서관 참고/정보서비스의 바람직한 운영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함께 최근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부서 운영의 현황을 조사한 문헌도 함께 검토하였다. 현황조사는 서울시내 24개 종합대학을 선정하여 참고실 및 정기간행물실에서 참고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에게 질문지를 배포함과 동시에 면담을 실시하였다. 질문지는 2가지로 구분, 질문지A는 업무 담당자가 대표로 1부 작성하는 것으로 24부가 배포되어 22부(91.6%)가 회수되었다. 질문지B는 부서에서 참고사서 63명을 대상으로 배포한 결과 50부(79.3%)가 회수되었다. 현황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부서의 명칭은 참고열람실이란 명칭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조직은 40.9%가 별도의 일반참고열람실로 운영되고 있었다. 서비스 측면을 고려해서 참고실을 배치한 곳은 6개관에 불과하다. 2. 이용자 면담을 위한 별도의 데스크를 마련하고 있는 곳은 3개관, 별치사무실을 설치한 곳은 2개관이다. 3. 부서의 운영시간은 평일의 경우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까지가 가장 많고, 토요일은 오전 9시에서 오후 1시까지가 가장 많다. 4. 참고자료의 규모는 10,000권에서 15,000권을 소장한 곳이 8개관이며, 최고 30,000권 이상을 소장한 곳도 1개관으로 나타났다. 5. 참고자료 선정기준을 성문화한 곳은 5개관, 성문화된 폐기정책을 가지고 있는 곳은 10개관이다. 6. 참고업무 사서는 대체로 젊은층이며, 학력을 학사학위 소지자가 응답자의 56%이다. 정사서 자격증 소지자가 90%이며, 이들의 참고사서로서의 근무경력은 2년 이하가 절반이다. 전문직으로서의 저술활동이나 전문단체 가입현황은 저조한 편이다. 이들이 잘 수행할 수 있는 주제분야는 사회과학분야가 대부분이다. 7. 이들의 직접 참고서비스 할애율은 25% 이하가 가장 많았다. 8. 서비스 활동으로는 리퍼럴서비스 같은 전문적 서비스는 제대로 실시되지 못하고, 이용교육의 방법은 오리엔테이션이 주종이다. 서지나 색인을 작성하고 또는 인포메이션 파일을 유지하는 곳은 소수에 불과하다. 도서관 상호대차를 위한 협력안은 전혀 없는 상태이다. 온라인 탐색을 실시하는 곳은 7개관이나 이용률은 저조하다. 9. 서비스의 피이드 백을 얻고 평가를 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수량적인 통계 또는 일지를 작성하는 곳이 대부분이다. 이상의 현황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태조사 결과, 참고부서 시설, 집서. 사서면에서 나타나고 있는 저해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바람직한 개선방법이 고려되어야 하겠다. 둘째, 서비스 측면을 고려하여 참고실 위치가 지정되어야 한다. 세째, 부서의 운영시간을 기존의 시간보다 연장시켜서 운영함이 바람직 하다. 네째, 참고자료의 선정 및 폐기정책이 성문화되어야 한다. 다섯째, 우리의 교육실정에 맞는 주제전문가를 확보하여야 한다. 여섯째, 도서관 이용교육을 강화하고 교수와의 관계를 위한 협력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일곱째, 비전문직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여덟째, 도서관 상호대차를 위한 협력방안으로 인접대학 간에 협력망을 구축하여 도서관간 협력 및 상호대차가 이루어져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4 Ⅱ. 대학도서관 참고/정보서비스의 최근동향과 문제점 = 8 A. 조직 = 8 B. 교육기능 = 11 C. 사서와 교수 및 학생과의 관계 = 18 D. 요구정보의 탐색방법 = 22 E. 비전문직의 활용 = 25 F. 선행연구 = 29 Ⅲ.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참고/정보서비스 부서의 운영현황 = 38 A. 참고/정보서비스 부서 = 40 B. 참고집서 = 46 C. 참고사서 = 55 D. 참고서비스 활동 = 69 Ⅳ. 요약 및 결론 = 82 참고문헌 = 88 부록1. 대학도서관 참고/정보서비스 부서의 운영현황에 관한 조사 = 97 부록2. 면담용 체크리스트 = 113 부록3. 조사한 대학교 = 114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380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대학도서관-
dc.subject참고-
dc.subject정보서비스 부서-
dc.subject운영-
dc.title대학도서관 참고, 정보서비스 부서의 운영에 관한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내 종합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DMINISTRATION OF THE REFERENCE : INFORMATION SERVICE DEPARTMENT IN ACADEMIC LIBRARIES-
dc.creator.othernameSuk, Mi Jung-
dc.format.pagex,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서관학과-
dc.date.awarded1989.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