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필화-
dc.contributor.author홍승아-
dc.creator홍승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8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2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2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275-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여성노동의 사회적 존재형태 및 그것의 관계에 대하여 이론적, 경험적인 논의를 통하여 살펴보려고 한다. 필자는 두가지 문제제기로부터 시작하였다. 그 하나는 여성노동을 연구하는데 있어서의 방법론적인 문제이며, 다른 하나는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실제 기혼여성노동자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노동생활을 살펴보는 문제이다.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먼저 서론에서는 최근의 여성노동시장내 기혼여성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과, 다시 이 현실의 이면에는 이들이 최하위의 노동력으로 불이익, 제한적 위치를 감수하는 노동생활을 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이 문제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분석이 필요함을 문제제기하였다. Ⅱ장에서는 연구의 배경으로서, 최근의 노동시장구조의 변화추세 속에서 20대후반과 30대 연령층의 기혼여성들이, 제조업내에서도 식료품, 의복, 고무제품, 전기전자, 조립금속 등의 업종에서 증가하고 있는 사실을 통계자료를 통하여 발견하였다. 또한 사례분석의 전제적인 논의를 구성하는 Ⅲ장에서는, 성별분업을 중심개념으로 하여 여성노동의 사회적 존재형태를 살펴보았다. 성별분업은 불평등한 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사회구성원리로 존재하여, 전체사회를 노동시장과 가정으로 기본적으로 분리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속에서 여성노동은 사회적 노동과 (광의의)가사노동이라는 두가지 형태로 수행되고 있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가정으로 대표되는 재생산영역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재생산의 개념정리와 이 중에서도 자본주의생산양식하 노동력재생산이 갖는 사회적 관계를 보다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동시에 이 노동력재생산노동을 담당하는 성이 남성이 아닌 여성이라는 문제에 다시 주목하여 자본주의생산양식하 성별분업에 의해 여성에게 부과되는 '이중노동'의 본원적인 존재형태 및 그 성격에 대하여서도 이론적으로 규명해 보았다. 요컨대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여성노동의 사회적 존재형태는 노동시장과 가정에서 각각 임노동과 노동력재생산노동으로 수행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상의 기본정리 위에서, Ⅳ장에서는 소규모의 사례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기혼여성노동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확인된 사실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우선, 기혼여성의 임노동은 저임금, 장시간노동이라는 일반적인 우리나라 노동문제에 대하여 무기술과 노동단절이라는 특수한 제한성을 띠고 있었다. 그런데 기존의 논의에서는 이러한 문제를(성별, 혼인상태별 요인에 기반한)자본의 노동력차별화라는 설명으로 일차적으로 제시가 되고 있으나, 이 논문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자본의 노동력차별이 가능하게 실현될 수 있는 과정을 성별분업논리를 통하여 분석해보았다. 또한 제한적인 노동생활은 가정내 노동력재생산노동에도 나타나고 있다. 이를 세대적 노동력재생산노동(자녀양육)의 방치, 혹은 일상적 노동력재생산노동(협의의 가사노동)의 최소화의 현상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결국 현재와 같은 이중노동의 상황에서는 기혼여성의 임노동참가는 지극히 불안정한 노동생활로 유지될 수 밖에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요컨대 여성억압과 차별의 악순환을 야기시키는 하나의 고리가 임노동이며, 또 하나의 고리가 노동력재생산노동이어서, 이 둘은 서로 매개고리가 되어 다시 악순환을 유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노동력재생산노동이 가사노동의 형태하에 사적으로 남아있는 한 가정 밖에서의 동등한 노동참가는 여성해방의 불충분한 전제조건이 될 뿐이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고, 여성노동의 종합적인 재구성을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연구의 제한점을 지적하고 이후 연구에 대한 제안을 첨가함으로써 끝맺음하였다.;This paper aims to study the social aspects of women's labour and its relationship through theoretical and empirical discussions. In doing so, I started it from bringing up two questions on this subject. The one is on the methodological problem in dealing with the women's labour, the other is on the concrete/practical working life of married women workers through the case analysis. Keeping these in mind, the main content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Introduction, the present situation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in the women's labour market was observed with pointing out the problems caused by the fact that women labourers are ready to suffer from disadvantages and restricted status as the lowest labour power behind this hard fact. And the necessity of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on this subject was mentioned. In the Chapter Ⅱ, as a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recent trend in the structure of labour market found by the analysis of statistics was stated: i.e., in recent years, married women in their late 20's and 30's are increasingly employed by the manufactures such types of industry as food-stuff, clothing, rubber goods, electric machinery, metal assembling, etc., in particular. And in the Chapter Ⅲ consisted of a prerequisite discussion for the case analysis, the social aspects of being women's labour were surveyed centering around the concept of sexual division of labour. The sexual division of labour is existed as an important principle of social components which makes the sex unequal in this society, and it basically divides the whole society into labour market and family. Within these categories women's labour is carried out by the two types - social labour and (in broad meaning) domestic labour. Particularly, in this paper, the conceptualization of reproduction in the present situation was attempted, while the area of reproduction represented by family is not systematically well established yet. Moreover, the social relations of the reproduction of labour under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were intensively analyzed. At the same time, noticing the fact that the sex who is in charge of the reproduction labour for labour power is not men but women, this paper is trying to find out theoretically the essential aspect of being in existence of the "dual labour" imposed on women and it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exual division of labour under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In short, through this process, it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social aspects of women's labour are existing as the types of wage labour and reproduction labour for labour power in the labour market and their home respectively. Founded on the above basic discussion, in the Chapter Ⅳ, the married women's labour was analyzed with the case studies on a small scale. As the result, the following were found out: First, the wage labour of married women was marked by the specific restrictions of unskilled and discontinued labour in addition to the general problems of our country of low wage and long time labour. In this case, the existing arguments explain this problem as the discrimination of labour power by the capital based on the factors of sex and marital status. But in this parer the aspects were more analyzed in detail through the theory of sexual division of labour about the process which can actualize the discrimination of labour power of the capital more concretley. The restricted working life of women is found in the reproduction of labour at home as well. This was surveyed through the phenomena of minimizing the daily reproduction labour for labour power (in the narrow meaning, domestic labour) or abandoning the generational reproduction for labour power (child rearing). Through this study, the fac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tion in wage labour of married women is maintaining in extremely unstable working life in this circumstance of "dual labour". In a word, one ring which lead to the vicious cycle of the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of women is wage labour and the other ring is reproduction labour for labour power. Both rings are interacted as a medium each other, therefore the vicious cycle is maintained continuously. In the Conclusion, the above discussions were summarized and the synthetic reconstruction of women's labour was attempt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were ad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범위 및 논문구성 = 5 Ⅱ. 여성노동시장의 구조변화 : 기혼여성노동의 증가 = 7 A. 연령별 노동시장의 변화 = 7 B. 혼인상태별 노동시장의 변화 = 9 C. 산업별 노동시장의 변화 = 12 D. 기업규모별 여성취업현황 = 17 E. 기혼여성노동자의 참가형태 = 20 Ⅲ. 이론적 배경 = 25 A. 성별 분업에 대한 기본정리 = 25 1. 성별분업의 정의 = 25 2. 성별분업의 기본원리 = 29 3. 성별분업의 적용구조 = 29 가. 생산영역에서 (사회) = 30 나. 재생산영역에서 (가정) = 31 B. 성별분업에 의한 여성노동의 두가지 형태 = 32 1. 생산영역에서의 여성노동 = 33 가 성별직업분리 (Job Segregation by Sex) = 33 나. 저임금군의 선호집단 = 35 2. 재생산영역에서의 여성노동 = 39 가. 재생산 개념의 정리 = 39 나. 노동력 재생산노동 = 42 C. 자본주의 생산양식하 노동력재생산과 성별분업 = 46 1. 노동력의 일상적 재생산 = 48 2. 노동력의 세대적 재생산 = 50 3. 성별분업과 노동력재생산 = 52 4. 소결 = 56 Ⅳ. 기혼여성노동의 실태 및 분석 = 58 A. 연구방법 = 58 B. 노동시장내 여성노동 = 62 1. 임금 = 62 2. 노동시간 = 71 3. 노동기술 (skill) = 75 4. 노동단절 = 80 C. 가정영역내 여성노동 = 85 1. 세대적 노동력재생산노동 : 자녀양육 = 86 2. 일상적 노동력재생산 : 가사노동 = 93 3. 가족지향성 (familial orientation) = 102 Ⅴ. 요약 및 결론 = 105 자료 및 참고문헌 = 112 Abstract = 12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360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여성노동-
dc.subject존재형태-
dc.subject생산직-
dc.subject기혼여성노동자-
dc.subject.ddc300-
dc.title여성노동의 사회적 존재형태 및 그 성격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생산직 기혼여성노동자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social aspects of women's labour and their characteristics : with emphasis on the case analysis of married women labourers-
dc.format.pageix, 1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