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朴利甲-
dc.contributor.author李貞燁-
dc.creator李貞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8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2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2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269-
dc.description.abstractThe protein creatinine ratio in random urine samples was compared with the protein excretion of urine for 24 hours in patients with abnormal proteinuria an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creatinine ratio and total protein excretion for 24 hours was highly significant (r=0.948 - 0.955). 2. The protein creatinine ratio was lower in the majority of urine samples produced during the period of recumbency than in those collected during the active daytime hours. 3. If the protein creatinine ratio is 3.5 in random urine sample the probability in which 24 hour urinary protein excretion is larger than 3.5g/1.73㎡ is 65% in group A, 60% in group B, 60% in group C, 57% in group D and 66% in group E. The author suggests that in the presence of stable renal function, the determination of the protein creatinine ratio when properly interpreted can replace the total urine collection for 24 hours in the clinical quantitation of proteinuria.;단백뇨는 임상에서 흔히 관찰되며 계속되는 단백뇨는 비록 소량일지라도 신장질환이 있음을 의미한다.(Abu, 1983) 단백뇨의 정량방법으로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24시간 뇨를 수집하여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나 이 방법은 장시간을 요하며, 불편하고, 수집 및 측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 Robinson, 1980 ; Ginsberg 등 1983,a). Ginsberg등(1983, b)은 한번 배뇨한 소변에서 단백질/크레아티닌 비를 측정함으로써 24시간 뇨의 단백질량을 예측할 수 있다고 보고 하였다. 저자는 30예의 단백뇨 환자에서 일정 시간대에 한번 배뇨한 소변에서 측정한 단백질/크레아티닌 비와 24시간 뇨의 단백질량과의 관계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각 시간대별로 한번 임의로 배뇨한 소변에서 측정한 단백질/크레아티닌 비와 24시간 뇨의 단백질량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r= 0.948∼0.955) 2. 임의로 수집한 소변 중 앙와위 시에 수집한 소변에서 측정한 단백질/크레아티닌 비는 낮에 활동하는 시간에 수정한 소변에서 측정한 단백질크레아티닌 비보다 적었다. 3. 임의로 수집한 소변에서 측정한 단백질크레아티닌 비가 3.5 인 경우 24시간 뇨에 배설되는 단백질량이 3.5g/1.73㎡이상일 확률은 A군에서는 65%, B군에서는 60%, C군에서는 60 %, D군에서는 57 %, E군에서는 66% 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Ⅲ. 관찰 성적 = 5 1. 일정 시간대에 임의 수집한 소변의 단백질/크레아티닌 비와 24시간뇨의 단백질량과의 관계 = 5 2. 임의 수집한 뇨의 체위변경에 따른 단백질/크레아티닌 비의 비교 = 5 3. 임의 수집한 뇨의 단백질/크레아티닌 비에 따른 24시간뇨의 단백질량이 3.5g/1.73㎡ 이상이 될 확률 = 5 Ⅳ. 고찰 = 14 Ⅴ. 결론 = 16 REFERENCES = 17 ABSTRACT = 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73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단백뇨 환자-
dc.subject소변-
dc.subject단백질-
dc.subject크레아티닌-
dc.subject.ddc600-
dc.title단백뇨 환자에 있어서 임의 수집한 소변의 단백질-크레아티닌 비의 의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SSESSMENT OF PROTEINURIA USING PROTEIN CREATININE RATIO IN RANDOM URINE SAMPLES-
dc.creator.othernameRhee, Choung Youp-
dc.format.pagev, 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