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3 Download: 0

최승희와 신무용의 고찰

Title
최승희와 신무용의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CHOI, SEONG HEE'S DANCE
Authors
송혜영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최승희신무용현대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매자
Abstract
Both theatrical performance and theoretical study, the realm of present-day Korea Dance show a marked trend toward quantitative and qualitive increment. But the epoch of shinmuyong, a historical upheaval under the Japanese rule has been be negligent to this day. Accordingly, Choi, Seong Hee has neglectedin estimation about her , even she was the pioneer of Shinmuyong and Pre-eminent dancer over our country during that time. That reason is that a natinal humilitation by colonialization was mixed up a special political situation. The intention of this research,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of our dance hisory, especially in the 1930s, through study of Choi, Seong Hee who was the symbol of that date. First of all, the concept and the peculiarity of Shinmu-yong were refered. The study of the life, work, and view of art of Choi, Seong Hee was also given. Based upon these consideration, I want to go deep into the study of correlation about the Shinmuyong and the Modern Dance of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affirmative points, Choi as a matchless dancer during the epoch of Shinmuyong builds up new dance style, which was a compromise between Western style and Korean hue. On the other hand, in negative points, she made fall into confusion Dance native to Korea in the beginning of development on the stage by her superficial view of traditional aesthetics and partial appropriation of convential dance techniques. In all sense, Choi, Seong Hee had agre at influence on Shinmuyong. Such as pecial condition of Modern Dance was connected continuously by the Shinmuyong of Korea. In this study, Korean Dance at turning point, the 1930s, through the objective study of Choi, Seong Hee was discussed this work form the foundation for future of Korean Modern Dance.;1930년대는 한국 근대 무용사에 있어서 현대적 예술 무용으로서의 근대무용이 선보인 시기이자 전통을 근거로 하는 창작춤이 극장무대로 진출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최승희는 바로 그 시기를 대표하는 무용가였으나 지금까지 학문적 논의의 대상에서 제외되어온 것이 통례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최승희의 구체적인 면모와 신무용기의 특질을 연관ㆍ고찰하여 근대 무용사 이해의 또 다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도하에 그 방법으로는 II장에서 신무용의 본질과 특수성, 그 개념을 재정립하고 III장에서는 최승희의 생애와 공연활동, 작품해석을 근거로 최승희 예술세계의 구체적 면모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레파토리 분석을 통한 작품 경향상의 특징 규모에 주력하였다. 또한 IV장에서는 전통과 신무용 한국 현대춤을 비교함으로써 최승희 춤에 내재된 역사적 연쇄성에의 집약으로 결론을 맺고 있다. 타고난 재능과 뛰어난 감각성으로 20여년간 총42회, 50여작의 창작을 남긴 최승희는 전통춤의 창작화 과정에서 전통 미학적 철학성의 미비라는 취약점에도 불구하고 한국 근대 무용사에 근대 무용으로서의 창작춤과 한국적 신무용이라는 독특한 쟝르를 개척했음이 연구 결과 나타났으며, 동서양의 상반된 춤을 하나의 독자적 스타일로 구성하고자 했던 최승희의 시도는 그야말로 진보적인 선구성을 띠었고, 동양적 orientalism을 구축하고자 했던 최승희춤의 영향은 신무용과 한국 현대춤의 연쇄성이라는 면에서 볼 때 작용과 반작용이라는 상호모순적 양면성으로 연결되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