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0 Download: 0

Tapestry를 통한 조형적 형상 추구

Title
Tapestry를 통한 조형적 형상 추구
Other Titles
(The) Search for the Formative Image through the Tapestry : on the Basis of Making Works
Authors
정학용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Keywords
Tapestry조형형상작품제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옥희
Abstract
섬유가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예술적 매체로서 새롭게 인식되면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섬유예술은 빠른 발전과 변혁을 거듭하며 현대 조형예술의 중요한 한 영역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렇듯 섬유예술이 다른 분야의 예술 개념에 신선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었던 것은, 색채 (colour), 형태(pattern), 질감(guality) 장력(tension) 등의 내적 요소와 공간(space), 광선(light) 등의 외적 요소가 조화되어 총체적 조형예술로 승화되는 섬유 자체가 지닌 속성에 기인한다. 본 논문에서는 섬유 재료 자체의 재질적 요소와 결합하여 보다 높은 예술 차원으로 이끌어주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조형적 공간 개념에 촛점을 맞추어 Tapestry의 조형적 형상의 추구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Tapestry 평면에서의 시각적 공간 확대를 유도하는 부조적 형태의 작품을 통하여 조형적 공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얻고자 하였다.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근원에서부터 출발하는 뿌리깊은 삶의 이미지를 형상화하기 위하여 뿌리와 인연·맥의 정서에 부합되는 거친 마사를 중심 소재로 삼았고, 평면 공간을 활용하여 주어진 화면에 삶의 깊이와 영원성을 부여하려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작품 제작과 연구 과정 결과, 섬유란 조형적 행위가 진행되는 전 과정을 통하여 직접 예술가의 촉각과 접촉되면서 미적영감을 교류하는 특성을 수반하기 때문에 특히 작가의 섬세한 인내가 요구되며, 내면적 정신 공간과 표현적 조형 공간이 조화되어 예술적 공감대로 형성되기 위하여는 표현재료에 대한 전폭적인 이해와 작업 행위에 있어서의 다각적 연구 및 실험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한편 더욱 다양한 신소재와 기법 개발의 필요성이 인지되고 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는 현 시점에서 섬유작가로서 취하여야 할 입장은, 섬유예술의 기존 개념에서 탈피한 열려진 시각으로 끊임없는 실험적 접근 방법을 시도하는 일이며, 적극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조형활동에 동참하게 될 때 진정한 의미에서의 섬유예술의 정착이 이루어진다고 본다.;Since fiber was newly recognized as a media which has unlimited potentiality for art, fiber art has been developed rapidly. Now fiber art occupies and important field in modern formative arts and can give a fresh stimulus to other fields of arts. It is due to its own characteristic that its internal factors such as colour, pattern, quality, and tension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space and light can be harmonized into a whole formative art.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concept of formative space which plays a decisive role in combining the quality of fiber with external factors to make the art image stronger. Therefore, I pursued the new recognization of the formative space which expands the visual experience. The rough material used for the works, hemp is right material, I feel, to symbolize the image of "life", or the profundity and eternity of "life". Through this research, it requires persistent experiment for the artist to achieve the harmony of internal spirit and external formative space by touching the works. In conclusion, experimental approaches on diverse materials and techniques with open mind should be needed to achieve further progress for the field of fiber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