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3 Download: 0

입원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 스트레스 및 건강통제위 성격간의 관계연구

Title
입원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 스트레스 및 건강통제위 성격간의 관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LOCUS OF CONTROL, PERCIEVED FAMILY SUPPORT, AND PERCIEVED STRESS IN THE HOSPITALIZED PATIENTS
Authors
김금자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학과
Keywords
입원환자가족지지스트레스건강통제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영희
Abstract
Aside from the physical stress of illness itself, hospitalization which may result in psychologic stress leads to many changes in daily life and activities. Accordingly hospitalized patient has an experience of psychologic stress due to the dyanamic uneguilibrium between the individuals and the unfamiliarity of surroundings. In this hospital admission situation, Health Locus of Control and primary family support of social support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reduce psychologic stress of hospitalized patients and to help them effective adap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ree variables, the trait of Health Locus of Control, percieved family support and percieved stress. After that, analyse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in the hospitalized patients and consider the important variables to be anticipated in order to reduce the hospital stress and to obtain the effective adaptation for the patients. Some of these outcomes in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e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10 patients who were inpatients for a month in medical and surgical department at General Hnspital located in Chonju city, Chonbuk.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March 12th to April 11th, 1987 by means of guestionaires and interview.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developed by Wallston & Wallston(1978). Family Support Scale developed by Kang(1984), and Hospital Stress Rating Scale developed by Volicer(1975). Analysis of data was analyzed by use of percentage, mea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rized as follow ; 1. Results of hypothesis test. A) The first hypothesis;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of hospitalized patients, the lower the perceived level of hospital stress" was rejected. (r=-.1027, P>.05) B) The Second hypothesis ; "The higher the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of hospitalized patients, the higher the perceived level of hospital stress" was rejected. (r=.0166, p>.05) C) The third hypothesis ; "The higher the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of hospitalized patients, the higher the perceived level of hospital stress" was accepted.(r=.1802, P<.05) D) The fourth hypothesis ; "The higher the level of family support of hospitalized patients, the lower the perceived level of hospital stress" was accepted. (r=-.2790, p<.05) E) The fifth hypothesis;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of hospitalized patients, the higher the perceived level of family support" was accepted. (r=.2814, p<.05) 2. Gener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level of perceive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was educational beckground. (p<.0.5) 3. Gener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level of perceived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were ages,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p<.05) 4. Gener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level of perceive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were age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arital status. (P<.05) 5. Gener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level of perceived family support were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p<.05) 6. Gener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level of perceived hospital stress wer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Length of Hospitalization. (p<.O5) 7.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variables predicting the level of perceived hospital stress, Length of hospitalization, educational background, perceived family support , perceive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accounted for 22% of the hospital stress and the orders of significance of variables. The largest estimation of the significant is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the seco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third,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the last, perceive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The means that other factors appear to influence at the perceived hospital stress, since the combination of variables explains only 22% of the perceived hospital stress. Therefore further study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the perceived hospital stress i s necessary. In Conclusion, variables influencing the level of perceived hospital stress were health locus of control and family support of hospitalized patient. Therefore, Variables such as health locus of control and family support must be included in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the hospital stress and to help the hospitalized patients effective adaptation.;입원은 질병자체의 신체적인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매일의 생활과 활동에 있어서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는 여러가지의 변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입원환자는 그 개인과 환경과의 사이에서 평형상태의 혼란으로 생기는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입원상황에서 환자들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효과적인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건강통제위 성격과 사회적지지의 일차그룹인 가족지지는 중요한 개념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입원환자의 건강통제위 성격성향과 가족지지 및 스트레스의 지각정도를 파악하여 각 변수들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입원스트레스에 대한 주요예측요인을 확인함으로서 입원환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효과적인 적응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전주시내에 위치한 1개의 종합병원 내·외과에 입원한 환자로서 선정기준에 의해 유의표출한 110명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87년 3월 12일 부터 4월 11일까지 31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건강통제위 성격 측정도구는 Wallston & Wallston(1978)이 개발한 다차원 건강통제위 척도이고, 가족지지 측정도구는 강(1984)이 개발한 측정도구이며 입원스트레스 측정도구는 Volicer(1975)가 개발한 입원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산술평균,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등의 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검정 결과 a. 제1가설 : "입원환자의 내적건강통제위 성격성향의 정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입원스트레스 지각정도는 낮을 것이다" 는 지지되지 못하였다(r=-.1027, p〉.05). b. 제2가설 : "입원환자의 타인의존성 건강통제위 성격성향의 정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입원스트레스 지각정도는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지 못하였다(r= .0166, p〉.05). c. 제3가설 : "입원환자의 우연성 건강통제위 성격성향의 정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입원스트레스 지각정도는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1802, p 〈.05). d. 제4가설 : "입원환자의 가족지지의 지각정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입원스트레스 지각정도는 낮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2790, p〈.05) e. 제5가설 : "입원환자의 내적건강통제위 성격성향의 정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가족지지 지각정도는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r=.2814, p〈.05). 2. 내적건강통제위 성격성향의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일반적인 제특성은 학력이었다. 즉 학력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3.105, p〈.05). 3. 타인의존성 건강통제위 성격성향의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일반적인 제특성은 연령, 학력, 결혼상태, 직업이었다. 즉 연령별 집단간에, 학력 집단간에, 직업별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결혼상태에서는 결혼한자가 미혼자보다 타인의존성 성격성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F=6.245 P〈.05, F=5.710 p〈.05, t=-2.35 p〈.05, F=2.330 p〈.05). 4. 우연성 건강통제위 성격성향의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일반적인 제특성은 연령, 학력, 결혼상태이었다. 즉 연령별 집단간에, 학력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결혼상태에서는 결혼한 자가 미혼자보다 우연성 건강통제위 성격성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F=3.311 p〈.05, F=2.572 p〈.05, t=-2.16 p〈.05). 5. 가족지지의 지각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일반적인 제특성은 결혼상태, 직업이었다. 즉 결혼한 자가 미혼자보다 가족지지 지각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별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01 p〈.05, F=2.441 P<.05). 6. 입원스트레스의 지각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일반적인 제특성은 학력, 직업, 입원기간 이었다. 즉 학력 집단간에, 직업별 집단간에 그리고 입원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3.602 P〈.05, F=2.138 p〈.05, F=5.825 P〈.05). 7. 입원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입원기간, 학력, 가족지지, 우연성 건강통제위의 제변수들이 입원스트레스를 22%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예측력이 큰 변수는 입원기간이었고 그 다음이 학력, 가족지지, 우연성 건강통제위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4변수 모두를 합하여도 입원스트레스를 22%밖에 설명할 수 없으므로 4변수 외에 다른 요인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다른 요인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입원환자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가족지지는 입원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으며 우연성 건강통제위 성격 성향이 높을수록 입원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높고 가족지지 지각정도가 높을수록 입원스트레스 지각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입원환자의 입원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효과적인 적응을 돕기 위한 간호중재에 건강통제위 성격의 파악과 가족지지가 포함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