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교사의 교육권보장에 관한 연구

Title
교사의 교육권보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Guarantee of the Educational Freedom of the Teacher
Authors
韓銀美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Keywords
교사교육권보장Educational Freedom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尹厚淨
Abstract
敎育을 받을 權利는 人間의 生存을 위한 불가결한 조건이며, 民主政治의 前提이고, 人格形成의 계기로서 그 중요성이 인정된다. 19세기 후반부터 敎育은 私事(private affair)로부터 벗어나 公敎育制度로서 확립되었으며 그에 따라 國家의 關與, 介入이 나타나게 되었다. 특히 제 2차 세제대전 후에는 敎育을 받을 權利가 生存權的 基本權으로 취급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敎育을 받을 權利의 중심은 子女의 敎育權(배울 權利)이라고 할 수 있으며, 子女의 學習權은 敎師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充足될 수 있다. 따라서 國民의 敎育을 받을 權利의 實質的인 充足을 위해서는 敎師의 敎育의 自由가 保障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敎師의 敎育의 自由를 保障할 수 있는 理論構成의 모색이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本論文은 第1章 序論에 이어 第2章에서는 敎育에 대한 一般的 槪念과 敎育制度의 發達過程을 보고 基本權으로서의 意義와 法的性格을 고찰했다. 第3章에서는 敎育權에 관한 理論, 論爭, 특히 日本의 敎育權에 관한 論爭을 다루었다. 國民, 특히 敎師의 敎育權를 인정할 것인가 國家의 敎育內容에 대한 關與를 인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서, 日本의 判例, 學說을 통하여 도출되는 國民敎育權說의 취지에 중점을 두어 살펴 보았다. 第4章에서는 敎師의 敎育權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敎師의 法的 地位를 다루면서 敎師의 自由·權利를 制限하는 理論들을 비판하고, 敎師의 敎育의 自由를 敎育活動에 있어서의 自由라는 면에서 美國, 日本의 判例, 理論을 통하여 고찰했다. 그리고 公敎育制度에 있어서의 國家의 役割을 살펴보았다. 第5章에서는 앞에서 고찰한 諸論理를 전제로 하여 結論的으로 韓國 憲法 및 敎育關係法規上의 基本權을 論하였다. 요컨대, 敎師의 敎育의 自由를 憲法 第21條의 學問의 自由의 規定으로부터 도출하는 입장을 취하면서, 結論的으로 敎師는 敎育活動의 自由를 인정받아야 하며 國家의 介入, 關與는 條件整備의 確立에 限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게 되었다.;The right to education is very important, as it is a basic condition for the servival of mankind, the precondition for the democracy and the opportunity for the formation of personality. After the period of private affair in education, educational system was established on the latter half of 19th century, it caused state's intervention in the public education. The right to education can be regarded as people's right. But the right to learn of children is the most important and it can be satisfied through th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Therefore, the educational freedom of the teacher should be guaranteed for the satisfaction of the right to education of the people. With the above mentioned respects,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hich guarantees the educational freedom of the teacher should be established. The chapter Ⅱ represents general conception, historical process of the educational system, the meaning and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right to education as the fundamental human right. The chapter Ⅲ is related with the argument about the right to education in Japan. It concludes the bilateral aspects whether we recognize the people's right to education, in particular, the educational freedom of the teacher or the state's intervention in education. Wd can examine the theory of the people's right to education from the leading cases and theories in Japan. The chapter Ⅳ reveals about the educational freedom of the teacher. In dealing with the legal status of the teacher, theories which restricts teacher's freedom and right are criticized. The educational freedom of the teacher in the resp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is examined through the leading cases and theories in U.S.A. and Japan. And the state's role in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is examined. The chapter Ⅴ is related with the right to education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and the related laws on education. In conclusion, the educational freedom of the teacher should be permitted as apart of academic freedom, which is guaranteed in Article 21 Korean constitution, teachers should be free in teaching area and the state's control should be restricted in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