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양림-
dc.contributor.author김용년-
dc.creator김용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8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0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2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003-
dc.description.abstract안점의꽃갯지렁이(Pseudopotamilla occelate Moore)의 여러크기의 난모세포들은 난자형성 전 기간동안 체강액에서 부유하면서 성장한다. 난모세포의 난황막이 동일한 체강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난황 전구체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는 거대 분자들이 체강액으로부터 난모세포 내로 투과될 것으로 생각 되었다. 난모세포 표면구조와 난황막의 단백질의 조성이 난자 형성 기간동안 변화한다. 또한 난황립은 특정 단계인 중기 단계에서 형성된다. 이와같은 사실로보아 난모세포의 난황막을 통한 단백질의 투과가 난자 형성 기간동안 변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FITC로 표지된 체강액단백질및 난황단백질은 직경 100㎛ 내지 140㎛인 중기 단계의 난모세포에서 활발히 투과되었고, 반면에 bovine serum albumin 은 모든 단계의 난모세포들에서 투과되지않았다. 이것으로 보아 난황막을 통한 단백질의 투과는 단계 특이적이고 선택적임을 알 수 있었다. Chorion층을 제거하는 EDTA로 난모세포를 처리했을 때는 단백질 투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단백질의 투과는 plasma membrane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막단백질은 wheat germ agglutinin(WGA)이 아닌 concanavalin A (Con A)와 결합하는 carbohydrate residue를 갖고 있다. Con A와 endoglycosidase로 glycoprotein의 carbohydrate residues를 변경시켰을 때 체강액단백질및 난황단백질의 투과가 크게 저해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난황 전구체 단백질의 투과는 난황막의 막단백질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다.;Oocytes of various size classes of Pseudopotamilla grow throughout the whole oogenesis floating in the coelomic fluid. Since the vitelline envelopes(VEs) of oocytes are exposed to the same coelomic fluid, macromolecules including yolk precursor proteins may be transported directly into oocytes from the fluid. Oocyte surfac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VE proteins change as oogenesis proceeds. Yolk granules form specifically at intermediate stage. Observations suggested that the transport of proteins through VEs of oocytes changes during oogenesis. FITC-labeled coelomic fluid protein(CFP) and FITC-labeled yolk protein(YP) were found to be transported actively into oocytes of intermediate stage of 100um-140um in diameter, whereas oocytes of all stages did not take up bovine serum albumin. The observations demonstrate that the transport of proteins through VE is stage-specific and selective. Pretreatment of oocytes with EDTA, which specifically removes chorion layer, did not affect the transport, suggesting that the transport is controlled by the plasma membrane. The membrane proteins have carbohydrate residues which are not specific to wheat germ agglutinin(WGA) but to concanavalin A(Con A). Alteration in membrane proteins of VE with WGA and trypsin or in the carbohydrate residues of the glycoprotein with Con A and endoglycosidase F results in serious retardation of transport of CFP or YP. These results present as evidence that transport of yolk precursor proteins is controlled by the membrane protein of the 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개요 = ⅩⅡ Ⅰ. 서론 = 1 1. 난자형성과정중 난모세포의 표면구조 변화와 물질 투과 변화 = 1 2. 난자형성과정중 난모세포 표면막의 화학적 조성 변화와 물질 투과 = 3 Ⅱ. 재료 및 방법 = 5 1. 실험 동물 및 재료 = 5 2. 체강액단백질의 추출 = 5 3. 체강액단백질의 표지 = 6 4. 난황단백질의 추출 및 표지 = 7 5. FITC-체강액단백질의 투과 = 7 6. FITC-난황단백질의 투과 = 8 7. 난황막의 FITC-lectin에 대한 결합 양상 = 9 8. Endoglycosidase에 의한 난모세포표면 처리가 FITC-체강액단백질의 투과에 미치는 영향 = 9 Ⅲ. 결과 = 10 1. 난모세포에 의한 체강액단백질 및 난황단백질의 투과 = 10 1) 난모세포의 크기에 따른 체강액 단백질의 투과 양상 = 10 2) 난모세포의 크기에 따른 난황단백질의 투과 양상 = 15 2. 난모세포 표면의 변경이 FITC-체강액단백질과 FITC-난황단백질의 투과에 미치는 영향 = 18 1) 난모세포의 EDTA 처리에 의한 투과 양상 = 18 2) 난모세포의 lectin에 대한 결합 양상 및 lectin처리에 의한 투과 양상 = 19 ⅰ) 난모세포의 FITC-WGA에 대한 결합 양상 = 19 ⅱ) 난모세포의 FITC-Con A에 대한 결합 양상 = 22 ⅲ) 난모세포의 WGA처리에 의한 투과 양상 = 22 ⅳ) 난모세포의 Con A 처리에 의한 투과 양상 = 23 3) 난모세포의 Trypsin 처리에 의한 투과 양상 = 34 4) 난모세포의 NP-40 처리에 의한 투과 양상 = 39 5) Endoglycosidase가 난모세포의 체강액단백질의 투과에 미치는 영향 = 48 Ⅳ. 고찰 = 59 1. 난모세포 표면막에 의한 선택적 물질 투과 = 59 2. 난모세포 표면막의 변경에 의한 물질 투과저해 = 61 Ⅴ. 결론 = 65 참고문헌 = 67 도판설명 및 도판 = 73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131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안점의꽃갯지렁이-
dc.subject난자형성-
dc.subject난황막-
dc.subject난황전구체-
dc.title안점의꽃갯지렁이 (Pseudopotamilla occelata Moore)의 난자형성동안 난황막을 통한 난황전구체의 선택적투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elective transport of yolk precursor through the vitelline envelope during oogenesis of Pseudopotamilla occelata Moore-
dc.creator.othernameKim, Yong Nyun-
dc.format.pagexii,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물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생명·약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