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敬泰-
dc.contributor.author吳京子-
dc.creator吳京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8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0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2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002-
dc.description.abstract本稿는 식민지하 조선이 소위 공업화되었다는 1930년대의 조선경제를 대외무역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식민지적 제약성 아래서 급속한 '군수공업화'와 함께 1930년대 조선의 대외무역은 그 양적, 질적인 면에서 식민지 기간중 가장 팽창된 형태를 갖는 것이었다. 本稿는 당시의 급격한 조선의 공업화가 軍事的 필요에 의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과연 생산구조면에서 貿易을 일정한 樣態로 규정하고 있었나 하는 점의 확인 작업이 될 것이다. 그런데 조선의 대외무역에 관한 연구는 풍부하지 못하고 특히 1930년대 對外貿易만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本稿는 당시의 각종 무역통계자료를 토대로 조선의 대외무역의 구조와 특성을 실증적으로 논증해 보고자 시도하려는 것이다. 먼저 序論에서는 本稿의 과제의식과 현재까지의 연구성과에 대해 살펴보았고 第二章에서는 시대적 배경이 되는 1930년대 일본자본주의의 구조변화 특히 국가독점 자본주의로의 移行과 일본독점자본의 조선침투와 그에 따른 조선의 식민지·반봉건사회의 변질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第三章에서는 1930년대 당시의 關稅·貿易정책의 전환, 즉 일본의 만주침략을 위한 정책적 조치로서의 관세정책과 중일전쟁이후의 통제 무역에 대해 살펴보고 식민지 조선의 輸移出入 무역구조의 전반적인 상황을 지역별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조선의 대외무역은 日本과의 移出入무역 중심의 入超무역의 성격을 보였고, 대외적으로는 아시아 그 중에서도 만주와의 수출입에 편중된 지역적 무역구조를 갖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第Ⅳ章에서는 대외무역의 구조와 성격을 1930년대에 급속히 이루어진 식민지공업화에 관련지워 상품별 구성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러나 1930년대 급속한 공업화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수출상품이 주로 원료와 반제품에 치우치고 完製品을 수입하는 무역구조를 보이고 있음으로 해서, 1930년대 이루어진 식민지 공업화가 조선산업의 내적발전이라기 보다는 일본의 대륙침략정책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930년대 후반 移入과 輸出의 증가는 일본과 만주의 물자유통에 있어서 조선이 中繼地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第Ⅴ章에서는 1930년대 대외무역이 실제로 당시 조선경제에 미친 영향과 그 역사적 위치를 알아 보고자 했다. 이상과 같은 시도를 통하여 결론적으로 1930년대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된 조선의 대외무역은 당시 조선경제의 주체적 발전과는 유리된 채, 조선경제의 재생산구조를 보완해 주지 못했고 오히려 일본의 대륙침략정책의 수행수단으로 始終하여 결과적으로 조선경제구조를 외측으로부터 허물어 버리는 통로구실을 하였음을 실증적으로 논증하였다.;This study is to know how the colonized Chosun' s economy especially under the so-called industrialization for the period of 1930's can be illuminated from an aspect of its foreign trade practices. In parallel with the rapid 'munitions industrialization' within the confinement as that of a colony, Chosun's foreign trade of 1930's were that of the most expanded both iu quantity and quality, during the whole age colonized. So, a question whether 'trade' had been indeed defined as some definite mode at a view-point of productive system, though the rapid industrialization was brought about from the military needs, at that time, is emerged to the need of affirmation. Unfortunately, however, there have been no sufficient studies about Chosun's foreign trade and also few studies upon very the foreign trade in 1930's. Therefore, a positive research in its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was attempted upon the basis of various trade statistics materials collectively made at that time. First, after making short survey of other's research outcomes until present , in introduction, together with giving study objectives; in the chapter Ⅱ, some structual change in Japanese capitalism, especially its transition into national monopoly capitalism, the pervasion of Japanese monopolistic capital into Chosun economy, and its fellowing results were investigated. In the chapter Ⅲ, investigations in the transition of customs and trade policy of that time, that is, related with Japanese strategic handling of Chosun's customs for the invasion of the Manju Continent, and the control of trade after the War of Japanese and China, and, again, researches in general circumstances of Chosun's import and export according to regional distinctions were conducted. And, as results, it was revaled that Chosun's foreign trade showed the nature of export-surpassing import trade highly dependent upon Japan, and that it was of the most biased to the trade within Asia, and especially with Manju. And, in the chapter Ⅳ,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it would be viewed by being connected with the aspects of industrialization of the colony and contents of the involved goods. It could be seen that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colony implemented in 1930's was not for inner development of Chosun's industry, but for the smooth practices of Japanese policy of continent invasion, for the exported goods chiefly consisted of raw material and half finished goods and those of the imported were final products. Also that the increase of trade goods quantity in the later 1930's was arised from Chosun's bridging for the flowing between Japan and Manju could be also grasped. Finally, in the Chapter Ⅴ, the actual effects of the foreign trade in 1930's upon the Chosun's economy of that time and the situations would be covered. Consequently, it will be concluded that the rapidly expanded Chosun's foreign trade in 1930's failed to complement reproductive system of Chosun's economy, having been isolated from the really expansive industrial structure; rather, it was deteriorated to the means of Japanese policy of continent invasion, and as the result, played a role to call for the destruction of her own economic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槪要 = ⅲ Ⅰ. 序論 = 1 Ⅱ. 時代的 背景 = 4 1. 일본 자본주의의 구조변화 = 4 2. 일본 獨占資本히 侵透와 조선경제의 변질 = 12 Ⅲ. 1930년대 조선 對外貿易의 地域的 構成 = 26 1. 1930년대, 일본의 關稅 貿易政策의 轉換 = 26 2. 조선 輸移出入 貿易의 地域的 構成 = 36 Ⅳ. 1930년대 조선對外貿易의 구조와 성격 = 50 1. 朝鮮의 植民地工業化와 對外貿易 = 50 2. 主要 貿易品의 구조와 그 性格 = 63 Ⅴ. 結論 = 78 參考文獻 = 80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727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선대외무역-
dc.subject1930년대-
dc.subject대외무역-
dc.subjectChosun's Foreign Trade-
dc.subject.ddc900-
dc.title1930年代 朝鮮對外貿易의 性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On Some Characteristics of Chosun's Foreign Trade in 1930's-
dc.creator.othernameOh, Kyung-ja-
dc.format.pageiv,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