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효재-
dc.contributor.author최영애-
dc.creator최영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8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0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2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000-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여전도사들이 성별 분업에 의거하여 성차별을 받고 있는 실제적 방식을 밝혀내고 이러한 관습과 제도가 지속되는 기제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그다음 이 결과를 성별 노동 분업에 관한 여성학적 관점에서 논의하되, 일반적 사회기관과는 다른, 교회라고 하는 특수 상황 속에서 파생되는 제 측면과 결부하여 보다 더 억압적이고 심대한 차별하에 놓이게 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한국 교회 여교역자들은 노동의 성별 분업의 형태로 나타나는 성차별에 의하여 심각한 억압에 직면하고 있었다. 그들은 고유 업무로 심방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나 이 역할마저 특수한 성 특정적 부문에 한정되어 있으며 여타의 외적 기제들에 의해 보조적 역할만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일들은 전문적인 일로써 간주되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심방에서의 여교역자의 보조적 역할과 삼방을 경험으로 수행가능한 것으로 이해하는 교회에 의해 여교역자의 채용 조건 및 자격은 미리 규정되어, 여교역자의 지위 향상이나 역할의 전문화 가능성은 억제당하고 있었다. 또한 여교역자의 대부분을 이루는 여전도사들이 목사가 될 수 있는 길은 여러가지 기제에 의해 차단당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한국 교회 여교역자의 제반 문제에 대한 문제 제기 및 연구 방법을 서술하였다. Ⅱ장에서는 전도사직의 생성 과정과 현재의 역할로의 천이 과정 및 초기 성차별에 대한 투쟁 과정 등을 약술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 교회의 대표적 3 개 교단의 여전도사, 목사, 평신도 와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여전도사의 성 차별의 구체적 상황을 보았다. 즉 여전도사의 교회내에서의 지위 및 실제적 상황은 어떠한 논리와 경위를 통해 일어나며 그 실제적 현실은 어떠한지를 제도, 역할, 인식, 경제적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밝혔다. 또한 한국교회에서 여교역자의 지위 향상이나 역할의 전문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현재와 같은 낮은 지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이유를 성직에서의 성별 분업과의 관련성 속에서 여성학적 관점으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여전도사의 특성을 일반 노동 시장에서 나타나는 여성 노동자의 특성과 비교하여 그 유사성과 차이를 밝혔다. 그리고 여성 목사 안수제도 허용이 성직에서의 위계적 성별 분업과 여교역자의 지위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 보았다. Ⅳ장에서는 어째서 한국 교회에서는 일반적 성별 분업 논리보다 더 강화된 형태로 성별 분업이 일어나며 이린 성별 분업을 유지시키는 현실적 기제들이 오랫동안 존속 가능했던가하는 문제를, 한국 교회의 인식적 기반 안에서 밝혀 보고자 하였다. 성직에서의 위계적 성별 분업은 다음의 세가지 요인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었다. 첫째 요인 : 여교역자가 목사로 배출되지 못하고 전도사직에만 머물게 됨으로써 유지된다. 둘째 요인 : 실제로 종신직인 여전도사에게 남교역자 중심의 임시직 규정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지된다. 셋째 요인 : 전도사직 내에서의 성별 직무 분리와 직무의 보조적 역할에 의해서 였다. 이러한 유지 기제들을 존속 가능케한 보다 근본적인 실제적 기반은 한국 교회가, 위계적 성별 분업 논리를 신학화한 전통적 기독교의 권위주의적 성직관과 여성관을 내면화하고 있기 때문이었으며 이를 가부장제 가족제도에 기반한 권위주의적 한국 사회구조가 지지함으로써, 그리고 여교역자들이 성직에서의 차별적 상황을 순종과 희생 그리고 용서라는 개인적 차원에서 신앙적으로 해결해 가고자하는 소극적이고 순응적인 태도에 의해서 성직에서의 위계적 성별 분업은 철저하게 유지될 수 있었다고 분석되었다. 그리고 여성 목사 안수 허용은 성직에서의 위계적 성별 분업을 제한적이나마 변화, 약화시키고 있음도 발견되었다. Ⅴ장에서는 이와같은 일련의 연구 결과들에 근거하여 교회 여성 운동의 극복 과제 및 방향을 설정해 보았다.;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case of women church workers (so-called bible women) of Korea. They seem to be under a considerable stress arising from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form of sexual division of labor. Even though they have their own specific role as home visitors, their job is limited to certain sex-specific roles, and their work is not considered as a professionalized one. Moreover they are blocked, in various ways, from becoming ministers. The thesis attempted to find out the actual ways those bible women are placed under sex discrimination on the ground of sexual division of labor, and then eluc date the detailed mechanism of the way those practices are maintained. After that the author tried to interprete the results in terms of the existing theories of women's studies, especially using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works. Specifically the author intended to put together the bible theories 'special' situation as church workers who are generally assumed to be placed in a different environment from other social institutions, and the 'general' situation under which they are oppressed, that is, the general social condition related to the sex discrimination. Chapter 2 described the history of the creation of the job of bible women and how it developed into the present day women church workers the thesis is concerned about The women church workers' struggle against sexual discrimination were also briefly outlined in this chapter. Chapter 3 looked into the detailed ways by which the bible women are being oppress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 bible women, two each from three representative Christian church denominations in Korea. In Chapter 4, the facts obtained in Chapter 3 was interpreted through the theory of sexual division of labor, concentrating on the ways how the current state of discrimination has been and is being maintained, and why the prospect of bible women becoming ministers has not been materialized. Finally, in Chapter 5, the findings obtained above are evaluated and the ways they can be used for the actual purpose of liberating women in the church are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1 B. 연구 방법 및 연구 절차 = 7 Ⅱ. 초기 기독교와 여교역자 = 11 A. 초기 여교역자의 출현 과정과 역할 = 11 B. 여교역자의 양성 목적 및 교육 과정 = 13 C. 여교역자의 교회내 지위의 문제 = 16 D. 현재적 상황 = 18 Ⅲ. 현 한국 교회와 여교역자 = 20 A. 면접 대상의 일반적 특성 = 20 1. 대상 교회의 특성 = 20 2. 대상자의 특성 = 22 B. 전도사직에서 나타나는 여교역자의 지위 = 25 1. 제도적 측면 = 25 가. 남성 교역자 중심의 직제구조 = 25 a. 신분상의 불안정성 : 임시직 = 25 b. 구조적 소외 : 소속 없는 전도사 = 33 나. 남성 교역자 중심의 보상 체계 -- 은급 제도, 원로 제도 = 37 2. 역할적 측면 = 39 가. 심방 전도사 = 39 a. 채용 조건 -- 여성, 중년, 독신, 저학력 = 40 b. 역할 = 48 c. 갈등 = 57 나. 교육 전도사 = 63 a. 채용 조건 -- 여성, 고학력, 준목 = 63 b. 역할 = 66 3. 인식적 측면 = 68 가. 심방 여전도사와 그 역할에 대한 인식 = 68 나. 교육 여전도사에 대한 인식 = 76 4. 경제적 측면 = 78 가. 제도에 의한 차별 = 78 나. 직제에 따른 차별 = 79 다. 성에 의한 경제적 차별 = 81 소결 = 83 Ⅳ. 성직에서의 위게적 성별 분업 = 86 A. 유지 기제 = 86 1. 목사직에서의 성별 분업 : 여목사 안수 제도의 불허 = 86 2. '임시직' 규정의 문제 = 96 3. '전도사' 직 내에서의 성별 직무 분리와 보조적 역할 = 100 B. 변화 = 107 1. 제도 및 자질의 변화 = 107 2. 여교역자들의 의식변화 = 109 Ⅴ. 요약 및 제언 = 111 참고문헌 = 116 ABSTRACT =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53277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교회-
dc.subject여교역자-
dc.subject여전도사-
dc.subject여성학-
dc.subject.ddc300-
dc.title한국교회 여교역자의 차별적 지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여전도사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