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8 Download: 0

임신 흰쥐의 자궁 절편 수축강도에 morphine, meperidine, diazepam 및 ketamine이 미치는 영향

Title
임신 흰쥐의 자궁 절편 수축강도에 morphine, meperidine, diazepam 및 ketamine이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morphine, meperidine, diazepam and ketamine on the pregnant rat uteri, in Vitro
Authors
정경이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자궁 절편수축강도morphinemeperidinediazepamketamine임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춘희
Abstract
For many years it had been universally taught that administration of the commonly used analgesic agents retards the progress of labor. It was, therefore advised that these agents should not be administered until the labor was active and progress was rapid. In recent years, more scientific analysis of the progress of labor and accurate recording of uterine contractility revealed that this classical teaching was inaccurate. Despite the increasing use of regional analgesia during labor, systemic medications are still widely used to relieve pain and anxiety. There is no ideal, universally applicable analgesic agent for use during childbirth. All systemic medications used for pain relief in labor cross the placenta and may have a depressant effect on the fetus and injudiciary administration of overdose can cause some depression on the uterine activity. It is suggested that elimination of pain or anxiety will decrease adrenal medullary release of epinephrine. Since epinephrine is a known inhibitor of uterine activity, a decrease in its serum level should lead to increased uterine activity. Thus it was to make an objective estimation of the effects of morphine, meperidine, diazepam and ketamine upon uterine contractility of the pregnant rat uteri, in vitro.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orphine caused a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 in the contractility of the pregnant rat uteri significally. 2. Meperidine did not cause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contractility of the pregnant rat uteri. 3. Diazepam caused a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 in the contractility and the contraction disappeared from the concentration of 80㎍/100ml. 4. Ketamine caused a concentration-dependent decrease in the contractility of the pregnant rat uteri significantly. 5. Addition of CaCl_(2) to the K-H solution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result.;일반적으로 진통제 및 마취제의 투여가 분만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생각하여 분만 진통이 활성기에 이르고 진행이 급속한 경우 이외에는 투여하지 않도록 권장되어져 왔으나 최근 분만 진통에 대한 과학적 분석 및 자궁수축을 기록하는 정확한 방법의 발달로 진통제의 사용이 보편화 되기 시작 하였다. 신과학의 실제 임상에서 분만 진통의 경감 목적으로 흡입마취제보다는 주로 opioids 등 전신투여제가 이용되는데 1902년 morphine을 사용한 이후 여러 진통제 및 정온제의 투여가 시도되었고 1940년 meperidine이 소개되어 최근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임신 흰쥐의 자궁절편에 산과 마취에 흔히 이용되는 morphine, meperidine, diazepam 및 ketamine을 투여하여 자궁 절편의 수축강도를 비교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orphine 투여군에서 약물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자궁 절편 수축강도에 의의있는 감소를 보였다. 2. meperidine 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양상을 보여 약물농도를 증가시켜도 자궁절편 수축강도가 변화하지 않았다. 3. dlazepam 투여군에서는 약물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자궁절편 수축강도의 의의있는 감소를 보였으며 80㎍/100 ㎖ 이상의 농도에서는 자궁절편수축이 소실되었다. 4. ketamine 투여군에서는 약물 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자궁절편 수축강도의 의의있는 저하를 보였다. 5. 각 약물 투여와 동시에 CaCl_(2) 0.5mM/100㎖를 첨가한 군에서 약물 단독 투여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6. 각 군간의 자궁절편 수축강도를 비교한 결과 morphine 군과 meperidine군, morphine군과 diagepam군, morphine군과 ketamine군, meperidine군과 diazepam군, meperidine군과 ketamine군, diazepam군과 ketamine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