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춘희-
dc.contributor.author이정규-
dc.creator이정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1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7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2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764-
dc.description.abstractIt is common for body temperature to change during anesthesia and surgery for many reasons. A decrease of 2˚ or 3℃ is usually tolerated without serious adverse consequences except for postoperative shivering. There is greater concern about body temperature below 34℃ i.e.; decreased oxygen availability, slowing of metabolically dependent process, decreased drug biotransformation, cardiac rate and rhythm changes, sympathetic nervous system stimulation, hyperglycemia. Opioids have been administered for hundreds of years to allay anxiety and reduce the pain associated with surgery. Introduction of concept of balanced anesthesia, synthetic opioid has become popular as a component of balanced anesthesia. Body temperature change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morphine effect and as a prominent part of opiate abstinence syndrome. Morphine may produce hypothermia, hyperthermia or biphasic effect depending upon the ambient temperature, dose and species in which the drug is studied. These studies were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orphine, meperidne, pentazocine, codeine and naloxone on body temperature in rats. Animals were divided in two groups according to pretreated drugs. Ⅰ. Normal saline pretreated group Ⅱ. Naloxone pretreated group An each group was divided into 4 subgroups according to treated drug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Body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morphine, meperidine, pentazocine administration compared to control group. 2. Body temperature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morphine, meperidine, pentazocine, codeine administration in naloxone pretreated group. From the above results naloxone reverses the hypothermic effect of morphine, meperidine, pentazocine, codeine in rats.;인간의 체온은 거의 일정하나 내분비 및 중추신경계 기능장애, 인위적인 저체온 유도, 패혈증, 약물투여 등에 의해 저체온이 초래될 수 있다. 질병이나 외상으로 인한 체온의 변화는 그 원인 제거로 조절될 수 있으나 약물에 의한 경우에는 정확한 원인과 그 기전을 파악하여 예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동통제거 목적으로 사용하는 진통제인 Opiates, 진정제 및 흡입마취제 등은 체온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보고 되고 있다. Morphine등의 진통제가 체온을 변화시키는 기전은 사상하부전엽에 존재하는 Opiate 수용체 및 Dopamine 수용체에 작용하여 체온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osow등(1982)은 Opiates투여후 발생한 체온변화가 Opiates 길항제인 Naloxone과 Naltrexone을 전처치한 경우 정상으로 유지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저자는 흰쥐에서 Normal Saline과 Naloxone 1 mg/㎏을 각각 전처치한 15분후 Morphine 50 mg/㎏, Meperidine 50 mg/㎏, Pentazocine 75 mg/㎏, Codeine 100 mg/㎏을 복강내에 투여하고 20분, 40분, 60분, 80분후에 각각 직장체온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orphine 투여군에서 Saline 전처치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직장체온이 의의있게 감소하였으나 (P<0.005 ) Naloxone 전처치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2. Meperidine 투여군에서 Saline 전처치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직장체온이 의의있게 감소하였으나(P<0.005 ) Naloxone 전처치한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는 체온의 변화가 없었다. 3. Pentazocine 투여군에서 Saline 전처치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직장체온이 의의있게 감소하였으나(P<0.01) Naloxone 전처치한 경우는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는 차이를 볼 수 없었다. 4. Codeine 투여군에서 Saline 전처치 및 Naloxone 전처치한 경우 모두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문헌고찰과 연구결과로 보아 흰쥐에서 Morphine, Meperidine, Pentazocine을 투여하였을때 체온이 의의있게 하강하였으며, Naloxone으로 전처치한후 Morphine, Meperidine, Pentazocine, Codeine을 투여한 경우에는 의의있는 체온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Naloxone이 Opiate에 의한 체온하강을 전환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실험재료 및 방법 = 3 A. 실험재료 = 3 B. 실험방법 = 4 Ⅲ. 실험성적 = 6 A. Normal Saline 전처치군의 직장체온에 미치는 각 약물의 영향 (Table 1, Fig.1) = 6 B. Naloxone 전처치군의 직장체온에 미치는 각 약물의 영향 (Table 2, Fig.2) = 9 Ⅳ. 고안 = 13 Ⅴ. 결론 = 17 REFERENCES = 18 ABSTRACT = 2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475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Narcotics-
dc.subject체온변화-
dc.subject흰쥐-
dc.subject.ddc600-
dc.titleNarcotics가 흰쥐 체온변화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Narcotics on Body Temperature in Rats-
dc.creator.othernameLee, Jung Kyu-
dc.format.pagevii, 2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