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성연-
dc.contributor.author노치영-
dc.creator노치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8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1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80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에서는 아동이 부모로부터 경험한 폭력과 부모의 부부간 폭력관찰을 중심으로 한 가정폭력중 어느 유형이 아동의 공경성에 더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며, 아동의 공격성이 아동과 동일한 성을 가진 부모의 영향을 받는지를 밝혀보고, 아울러 사회계층에 따라 각 변인은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3개구 10개교에서 교사를 통해 표집하여 분류한 국민학교 6학년 아동 266명이었다. 측정도구는 가정폭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CTS중 폭력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공격성에 대해서는 교사가 연구대상 아동을 관찰하여 평가하는 PASS중 공격행동척도와 아동이 자신에 대해서 평가하는 욕구진단검사중 공격욕구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x^(2)검증과 대수선형절차를 사용한 x^(2)검증을 하였다. 또한 아동의 공격성에 대한 교사평가와 아동의 자기 평가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공격성 평가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의 α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계층에 따라 아동의 공격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사회계층이 낮을수록 아동은 공격적이었으며 이러한 계층 차이는 중·상류층과 하류층간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2. 사회계층에 따라 가정폭력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사회계층이 낮을수록 부모로부터 폭력을 경험하거나 부부간 폭력을 관찰한 아동이 많았으며 이러한 계층 차이는 상류층과 중·하류층간에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심한 폭력경험에서는 중·상류층과 하류층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부모로부터 경험한 폭력과 부부간 폭력관찰에 따라 아동의 공격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특히 아동의 공격성은 폭력경험보다 폭력관찰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아동의 공격성은 어머니가 아버지에게 행한 폭력을 관찰한 것보다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행한 폭력을 관찰한 것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여아의 공격성보다 남아의 공격성이 아버지의 폭력을 관찰한 것과 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experiencing parent-child violence or observing marital violence in the family had a greater effect on the aggression of children. It also studies whether the marital violence influences the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more if the violence was carried out by the parent of the same sex as the child.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se variables in three different social classes: upper, middle an lower. For this, 266 sixth grade children in Seoul were tested by thei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classified into aggressive or nonaggressive group. CTS (Violence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family violence. The PASS(Aggressive Behavior) by the teacher and Need Assessment Test(Aggressive Behavior) by the children to measure the aggression were taken. To analyze the data, χ^(2), χ^(2) using log linear procedure, Pearson's r for correlation between teacher's assessment and the children's self assessment about aggression, and Cronbach's alpha for reliability about aggression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 1. The level of the children's aggression differed among the social classes as well: children of the lowest class were most aggressive. 2. The amount of the family violence differed among the social classes as well: children of the middle and lower social classes experienced more parent-child violence and observed more marital violence than those in the higher class. Also, the most severe parent-child violence was found in the lower social class. 3. The type of family violence greatly affected the children's aggression: observing marital violence increased the aggression more than experiencing parent-child violence. 4. Father-mother violence rather than mother-father violence created aggression in the children, especially on male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가정폭력 (family violence) = 5 B. 공격성 = 11 C. 관련 선행연구의 고찰 = 17 Ⅲ. 연구문제 및 가설 = 25 Ⅳ. 연구방법 = 27 A. 연구대상 = 27 B. 측정도구 = 28 C. 자료의 수집 = 34 D. 자료의 분석 = 35 Ⅴ. 결과 및 해석 = 36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성격 = 36 B. 연구변인의 빈도 및 백분율 = 38 C. 사회계층과 아동의 공격성 = 42 D. 사회계층과 가정폭력 = 43 E. 가정폭력과 아동의 공격성 = 46 F. 아동의공격성의 관찰학습 = 49 Ⅳ. 요약 및 결론 = 53 참고문헌 = 58 부록 = 67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353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정-
dc.subject폭력-
dc.subject아동-
dc.subject공격성-
dc.title가정 폭력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FAMILY VIOLENCE ON CHILDREN'S AGGRESSION-
dc.creator.othernameNoh, Chi-Yung-
dc.format.pagev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가정관리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