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1 Download: 0

都市 이미지를 通한 構造的 空間硏究

Title
都市 이미지를 通한 構造的 空間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RUCTURAL SPACE THROUGH URBAN IMAGE
Authors
鄭慶美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양화과
Keywords
도시 이미지구조적 공간미술동양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수재
Abstract
Diverse isms formed in post-war age, which can be epitomized as an experimental spirit, have brought about drastic changes. Abstractism, the representative expression of modern spirit, is closely related to rationalism and functionalism which are dominant currents of modern thought. Thus the history of abstract painting can be said as representing the history of modern painting. Throughout the long history of plastic arts, the tendencies to abstraction and to realism have given complementary influences to each other in some ways. And, under the influence of such factors as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change of social demands, and the formation of new concpts of art, the post-war fine art has developed in various ways, becoming complex and abstruse because it was severed from tradition and came to be an individual pursuit. In the course of this development the use of geometrical form, which was started by Neo-platicism, has been taken over by Minimal Art, which rejects the color and form of Hard-edge and effaces much more details, and by Monochrome. Artists have continously attempted to place painting in the realm of subjectivity and consecrate their personality, which has become a subject of a work of art. This thesis, attempting a new analysis and a subjective interpretation on the tradition of space in painting, is concerned with the reconciliation between the structural geometrical composition and the expression of emotion, while considering the autonomy of plane as much as possible. And in practice also the present writer has tried to discover an aesthetic object in the integr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rather than in the external world. Thus, a series of works have been produc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oretically this thesis is based on the works of Richard Diebenkorn(1922- ), who, expressing the sense of geographical form and seasons statically and lyrically with solid forms, leads the plane abstraction, and on Ben Nicholson(1894-1982), who, proving the essential unity between the geometrical and lyrical forms by representing the extreme examples of both forms side by side with a modest method, anticipated the color abstraction and the problem of plane in modern painting. And in the aspect of technique, this thesis examines the methodology of Francois Rouan(1943- ), who expresses his own experiences and memories with a new method of accumulating colors and weaving surfaces. As for the problem of formation, it deals with the formative elements in the division of plane which give tension, and with the composition of space by overlapping and its technique.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he present write's contemplation, there was a moment when a new dimension opened itself and made the writer recognize that it is impossible to say that there are such words as "perfect" and "final" in the world of painting. Therefore, it must be realiz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pursuit of formative elements in plane, and to search for the possibilities in the technique of expression.;戰後 다양한 이념의 전개는 엄청난 변화와 실험정신으로 나타난다. 현대인의 시대정신을 대표하는 합리주의, 기능주의적 사고는 현대정신의 지배적 표현인 추상주의에 관계를 지니고 있어서 추상회화의 발전사가 그대로 현대 회화의 발전사를 대변하는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조형예술의 오랜 역사 속에서 어떤 형태로든 추상적인 것과 사실적인 것의 경향이 서로 엇갈리면서 상호보완적인 영향을 주어왔다. 급격히 발달된 테크놀리지 현상, 사회적 요구, 작품에 대한 새로운 개념등 복합적인 요인의 굴곡속에서, 戰後의 미술은 전통과의 단절로 인한 개별적인 추구라는 점에서 매우 복잡하고 난해한 면을 지니며, 다양한 조류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전개 속에서, 기하학적인 형태의 사용은 新造形主義(Neo-Platicism)를 기점으로 하여 Hard-edge의 색, 형태조차 거부하고 더욱 더 많은 것을 삭제한 Minimal Art, Monch-rome 등으로 이어진다. 회화를 주관의 영역에로 끌어들여 자신의 개성 내지 특성은 미술작품의 주제가 되었다. 본 논문은 현대문형의 都市空間,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기하학적인 질서에 관심을 갖고, 평면의 자율성을 최대한 존중하면서 구조적인 기하구성과 서정적 표현의 융합문제를 주된 조형상의 추구점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미적대상의 외부만을 그리기보다는 주관과 객관의 통합 속에서 찾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이론적 기반으로 지형과 계절의 감각을 견고한 포름 속에서 서정적으로 표현하여 평면추상으로 이끌고간 Richard Diebenkorn(1922~ )과 절제된 수단을 가지고 색면추상과 현대미술의 평면성의 문제를 예견하였던 Ben Nicholson(1894~1982), 자신의 경험과 기억들을 색채의 집적으로 또는 짜여진 표면이라는 새로운 방법으로 전개시킨 Franc¸ois Rouan(1943~ )을 연구하여 본인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회화관을 고양하고자 하였다. 조형적 연구로는 화면의 분할에 의해 긴장감을 주는 조형요소를 중첩(overlapping)에 의해 공간을 구성하고 그에 따르는 표현기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추구하는 문제를 심사숙고하는 중에 미쳐 느끼지 못했던 새로운 영역이 열린 때도 있었으며, 작품 제작과정에 있어서 예기치 못했던 難點이 많이 생겨 기대했던 表現效果가 나타나지 않을 때도 있었다. 철저하게 엄격성을 두지 않았으므로, 豫想치 못한 변수가 따르게 되었다. 회화에서 완전하고 최종적이라는 말은 무의미한 말이다. 제작과정에서 파생된 장점은 더욱 살려 나가고 문제점은 그에 대한 새로운 代案을 모색해 나감으로써 본인의식의 반영과 더불어, 가능성을 추구해 나가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