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項莊舞에 관한 고찰

Title
項莊舞에 관한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ang-Jang-Moo
Authors
陳敬潤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항장무Hang-Jang-Moo무용고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매자
Abstract
本 論文은 傳統官中舞踊중에서 鄕樂呈才 양식인 項莊舞의 궁중유입 경로를 연구하는 과정을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발생은 했지만 중국적 연원을 가진 궁중정재의 史的인 흐름을 찾아내고, 鄕樂呈才로서의 의의를 밝히며, 또한 특별히 무극의 형태를 지닌 항장무의 역사적 배경과 유래, 구성, 절차, 무원 및 의복, 반주음악등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舞劇정재의 또다른 형태적 의미를 찾으려 하고, 또한 未宴呈才의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여 새로이 궁중정재를 재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며, "公莫舞"나 "巾舞"등이 내용면에서 항장무와 유사한 점이 있어 그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함에 그 연구목적이 있다. 항장무는 중국의 역사책인 司馬遷의 史記중에서 "項羽本紀"의 項羽와 劉邦의 中國史上의 一大事件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것은 중국의 雜舞에 속하는 "公莫舞" 또는 "巾雜"등의 춤 속에서 그 내용을 전하고 있다 "公莫"이란 項莊이 칼춤을 출 때 項伯이 소매로써 그를 막아 漢 高祖를 해치지 못하게 하면서 項莊에게 "그대는(公) 하지 말라" (莫)고 말한데서 명칭이 유래 되었다. 중국에서는 漢에서 晋·宋에 이르는 시기에 나타났던 "공막무"나 "건무"가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중기 순조때에, 즉 명·청과 교류하는 시기에 연희되었다는 것은 주목할만 하다. 또한 같은 내용의 것이 항장무라는 이름으로 선천지방에서는 雜劇의 형태로서 민간사이에서 전해 오다가 고종 癸酉年( 1873 )에 궁중으로 유입되었던 것이다. 흔하지는 않지만, 항장무가 연희되었던 기록은 "感寧殿宴皇太子行禮", 즉 感寧殿에서 황태자를 세자에 봉하는 예를 갖출 때에 행해졌다는 내용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항장무에서 춤이 등장하는 부분은 項莊舞圖笏記에 의하면 "項莊과 項伯의 대무"부분과 "번쾌의 춤", "두 기녀의 검무"등의 세부분으로 파악이 되며 그 내용에 미루어 보아 칼과 수건이 사용되었으므로 "劍舞"와 "巾舞"의 형태를 나타내었을 것이라는 사실만 알 수 있을 뿐, 구체적인 춤동작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내용상 일치하는 "공막무"에서 춤의 형태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항장무의 舞員은 각 기록마다의 차이는 있으나, 교방가요에는 무원 13인과 악사 14인으로 구성되며, 반주음악에는 무원이 입장하고 禮를 갖추는 전반부와 후반부에 대취타가 따르고 중간의 내용부분에는 細樂( 삼현육각 )이 연주된다. 무원의 晶詞는 없다. 항장무와 공막무와 건무는 유사한 내용이고 尖袖舞와 葉舞는 소매를 쓴다는 면에서 항장무와 같다. 또한 劍器舞, 公莫舞, 巾舞, 尖袖舞, 葉舞 모두는 □風□, 燕歸巢, 弄劍등과 같은 춤사위가 보이나 동일계 정재로 보지않고 각각 독립된 정재로 본다. 왜냐하면 중기 이후 나타난 모든 정재는 향악정재와 당악정재의 구별없이 같은 춤사위와 음악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항장무는 발생동기면에서 보면 우리나라에서 발생되고 劍製된 춤이지만 名稱이나 形式은 중국 것을 도입한 것으로서, 대표적인 예로 춘앵무등과 같은 중국에 시원을 두었으나 향악정재의 형식을 갖춘 향악정재임이 확실하다. 또하나 조선말에는 인조때 산대도감의 폐지로 궁중에 속해 있던 대부분의 예인들이 서민층으로 속화되었던 사실에 반하여 오히려 서민층에서 놀이되던 것이 궁중으로 유입되었다는 독특한 경로를 갖고 있음도 특이할만 한 사실이다.;In this 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ormal meaning of the Mugug Jeong-Jae, by analysis and comparison of the Hang-Jang-Moo which is handed down in historic backgrounds, origins, organizations, procedures, dancers and clothes back musics, etc., and also to help the restoration of the Court Jeong-Jae by presentation to the Mi-Yeon Jeong-Jae which is the theoretical form. Hang-Jang-Moo is the story of Hang Woo and Yoo Bang in the Hang Woo Bon-Gi by Sa Ma Cheon, as a chinese history book, among the Sa-Ki, which is the origin of Gong-Mak-Moo, or Gune-Moo belonging to the Chinese Jap-Moo. It had been also played among the civilian, with the same content, as the form of Jap-Guk, it had been called Hang-Jang-Moo in Sun Cheon country. It was come in the Court at the king of Ko-Jong, in 1873. Infrequently, through the survey of its content, such the document as "Ham-Ryoung-Jeon-Jin-Yeon-Hwang-Tae-Ja-Haeng-Rae", we can find the fact that it was played Hang-Jang-Moo. The appearing part of Dancing in Hang-Jang-Moo, according to Hang-Jang-Moo-Sa-Ja-Moo-Do-Ho1-Gi, which was recognized as three parts of Dae-Moo of Hang Jang and Hang Back, Dance of Run Quae, Sword Dance of two girls. We can know only the fact that it should be described the form of Sword Dance Scarf Dance, detailed dance-action has not handed down to posterity. The dancer of Hang-Jang-Moo, even if every document has some difference, composed with thirteen dancers and fourteen bands, the back music was performed Dae-Chi-Ta and Se-Ak, in Kyo-Bang-Gayo. There is no Chang-Sa to the dancer. Like as mentioned, even if Hang-Jang-Moo was occurred and created dance in Korea, in its occurrences and causes, but it is not wrong to regard its origin as the Chinese Dance in title and form. Now let's see the typical example like the Chun-Aeng-Moo, which was originated in China, but it must be Hang-Ak-Jeong-Jae, with the possessing form of tha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