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Jonathan Borofsky의 Installation에 나타난 특성

Title
Jonathan Borofsky의 Installation에 나타난 특성
Other Titles
DISTICTION OF INSTALLATION BY JONATHAN BOROFSKY
Authors
權恩姬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소과
Keywords
Johnathan BorofskyInstallation현대미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
Abstract
After the seventies, the installation was been developed to formative theme as a form of expression in modern art. Analysis of installation by Jonathan Borofsky, helps to grasp the meaning of installation in modern ar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ek after distinction of installation by Jonathan Borofsky. The content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is the distinction with study in new tendercy of work in 20 centuries, unfolding of installation, and the background of Janathan Borofsky's work. The method I adopted in this research is to make use of documents and works about Jonathan Borofsky. I used purposive sampling of 17 new tendency of work in 20 centuries, 18 unfolding of installation, and 64 other work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Distinctions of installation by Jonathan Borofsky are devided by several specified things, first, the ego, versatile theme, ordinary theme, social theme, and political theme, these are given expression to metaphorical and symbolical method. Sencondly, Use various expression with every materials which coincide with visual impact of theme. Thirdly, Whole space of exhibition and different constituent factor, these are used for activation and for new mo(u) ding Fourthly, natural, spiritual and cultural envirnment, these are mixed together, So recreate special effect and a-rouse sympathy from the work.;Installation은 1970년대 이후 현대미술의 기법적 mode로 전개되어 형식주의적 thema로까지 발전되고 있다. Jonathan Borofsky의 Installation에 나타난 특성을 분석해 보는 것은 현대미술의 한 영역으로 확대되어 가는 Installation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J. Borofsky의 Installation을 분석함으로써 그 특성을 糾明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20 C미술의 새로운 경향, Installation의 전개, J.Borofsky의 예술세계를 考察하여 J. Borofsky의 Installation에 나타난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 전시회의 카탈로그, 작품을 기본도구로 하였으며, 20C미술의 새로운 경향에 17점, Installation의 전개에 18점과 1970년 이후의 J. Borofsky의 Installation과 설치물중에서 Installation의 특성이 잘 나타난 작품 60점, 기타 4점을 목적표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제적 측면에서 自我와 多元的 主題, 일상적, 사회적 주제, 정치적 주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제는 은유적이며 상징적인 방법으로 표현한다. 둘째, 주제의 시각적 충격과 符合되면 어떠한 매체이든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표현양식을 보여주며, 그것을 다양한 설치방법을 통해 종합화 하고 있다. 셋째, 전시장의 모든 공간을 활성화하고, 공통점이 없는 구성요소들이 연결되어 모든 공간을 포함하는 總體的 空間을 이루어 냄으로써 새로운 조형가치의 체험을 느끼게 한다. 넷째, J. Borofsky의 Installation에 나타난 환경은 자연적 환경일 뿐만 아니라 정신적 환경, 문화적 환경과 연결되어 劇的인 효과를 창출하며, 모든 사람이 참여하는 一體感으로서의 共感帶를 형성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