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梅子-
dc.contributor.author林秀璟-
dc.creator林秀璟-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3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9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1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92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begins by considering correlatively the origins anddevelopmpntal processes of the Buddist dance as Buddist ceremony dance and that as traditional folk dance, and, then, by analyzing comparatively extractable geographical distinctions between the districts of Honam and Kyungki, in terms of that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providing a beneficial foundation inunderstanding of how our traditional Buddist dance can be successfully succeeded to our descendants overcoming possible difficulties or how can we establish a proper developmental ways of it. And before going furthur, forms and modes of Buddist dance, that is, its composition, Chumsawhi, music costume and instruments etc. are investigated, and especially a structual and aesthetical analysis of Chumsawhi is conducted s ince this process is considered as to be usefu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ceeding to the main part of this paper,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two representative Buddist dance forms -- that of Mae Pang Lee (Hoam) and that of Young-Sook Han (Kyungdi) -- is demonstrated from the aspects of their each unique characteristic and form of Chumsawhi as wpll as their distinctions in special formation or constitution. The contents analyzed comparatively in clude: 1. In the Buddist dance of Young Sook Han and that of Maepang Lee, modes of special occupation or employment and the direction or bearings of eyes and body 2. Relations between Chumsawhi and breathing 3. Characteristics in Purimsawhi 4. Characteristics in Foot-motion 5. Characteristics in Floor-pattern To sum up, distinctions of Chumsawhi between the two forms of Buddist dance could be comparatively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ir (Korean people) geographical and inherent nature.;무용이란 인간의 신체를 소재로 하여 時間과 空間에 융합되어 이루어는 律動的 형식, 空間의 造形的 감상, 상상되는 세계와 심리적인 경험을 육체로서 표현하는 것으로 언어를 초월한 예술이라 할때 승무야말로 그러한 진정한 예술작품이라 할 수 있다. 본논문에서는 현존하는 승무로 김정연의 평양지방의 승무, 양소운의 해주쪽 승무, 한영숙, 이동안의 경기 충청승무, 이매방 한진옥의 호남승무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겠으나 현재 주조를 이루고 있는 이매방 승무와 한영숙 승무의 比較硏究를 하고자 하였다. 이의 과정으로 첫째는 승무의 起源에 대한 확실한 文獻이나 자료를 통해 근거를 찾기는 힘드나 현재 내려져오는 민속무용설과 불교의식무용설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현재 한영숙씨의 승무를 창작한 한성준씨의 예술세계와 한영숙씨와 이매방씨의 살아온 환경이나 무용활동등 그들의 예술세계를 통해 두승무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고 둘째, 두 승무가 갖고 있는 양식 즉, 춤의 구성, 춤사위, 무복과 무구, 음악등을 비교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셋째, 공간구성을 비교하는데 있어서 몸통과 시선이 차지하는 공간점유 양상과 공간구도, Floor Pattern등을 비교하여 한영숙 이매방 승무가 갖고 있는 독특한 춤사위의 구조와 특징, 구성에 있어서의 차이점등을 비교연구함에 있어 두 승무가 갖고 있는 독특한 개성과 예술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넷째, 앞으로의 승무에 대한 방향에 있어서 보존이라는 측면과 창작이라는 측면을 놓고 볼때 두승무가 갖는 가치성과 예술성을 재해석해 봄으로써 새로운 민족예술의 창달을 촉진시켜줄 귀중한 두작품의 이의를 다루어 본 결과 승무는 그 당시 행해지고 있던 여러 춤들에서 영향을 받아 직업적인 무용가의 창작품으로 만들어진 것에 시발점을 두었다. 춤가락이 염불 타령 굿거리 법고등으로 구분되어 있어 형식적이고 가락과 장단의 변화가 다양한 속도감이 있으며 정적인 춤으로부터 동적인 춤동작에 이르기까지 끊임없이 부드러우며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고 춤사위가 맺고 얼르고 푸는 리듬의 섬세함과 장삼의 뿌림사위로 인한 미적특성으로 보아 우리춤의 대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두 승무를 비교해보면 경기의 한영숙 승무와 호남의 이매방 승무가 모두 장삼놀음의 춤으로써 현재 무복과 음악이 같으며 장단과 무복의 영향으로 뿌림사위가 많은 등 공통점을 갖으며 양식이나 그 특징의 차이점 보다는 현재까지의 발달과정상에 있어서의 차이로 인한 공간구성 상의 차이점이 더욱 보여진다. 한영숙 승무는 공간영역이 넓고 구성에 있어서 대비를 이루며 기하학적이다. 객석으로 향한 몸방향이 많으며 시선은 대체로 이매방 승무보다 상향지향적이며 단순하고 정적이며 수직이라기보다는 수평적인 공간구도를 그리며 춤사위 또한 우아하고 섬세하며 뿌림선이 크고 현대화된 승무에 가까운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매방 승무는 뿌림사위가 기교적이고 겹사위가 많고 힘이 있고 남성적인 북놀이가 특징이다. 공간구성상 구별이 뚜렷치않고 공간영역이 좁다. 따라서 어느 방향에서도 그 자태를 충분히 느끼게 해주는 사방춤에 가까운 춤으로써 인간의 감정을 승화시켜 知와 靈의 영역과 생명의 힘의 영역을 추구하여 하늘과 동시에 땅을 지향하는 의지가 더욱 절실히 느껴지는 춤이나 한영숙 승무는 기방무용을 재구성하여 체계적으로 무대화시킨 한성준옹의 승무를 더욱 빛내어 한국무용의 정통적 기교와 격조를 무대에 세워놓은 춤이라면 이매방 승무는 이대조씨로부터 권번에서 익힌 지방예술로써의 성격이 많이 나타나며 남도예술의 미가 더욱 돋보이는 춤이라 하겠다. 이 두승무는 땅과 하늘의 자연스런 합일의 형태를 이룬 우리춤의 대표적 춤이며 동양의 종교개념과 결부시켜 땅으로 돌아가려는 인간본연의 심성과 하늘을 우러러 빌고 바랬던 종교적 심성이 잘 표현된 작품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方法 = 2 Ⅱ. 승무의 기원 및 형성과정 = 4 A. 역사적(歷史的) 기원 (起源) = 4 B. 형성과정 = 8 Ⅲ. 승무의 양식 및 특징 비교 = 18 A. 僧舞의 樣式 = 18 1. 춤의 構成 = 18 2. 僧舞의 춤사위 = 22 3. 舞服과 舞具 = 34 4. 僧舞에 사용된 音樂 = 40 B. 僧舞의 特徵 = 43 1. 승무의 일반적 특성 = 43 2. 僧舞의 美的 特性 = 45 3. 僧舞의 춤사위의 美的특성 = 46 Ⅳ. 승무의 공간구성의 비교 = 49 A. 공간 구성상의 (Floor Pattern) 비교 = 49 B. 승무에 있어서 몸통 시선이 차지하는 공간 점유 양상 비교 = 52 C. 승무에 나타나는 공간구도의 비교 = 62 Ⅴ. 승무의 현대적인 재해석 = 66 Ⅵ. 결론 = 71 참고문헌 = 74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129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호남 승무-
dc.subject경기 승무-
dc.subject무용학-
dc.subjectBUDDIST DANCE-
dc.subject.ddc700-
dc.title湖南 僧舞와 京畿 僧舞에 대한 比較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F HONAM BUDDIST DANCE AND KYUNGKI BUDDIST DANCE-
dc.creator.othernameRhim, Soo Kyung-
dc.format.pagev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