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응연-
dc.contributor.author李善雨-
dc.creator李善雨-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2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6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1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69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counselor self-disclosing responses affect client perception of and responses to the counselor. And as a client variable, the effect caused by the level of client self-disclosure is investigated. At this point, counselor self-disclosing responses are divided into high-intimacy and low-intimacy self-disclosure, and client self-disclosure is leveled into high degree (more than M+ISD) and low degree (less than M-ISD). Thus, 2x2 factorial (design is used in the present study. <Experiment 1> was mainly purposed to examine how the type of counselor self-disclosing responses and level of clients, self-disclosure affect client responses to the counselor. As an analogue study, this Exp. was presented in scripts where the counseling scene had been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unselor self-disclosing responses. For subjects, 36 college students (only female) were screened through self-disclosure Questionnaire and randomly assigned to 4 conditions. Their responses to the counselor were assessed by using 'Categories of client responses' (McCarthy, 1982), 'Counselor Rating Form' (Corrigan & Schmidt, 1983) and 'Willingness to see the counselor Questionnnaire' (Creek & Angstadt, 1985) were applied to the pilot study of <Exp. 2>. <Exp. 2> was concentrated on investigating client perceptions of and willingness to the counseling by using different experimental material. For this, 68 female college students screened through self-disclosure Questionnaire were randomly assigned to 4 conditions. As the same measures for dependent variable as <Exp. 1>, 'Counselor Rating Form' and 'Willingness to see the counselor Questionnaire' were used. In this Exp., counseling scene was presented by video tapes and its content was the same as <Exp. 1>. 2x2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and Univariate Analysis (ANOVA) were applied to the analysis of data in both Exp. and then Tukey's studentized Range (HSD) Test was used in post hoc comparison.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both Exp. are as following; 1. Counselor intimacy level of self-disclosure does not effectively elicit client self-disclosing responses. Rather, it seems that the level of client self-disclosure is more effective factor in client responses to the counselor. 2. Counselor intimacy level of self-disclosure positively affects client perception of the counselor. That is, counselor's high-intimacy self-disclosure is rated as more attractive in <Exp. 1>, and as more trustworthy in <Exp. 2>. It is likely that this difference owes to use different subjects and experimental materials in each Exp. 3. Counselor intimacy level of self-disclosure positively affects client willingness to the counseling. In other words, clients are willing to take counsel under counselor high-intimacy self-disclosing responses. The methods of study such as the type to present counseling scene, the effect caused by the type, and so on are discussed.;본 연구는 상담자의 자기-표출 반응이 내담자의 상담자에 대한 지각과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내담자 성격변인으로의 자기-표출 수준에 따른 효과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기서 상담자의 자기-표출은 친밀감이 높은 자기-표출과 친밀감이 낮은 자기-표출로 나뉘었고, 내담자의 자기-표출 수준은 높고( M+ 1 SD이상) 낮은( M- 1 SD이하)수준으로 나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X2의 요인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1>은 상담자의 자기-표출 반응유형과 내담자의 자기-표출 수준이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주로 살피고자 진행되었다. 이 실험은 유사연구이며, 상담자의 자기-표출 반응유형에 따라 조작된 각본(script)으로 제시되었다. 내담자는 자기표출검사를 통해 선정된 36명의 여대생으로 네가지 실험조건에 무선할당되었다. 이들의 상담자에 대한 반응은 '내담자의 반응범주'(McCarthy, 1982)로 측정되었고, <실험2>의 예비연구로 삼기 위해, '상담자평가질문지' (Corrigan과 Schmidt, 1983)와 '상담의 용의성 질문지'(Creek와 Angstadt, 1985)도 사용되었다. <실험2>는 실험재료를 달리하여,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지각과 상담의 용의성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자기표출검사를 통해 선정한 68명의 여대생을 네가지 실험조건에 무선배정하였다. 그리고 측정도구는 <실험 1 >과 같이 '상담자평가질문지'와 '상담의 용이성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여기서 상담장면은 비디오테입으로 제시되었고, 그 내용은<실험1>과 동일하였다. 자료처리는 두실험 모두 2 × 2 MANOVA와 ANOVA를 실시한 후, Tukey의 Studentized Range(HSD) Test를 사용하여 사후검증 하였다. 두실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1. 상담자의 친밀한 수준에 따른 자기-표출 반응은 내담자의 자기- 표출반응에 촉진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오히려 내담자의 자기-표출 수준이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에 더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보인다. 2 .상담자의 친밀감 수준에 따른 자기-표출 반응은 상담자에 대한 내담자의 지각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 즉 <실험 1 >에서는 친밀감이 높은 상담자의 자기-표출이 더 호감있게 평가되었고, <실험2>에서는 더 신뢰롭게 평가되었다. 이런 차이는 두 실험에서 상이한 내담자와 실험재료를 사용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3 .상담자의 친밀감 수준에 따른 자기-표출 반응은 상담에 대한 용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요컨대, 친밀감이 높은 상담자의 자기-표출 반응에서 내담자들은 그 상담자를 더 기꺼이 만나보려고 하였다. 이외에, 상담장면을 제시하는 양식에 따른 효과등 앞으로의 연구방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자기-표출 = 3 1. 의미와 유형 = 3 2. 자기-표출의 상호성과 대인지각 = 3 B. 상담자의 자기-표출 = 4 1. 의미와 유형 = 4 2. 상담자 자기-표출의 적절성에 대한 이론들 = 5 C. 선행연구개관 = 6 Ⅲ. 실험1 : 상담자의 자기-표출이 내담자의 자기-표출 반응에 미치는 효과 = 11 A. 실험목적 및 가설 = 11 B. 실험방법 = 12 1. 피험자 = 12 2. 실험재료 : 상담자의 자기-표출(각본) = 13 3. 측정도구 = 14 4. 실험절차 = 16 5. 자료처리 = 17 C. 실험결과 및 논의 = 17 1. 실험결과 = 17 2. 논의 = 24 Ⅳ. 실험2 : 상담자의 자기-표출이 내담자의 상담자에 대한 지각에 미치는 효과 = 28 A. 실험목적 및 가설 = 28 B. 실험방법 = 29 1. 피험자 = 29 2. 실험재료 : 상담자의 자기-표출 (비디오 테입) = 30 3. 측정도구 = 31 4. 실험절차 = 31 5. 자료처리 = 31 C. 실험결과 및 논의 = 31 1. 실험결과 = 31 2. 논의 = 35 Ⅴ. 종합논의 및 제언 = 38 참고문헌 = 43 ABSTRACT = 49 부록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687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상담자-
dc.subject내담자-
dc.subject자기-표출-
dc.subject자각-
dc.subject반응-
dc.title상담자의 자기-표출이 내담자의 내담자에 대한 지각과 반응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Counselor Self-Disclosure on Client Perceptions of and Responses to the Counselor-
dc.format.pageviii, 7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