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林淑子-
dc.contributor.author鄭姬溶-
dc.creator鄭姬溶-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2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6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1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69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Self and Clothing Interest,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Clothing interest and Perception of Self by the demographic variables. Perception of Self was measured with Perception of Self test from Choi's Perceptual Orientation Scale. Appearence, Clothing comfort, Fashion, Psychological dependence, Clothing ecomics were measured with items from Gurel's Study and Creekmore's for method of measuring clothing variables, items were drawn from preceding measures and slightly modified. Data were affected from 305 purposively selected elderly women over sixty dwelling in Seoul by means of interview and questionnaire. For statistical analyses, frequency distribution, ANOVA, Duncan' s multiple Range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three groups classified by Perception of self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Appearance, Fashion and Psychological dependence. 2. There was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othing interest and demographic variables. Educ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affected Appearance, religion affected fashion, and socioeconomic status affected Psychological dependence. Demographic variables not affected Clothing comfort. 3. There was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ception of Self and demographic variables.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and Socioeconomic status affected Perception of Self. 4. There was parti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subscales of the Clothing interest. Appear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clothing comfort, Fashion and Psychological dependence, Clothing comf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ppearance, Psychological dependence Fash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Appearance, Clothing comfort and Psychological dependence.;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여성의 1) 자아지각과 의복관심 변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2) 인구학적 변인(연령, 교육정도, 배우자관계 가족구성, 생활정도, 종교)에 따른 의복관심 변인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며, 3)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자아지각의 차이를 파악하고, 4) 의복관심 변인 상호간의 관련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와 면접조사를 병행한 조사연구 방법을 택하였으며, 자아에 대한 지각 조사는 최정훈의 지각향성 검사중 자아지각조사를 하였다. 의복관심 변인은 외모에 대한 관심, 의복의 안락감에 대한 관심, 유행에 대한 관심, 의복의 심리적 의존성, 의복의 경제성에 대한 관심의 5영역으로, 문항은 Gurel의 "Clothing Interest: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와 Creekmore의 "Method of Measuring Clothing Variables"에서 번역·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과 연구자가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표집대상은 서울시내에 있는 노인학교와 노인정중에서 학교의 특성과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8개 노인학교와 2개 노인정을 선정하였다. 통계처리에는 305부가 자료로 사용되었으며, 자료분석은 빈도, 평균, 표준편차의 산출 몇 Cronbach's α,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지각에 의해 분류된 3집단(자아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집단, 자아에 대해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게 지각하는 집단, 자아에 대해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집단)은 외모에 대한 관심, 유행에 대한 관심, 의복의 심리적 의존성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노년기 여성의 의복에 대한 관심은, 의복의 안락감에 대한 관심, 외모에 대한 관심, 의복의 심리적 의존성, 유행에 대한 관심의 순위로 관심이 높다. 세째, 의복관심 변인은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즉, 교육정도와 계층이 높을수록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다. 종교가 있는 집단이 유행에 대한 관심이 높다. 계층이 높을수록 의복의 심리적 의존성이 높다. 그리고 의복의 안락감에 대한 관심은 인구학적 변인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 네째, 자아에 대한 지각은 인구학적 변인중 연령, 교육정도, 배우자관계, 계층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다섯째, 의복관심 변인 상호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다. 즉,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집단은 유행에 대한 관심, 의복의 안락감에 대한 관심, 의복의 심리적 의존성이 높다. 의복의 안락감에 대해 관심이 높은 집단은 의복의 심리적 의존성이 높고 유행에 대한 관심과는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행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집단은 외모에 대한 관심, 의복의 심리적 의존성이 높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노인의 개념과 특징 = 5 B. 의복관심 = 8 C. 자아지각 = 23 Ⅲ. 문제의 서술 = 28 A. 연구문제 = 28 B. 용어의 정의 = 29 Ⅳ. 연구방법 및 절차 = 31 A. 측정도구 = 31 B. 표집대상 = 33 C. 자료수집 절차 및 기간 = 33 D. 자료분석 = 34 E. 연구의 한계점 = 35 Ⅴ. 결과 및 논의 = 36 A. 표집대상의 일반적 성격 = 36 B. 조사변인의 신뢰도 = 37 C. 조사변인의 점수분포 경향 = 38 D. 자아지각에 따른 의복관심의 차이 = 41 E.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의복관심의 차이 = 43 F.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자아지각의 차이 = 49 G. 의복관심 변인 상호간의 관계 = 52 Ⅳ. 결론 및 제언 = 53 참고문헌 = 56 부록 = 63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215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노년기-
dc.subject여성-
dc.subject자아지각-
dc.subject의복관심-
dc.subject.ddc600-
dc.title노년기 여성의 자아지각과 의복관심과의 상관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J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SELF AND CLOTHING INTEREST FOR A GROUP OF ELDERLY WOMEN IN SEOUL-
dc.creator.othernameJeong, Hee-Yong-
dc.format.pagevii,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