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裵滿實-
dc.contributor.author나미리-
dc.creator나미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9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7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1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725-
dc.description.abstract인류의 태동(胎動)과 함께 오랜 역사를 공유해 온 직물(織物)은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그 사용범위가 확대되어지고 있다. 특히 실내장식 요소로서의 직물은 많은 발전을 거듭하였으나 그것이 갖는 한계를 정적(靜的)인 특성은 그다지 극복되지 못했다. 현대 섬유예술가들은 이러한 정적이면서도 소극적인 직물에 율동감과 예술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데, 특히 주목할만한 것은 3 차원(次元)의 입체직물로서,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개척되어 있지 않은 분야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입체직물과 조명(照明)을 조화(調和) 시킴으로써 조형예술로서의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직물에 보다 다양한 예술성을 부여하고 나아가 직물과 조명의 조화에서 나오는 새로운 독창성과 아름다움을 시도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과정으로는 먼저 이론적 기반으로 장식직물(裝飾織物)의 기원 및 발달상황을 고찰하고 현대 직물디자인의 경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중 입체직물과 조명디자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1. 평면적으로 짜여지는 직물에 3차원성을 부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였고 2. 재료에 있어서는 가공된 실만으로 국한하지 않고 자연섬유를 염색하여 다양하게 사용하였다. 3. 직물조직에 있어서는 조명의 효과 및 형태에 적합한 기법을 채택하였으며 4. 색상은 한국고유의 색상(色相)으로 상징되는 원색조(原色調)를 현대감각에 맞추어 디자인하였으며, 수직에 있어 미묘한 효과를 나타내는 색상의 효과를 강조시켰다. 또한 반복의 형태를 강조하기 위해 점이효과(漸移, gradation)로 색상의 변화를 주어 형태의 율동감을 더욱 강하게 해주었다. 5. 조명의 연결에 있어서는 다채로운 조명의 설치를 통해 입체직물이 갖는 본연의 동적(動的)특성을 부각시켜 보았으며, 직물에 나타나는 변화 있는 분위기를 보여 주고자 했다. 직물과 조명을 조화시킨 이번 작품들은 물론 시도적(試圖的)인 것이었으나, 직물과 조명이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하여 실내에서의 아늑함과 아름다움을 주기에 충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실내에서의 독창성 있는 분위기와 변화 있는 공간을 창출해 내는 입체직물 조명은 앞으로 많은 연구와 발전을 거듭해야 할 분야라고 본다.;Fabric, with a history which goes back as long as that of human being, has been gradually expanded in its use with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The fabric as a factor of interior design has also witnessed much development, but the static characteristic existing in fabric has not been successfully overcome. Therefore, modern fabric artists are making great efforts to provide dynamic and artistic characteristic to the "static" and "passive" fabric. Among these efforts, special attention is drawn to the three dimensional fabric sculpture, which still remains as an unexplored field in our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harmonizing fabric sculpture and illumination, trying to add various artistic characteristics to fabric which has unlimited possibility as plastic arts, and furthermore trying to create a new beauty from the combination of fabric and illumination. As a theoretical study,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decorative fabric has been reviewed and then, the modern trends in fabric design, especially the meaning of fabric sculpture and the design of illumination have been studied. In the process of real work, various considerations have been given: ⅰ) A wide range of methods have been tried to create the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 in the plane fabric; ⅱ) Materials have not only been limited to processed yarn. Dyed natural yarn have been also used diversely; ⅲ) As to the structure of fabric, appropriate methods have been adopted depending upon the effects and styles of illumination; ⅳ) In colour, a primary colour tone-which characterizes the traditional Korean colour-has been redesigned to cope with the modern trend. Emphasis has been also given to give special effect in vertical position. With a view to emphasizing the repetition shape, the effect of gradation has been applied by giving varieties in colour. Thus, strong rhythmical feeling in shape could have been resulted ⅴ) In the combination with illumination, a wide variety of combination has been also attempted to emphasized the intrinsic dynamic characteristics of fabric sculpture as well as to show various atmospheres in fabric. These works of combining fabrics with illumination, though having not gone beyond its primitive stage, seem to be sufficient enough to give us a conclusion that fabric and illumination are of complementary and provide coziness and beauty in interior design. Fabric sculpture with illumination, which creates a creative atmosphere and various space, is considered as a field that needs many studies and developments in the years to co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槪要)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대상과 방법 = 2 Ⅱ. 현대의 직물디자인 = 3 A. 장식직물의 기원 및 발달상황 = 3 B. 현대 직물디자인의 경향 = 5 Ⅲ. 입체직물과 조명 = 9 A. 입체직물디자인 = 9 B. 입체직물과 조명디자인 = 13 Ⅳ. 직물응용 조명기구 = 15 A. 벽등 Ⅰ = 17 B. 벽등 Ⅱ = 23 C. 실내등 = 29 D. 팬던트 Ⅰ = 33 E. 천정등 = 37 F. 팬던트 Ⅱ = 41 Ⅴ. 결론 = 44 참고문헌 = 46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427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실내디자인-
dc.subject수직작품-
dc.subject조명기구-
dc.title실내디자인을 위한 수직작품의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조명기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WORKS WOVEN FABRIC FOR INTERIOR DESIGN : WITH DECORATIVE LIGHTING-
dc.creator.othernameNa, Mi Lee-
dc.format.pagevii, 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장식미술학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