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옥경-
dc.contributor.author현재란-
dc.creator현재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5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45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1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455-
dc.description.abstract자궁경부질환중 상피암은 그 조직하적 발명과정상 상피이형증, 영기암, 미새침습암 및 침습암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치료방침도 달리해 오고 있다. 최근 종양표식자에 대한 연구발전이 계속되고 중양표식자의 하나인 CEA (Careinoembryonic Antigen )가 자궁경부 종양의 면역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1981년 1월부터 1983년 12월까지 3년간 이화대학병원 임상병리과에 의뢰된 자궁경부 생검과 자궁적출표본 259례를 대상으로 병리조직학적 분류를 하였다. 그리고 대표적인 조직학적 유형을 보인 79례를 선정하여 Immunoperoxidase염색방법에 의해 조직내 CEA 존재유무 및 그 분포양상을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경부질환 79례중 PAP(peroxidase anti-peroxidase) 양성반응을 보인 예는 73례로 92.4%의 양성율을 나타냈다. 그중 중등도의 양성반응이 42.3 %로 가장 많았다. 2. 미침습암연 이형증 및 영기암에서의 양성율은 39례중 37례로 94.9%이었고 이것은 미세침습암 및 침습암의 87.9%보다 약간 높았다. 3. 자궁경부암의 세포형별 양성반응을을 보면, smal1 cell nonkeratinizing 형에서는 57.1%의 양성율을 보였으나, large cell keratinizing형과 large cell nonkeratinizing형은 모두 100%의 양성율을 보였다. 4. 이형증에서의 양성반응은 주로 경한정도 내지 중등도로 나타났다. 그 양성반응 세포의 분포양상은 경도 및 중등도이형증인 경우에는 상피표층에 분포하였으나 고도이형증은 상피 전층에 분포되어 있었다. 5. 영기암은 경한정도 내지 중등도의 PAP 양성반응을 보였고 주로 상피 중간층에까지 분포되었으며, 특히 선(gland) 강내면에 강한 양성 반응을 보여 주었다. 6. 미세침습암은 경한정도 내지 중등도의 PAP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상피 표층 및 침습부위의 중심부에 주로 분포되어 있었다. 7. 침습암은 고도의 PAP 양성반응이 27.2%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미침습암의 12.8%에 비해 2배 이상의 양성율로 높았다. PAP 양성반응을 보인 세포들의 분포는 거의가 침습암소 및 그 주변의 간질(stroma)에 분포되었다. 8. 선암과 편평상피선암은 중등도 내지 고도의 PAP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강한 염색반응이 선(gland) 및 간질에 분포되었다. 이상의 연구성적을 종합하여 보면, Immunoperoxidase염색에 의한 자증경부질환의 CEA 분포를 관찰함으로서 미침습암과 침습암의 일반적인 병리조직학적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되었다.;The uterine cervical neoplasia has been generlly classified following categories included such as dysplasia, carcinoma in situ, microinvaisive carcinoma, invasive carcinoma and therapeutic method depended upon types of classification. Recent advances in tumor markers offer new horizon in the pathology of uterine cervix, For instance,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one of the best known tumor markers, has been detected in tissue sections of cervical neoplasia. In view of the rather than tissue localization of CEA and in the hope of changes of the CEA in cervical neoplasia, author has undertaken a study of preinvasive and invaisve epithelial lesions of the uterne cervix by immunoperoxidase technique. Seventy-nine cases of uterine cervical neoplasia were subclassified and studied by peroxidase anti-peroxidase method (PAP) for the presence of carcinoembryonic antigen(CE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Normal squamous epithelium was lack of CEA but the cervical neoplastic epithelium showed CEA positivity in 73 of 79 cases (92.4%). 2. Preinvasive lesions, dysplasia and carcinoma in situshowed CEA-positivity cells in 37 of 39 cases (94.9%) while invasive lesions had CEA-positivity cells in 29 of 33 cases (87.9%). 3. The squamous epithelium of dysplasia revealed CEA-positivity in all cases. In mild to moderate dysplasia, CEA-positive cells were present at the upper layers of squamous epithelium. However, the severe dysplasia showed positive cells throughout the whole layers. 4. The pattern of CEA staining in carcinoma in situ was shown in epithelial layers except basal cells but the intensity was more strong in the luminal border of carcinoma in situ with glandular involvement. 5. Antigen was present in 57. 1% of small cell non keratinizing squamous carcinoma as compared with 100% in large cell keratinizing and large cell nonkeratizing tumors. 6. The pattern of CEA tissue distribution in invasive carcinoma was shown in tumor cells adjacent to stroma, and percentage (27.2%) of strong positivity was twice higher than that (12.8%) of preinvasive lesion. 7. In adenocarcinoma and adenosquamous carcinoma, moderate to strong positivity for CEA was seen in glandular epitheium and stroma. These investigation has shown that CEA emerges as a useful tumor marker in cervical neoplasia. The localization of CEA by immunoperoxidase technique nay add objectivity in the diagnosis of cervical neoplasia by virtue of positive staining patter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재료 및 방법 = 3 A. 연구 재료 = 3 B. 연구 방법 = 3 Ⅲ. 연구 성적 = 5 A. 자궁경부 상피질환의 병리조직학적 분류 = 5 B. 자궁경부 상피질환의 진단별 연령분포 = 6 C. 자궁경부 상피질환별 PAP 양성율 = 6 D. 자궁경부 상피질환별 CEA 양성경향 = 9 1 . 미침습 상피질환 = 9 2. 미세침습암과 침습암 = 9 3. 선암과 편평상피선압 = 10 E. 암세포 유형에 따른 PAP 양성율 = 10 F. 자궁경부 상피질환별 CEA의 분포 양상 = 12 Ⅳ. 고찰 = 15 Ⅴ. 결론 = 21 참고문헌 = 23 사진부도 및 설명 = 29 ABSTRACT = 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469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궁경부-
dc.subject이형증-
dc.subject암 조직-
dc.subjectCarcinoembryonic antigen-
dc.title자궁경부 이형증 및 암 조직내의 Carcinoembryonic Antigen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Localization of the Carcinoembryonic Antigen in Uterine Cerical Dysplasia and Carcinoma-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8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