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朝鮮時代 後期 반닫이에 關한 硏究

Title
朝鮮時代 後期 반닫이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Bandaji of latter Yi-Dynasty : Focus on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the usage in interior of Folk House
Authors
李今蘭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조선시대 후기반닫이지방별 특성민가내 사용성FOLK ART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만실
Abstract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study the design and locality of Bandaji(Wooden blanket chest) and the Folk Houses Interior of common people in latter Yi-Dynasty. These attempts above will increase the deep understanding on the life-style and furniture of common people of Yi-Dynasty. Also, by comparing Bandaji with local style of Folk Houses Interior, the culture and tradition implying the difference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could be understood. The contents of each chapters, in summary, are as fellows : Chapter Ⅰ: Clarify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method and extent of it respectively. Chapter Ⅱ : Bandaji has molt-functions and is used popularly through all classes. It comes from Gori(a wicker trunk). The material and metal decoration of Bandaji shows Korean locality and natural beauty. Finding out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Banadji. The kinds of it is Northern, Middle and Souther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Northern Bandaji are its high height and luxurious metal decoration on the front. And those of middle and Southern Bandaji are comparatively low height, simple metal decorations and emphasis on wooden grain which shows simple and natural beauty. Chapter Ⅲ : The representation of the uses of interior space and utilities of Bandaji. Traditional Folk House consist of dig residence style and Ondol and Maru. Also, Folk Houses include the vernacular life style and are small scale residential form of common people. The types of Folk Houses are widely classified one way type, two way type, ㄱ-shape type, surround-type. Chapter Ⅳ : Show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andaji and the local type of Folk Houses influence each other.;본 연구는 조선시대 後期 반닫이의 意匠特性 및 민가 실내공간의 구성을 살펴 봄으로써 조선시대 일반 庶民의 生活과 그들이 사용하던 가구에 대해 깊은 이해를 도모하며 조선후기 민간에서 표출되는 문화와 전통성을 알아 보고자 한다. 따라서 本 硏究는 반닫이의 지방적 특성과 민가 실내공간구성 및 그 內部에서 반닫이의 使用性을 연구하고자 사례조사 및 문헌 고찰을 통하여 진행시켰다. 연구의 내용은, 제Ⅱ장의 반닫이의 지방별 특성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반닫이는 고리형태에서 유래된 상자 형태의 수장가구로써 그 用度는 매우 다양하고, 사용된 재료 금속장식은 韓國的 토속성과 순박한 造形美를 느끼게 한다. 반닫이는 지방별로 분류가 가능하여, 북부지방 반닫이는 박천반닫이 평양반닫이, 중·남부지방 반닫이는 경기도,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반닫이로 나뉘어진다. 북부지방 반닫이의 대표적 특징은 높이가 높고 금구장식이 화려하게 가구 前面을 덮어, 그 전체적 느낌은 두툼하고 무겁다. 중·남부지방 반닫이는 높이가 비교적 낮고, 금구장식이 조촐하며, 木理絞을 살려 소박하고 자연스런 美를 나타낸다. 제Ⅲ장은 조선시대 후기 민가 실내 공간의 구성과 반닫이의 사용에 대해 고찰하였는데, 전래 民家의 定型은 수혈주거와 온돌 그리고 마루의 융합으로 이루어졌고, 민가란 지역적 전통이 수용된 규모가 적은 서민의 住居型式이며 그 유형으로는 외통집, 양통집, 겹집, 곱은자 집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민가 유형을 지방별로 실내공간의 구성 및 그 空間內에서의 반닫이의 使用에 대해 알아 본다. 제Ⅳ장은 연구의 결론으로 반닫이의 지역별 특성과 지방별 민가 실내 구성과 반닫이의 사용은 그 지역적 환경이나 실내 공간의 구성 및 규모, 활용방식에 따라 서로 적절하게 실용적인 조화를 이루면서 사용되어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