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육완순-
dc.contributor.author林恒雅-
dc.creator林恒雅-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8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8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1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0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10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examine the dancing languages, on the assumption that all the arts are inseparably related to the society, through the dancing communi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the social scientifical vision's artistic sociology after 1800. The artistic sociology, which stres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art and the society, is the science that analyzes the course of the artist's admitting and restoring the social reality and the opposite meaning of work of arts. With such a artistic sociology, the past dancing works as a religion, a livelihood, a cure, a production and the construction power of a tribe. And today, though the form is different, its function is remained in man's life. Therefore it interacts with a society. In this thesis, the communication theory was us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urse of the dancing art's currency. The first consideration to the verbal analysis: the system of the work's marks and structure. In human society, in order to come to understand each other, we need a nonverbal communication besides a language. A nonverbal communication is the language of all the situations which involves the gestures, the contacts, the lines of sight and the spaces of the vision. The language of the dancing expression sublimates as a dancing art based on a nonverbal communication. A dancer has to understand the dancing languages. After that, a dancer communicates real dancing art with a consumer. Therefore, I have analyzed the F. Delsarte's theory of the bodily analysis and five types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kinesics, haptics, oculesics, proxemics, chronemics. And were constructed the models of the dancing language on them. In conclusion, the first, an art as a high language which is circulated in the society and sociological realization applys the system of the dancing transmission. The second, the dancing is nonverbal communication through the course of the communi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ancing sublimates it. The third, the suitable dancing languages are made by putting the theory of F. Delsarte's bodily analysis and man's instinctive nonverbal actions together.;본 논문은 모든 예술이 사회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전제하에 1800년대 이후 사회과학적 시각의 예술사회학이론을 바탕으로 무용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무용언어를 고찰하였다. 예술과 사회의 중요성을 인시케하는 예술사회학이란 예술가가 사회현실을 수용, 환원시키는 과정과 예술작품의 역동적인 의미를 분석하는 과학이다. 이러한 예술사회학을 배정으로 과거의 무용이 오늘날과 형태는 달라도 종교, 생계, 치료, 생산, 의사소통, 부족의 구성력으 작용하였고 그 기능은 인간생활에 남아 _사회와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무용예술이 사회에서 통용되는 과정의 이해를 의해 커뮤니케이션이론을 적용하였고 몇가지 분석경향 중에 작품의 기호체제와 구조, 즉 언어적 분석을 위주로 하였다. 인간사회에서 의사소통을 하는데에는 언어외에도 비언어적 행동이 커뮤니케이션으로 큰 작용을 한다. 비언어적 컴니케이션은 몸짓, 접촉, 시선등 모든 상황의 언어로서 무용표현언어는 비언어적 컴니케이션을 바탕으로 하여 무용예술로 승화된 것이다. 무용가는 무용언어를 이해해야 수용자와 진정할 무용예술을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따라서 F. Delsarte의 신체분석 이론과 Nonverbal Communication의 유형 5자지, Kinesics, Hapticsp Oc-ulesics, Proxernics, Chronentics를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무용언어의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첫째 예술은 사회내에서 유통되는 고차원의 언어로서 사회학적 인식이 무용전달체계에도 적용된다. 둘째 무용은 커뮤니케이션과정을 거치는 비언어적·의사소통(nonver-bal communication)으로 그것을 승화시킨 예술임을 확인하였다. 세째 델사르트 신체분석이론과 사회학자들이 연구한 인간본능적인 비언어적 행동을 종합하므로써 적합한 무용언어가 발생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 1 B. 연구범위 및 방법 = 2 C. 용어해설 = 2 Ⅱ. 이론적 배경 = 5 A. 예술사회학 = 5 1. 예술사회학의 형성 = 5 2. 예술사회학의 본질 = 11 B. 무용예술과 사회 = 13 C.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 18 1.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및 기능 = 19 2.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및 유형 = 20 3. 커뮤니케이션과 상징체계 = 23 Ⅲ. 무용커뮤니케이션 = 29 A. 무용커뮤니케이션의 속성 = 29 B. Nonverbal Communication = 32 Ⅳ. 무용과 Nonverbal Communication = 38 A. 프랑소와 델사르트의 이론 = 40 B. Nonverbal Communication의 내용 = 48 C. 무용언어의 모형 = 55 Ⅴ. 결론 = 61 참고문헌 = 62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750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예술사회학-
dc.subject무용커뮤니케이션-
dc.subjectNonverbal Communication-
dc.subject무용예술-
dc.subject.ddc700-
dc.title藝術社會學의 舞踊커뮤니케이션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Nonverbal Communication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ance Communication of the Art : Focusing Interms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dc.creator.othernameLim, Hang Ah-
dc.format.pagev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