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關係語의 이해와 생산에 관한 一硏究

Title
關係語의 이해와 생산에 관한 一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relational terminology
Authors
심희옥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관계어이해생산Relational Terminology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재은
Abstract
To describe the quantity of number with language, relational terminology (More/Less) has been used. This language depends on the cognitive skill of evaluating the quantity and i t may be used accurately or not. So language acquisition is based on the degree of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skill. In this study, the point of view is concerned with the relation of language acquisition & cognition and with researching the relation of cognitive development & language development by various tasks of cognitive operations, I tried to provide a basis of child's language acquisition. As the relations of each material-number, length & density - are various, I have used thirty cards of length cue, no length cue & length number conflict. These thirty cards were used for evaluating the degree of comprehension & production of quantity of number of preschool child and for finding out if there is an asymmetry phenomenon (positive term is easier and more frequent in both comprehension & production than negative term) in the acquisition aspects of relational terminology in the Korean language. Two subjects were reviewed in this point of view. 1. Are comprehension & production of language related to the complexity of cognitive operation? 2. Is there an asymmetry phenomenon in language comprehension & production of relational terminology? The conclusions of the subjects are as follows: 1. The comprehension of relational terminology depand on the complexity of cognition. In other words, comprehension of language decreases along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cognitive operation. Comprehension was easier in the situations in which length 6 numb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an when length provided no cue to number. However,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anguage production in three cues. Therefor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omplexity of cognitive operation & language production are not related. 2. Among 4 age-levels, only one age-level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anguage comprehension (comprehension of "more" is easier than "less") and in language production 2 age-levels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asymmetry of relational terminology (production of "more" is more frequent than "less"). In this study, asymmetry phenomenons in the acquisition of relational terminology appear in differently by age.;數量을 言語的으로 표현하는데는 關係語(많다/적다)가 사용된다. 이 關係語는 量을 평가하는 인지기능에 의존하여 정확히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언어획득은 인지기능의 발달 정도에 근거를 두게 되는 것이다. 本 硏究에서는 이러한 言語獲得과 認知와의 관련성에 관심을 갖고 인지조작의 다양한 과제를 사용하여 認知發達과 言語發達과의 관계를 검토해 보고, 아동의 言語獲得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저 하였다. 수, 길이 및 밀도의 관계가 다양해서, 길이 단서가 있는 것, 길이 단서가 없는 것, 길이와 수가 相衝(conflict) 되는 것 등을 표현한 30장의 그림카드를 도구로 사용하여 학령 전 아동의 數量(많다/적다)에 대한 이해와 생산성 정도를 살펴보고, 關係語의 획득 양상에 非對稱 現象 (正的인 用語가 負的인 用語보다 이해가 쉽고, 생산이 빈번하다는 것)이 우리나라 말에서도 存在하는지 알아보고저 하였다. 이와 같은 입장에서 다음과 같은 두가지 문제가 硏究되었다. 1. 言語의 이해와 생산은 인지적인 조작의 복잡성과 관련이 있는가? 2. 關係語(많다/적다)의 이해와 생산 각각에 非對稱性이 있는가? 以上의 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제 1의 경우, 關係語의 이해는 인지적인 복잡성에 의존하여 획득되었다. 즉, 이해는 인지조작이 복잡해짐에 따라 떨어지고 있다. 이해는 길이가 數의 단서가 되지 않을 때보다, 길이와 數가 正的으로 상관될 때 쉽다. 그러나 언어의 생산은 세 가지 단서에 따른 수행간의 의의 있는 差가 없어서, 本 硏究에서는 인지조작의 복잡성 여부와 언어의 생산과는 무관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문제2의 경우, 關係語에 대한 이해의 非對稱性은 네 연령단계(3.0∼3.5세, 3.6∼3.11세, 4.0∼4.5세, 4.6∼4.11세) 中 한 연령에서만 있었다 ('많다'가 '적다' 조건보다 이해가 의의 있게 높다) 생산에서는 두 연령이 많다/적다의 생산간에 의의 있는 差를 보였다 ('많다'라는 말이 '적다'라는 말보다 더 빈번하게 사용됐다) 本 硏究에서는 關係語 획득에서의 非對稱性의 존재여부는 연령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