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수재-
dc.contributor.author李貞珠-
dc.creator李貞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5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0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05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069-
dc.description.abstract20C 현대미술은 50년대에 소위 개념미술이라 불리는 Informel이후 30년간에 걸쳐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다. 지금 현대 서구(국제적)미술 추세는 신표현주의나 후기 포더니즘이라는 새로운 사조의 영향을 받고있다는 것에 때맞추어 우리의 80년대 미술도 일련의 표현의 미술로 흐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0년대의 Action Painting에 의한 All-over적 표현의 抽象表現主義를 거점으로 60년대의 Pop Art, Kinetic Art, Hard edge, Objet Art ,Happening, Minimal Art, Conceptual Art, Nouveau Realism등 동시적이고 산발적인 미술 ism이 거의 수평적으로 화려하게 펼쳐진다. 현대 회화는 미학적이며 材料와 技法의 개발, 선택의 개방으로 개방 회화로 나타난다. 현대의 Technology는 인간의 Image와 Idea로 무한한 생명의 세계로 그 理想을 具現해 가고 있다. 이러한 현대 미술의 흐름속에서 藝術은 어느 일정한 틀이나 圖式的인 理論을 前提해서는 안된다. 20C 회화의 큰 혁신인 "再現的 Illusionism의 붕괴 "의 결과로서 무엇을 표현한다는 의미는 Canvas를 평면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본인의 작품은 Canvas의 평면을 하나의 대상 (Object)으로 보고 行爲와 物質의 만남에서 이루어 졌다. 물감과 한지의 사용으로 matie`re가 강화되어지는 표면감을 표출해 냈으며 반복적 行爲는 geste에 의해 어떤 Pattern을 형성하는 화면 전체를 all-over적인 平面性과 물질성을 나타내었다. 본인은 자신의 幻年期의 記憶들, 日常에서 얻어진 體驗들이 의식속에 고착되어 創作體驗을 만들었으며 이 축적되어진 世界의 Image를 可視的 室間으르서의 회화로 表出하려 하였다. 본 논문의 理論的 기반으로는 쉬포르 쉴화쓰 ( Support/surface ) Group의 작품의 주장 즉 평면적 의미를 現象學的으로 보게 되었고, 방법적인 면에서는 재료와 물질감을 연구한 쟝듀뷔폐 ( Jean Dubuffet : 1901 ∼ 1985 )의 작품을 참고 하였고, 동양적 필치의 tache에 의해 그린 샘프란시스 ( Sam Francis:1923~ ), 동양정신의 구현을 의도한 마크토비 (Mark Tobey : 1980 ~ 1976 )와 그의 힘있는 스타일을 순수회화 시적인 방법으로 간주한 삐에르 슐라쥬 ( Pierre Soulage : 1919~ )를 연구해 봄으로써 본인 작품의 뒷 받침으로 삼고자 한다. 따라서 本人은 物質性과 精神性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繪畵的 平面을 주 중심으로 연구하여 本人 나름대로의 행위에 의한 우연성과 의식적, 지적 표현을 합하는 抽象的 繪畵 室間을 이루고자 한다.;The modern art in the 20th century has diversified since Informal in 1950's, what we called the conceptual art. These days Neo-Expressionism and Post-Modernism stands for the stream of the modern art. Therefore, art in 1980's trend is toward the expressionistic art. On the basis of the abstract expressionism in 1950's, which used all-over methods by action painting, Pop Art, Kinetic Art, Hard Edge, Object Art, Happening, Minimal Art, Conceptual Art and Noveau Realism has appeared simultaneously, horizentally but sporadically. Modern painters adopt aestethic and open paintings through developing and introducing new materials. Modern technology embody men's images and ideas into the indefinite world of life. In this stream we must not presuppose a fixed stereotype or a schematized theory of art. The result of "the destruction of reappeared illusionism", which is one of the great innovation in the 20th century paintings, helps us recognize a canvas as a plane when we express our thoughts. In my works I regard the plane of a canvas as an object and there action meets material. I try, to express superficiality strengthened material by using colors and Korean traditional papers. Patterns are composed through repeating action, unification and materialization which covers all over the surface of the picture. My memories in the childhood and experiences in the daily life has settled in my conciousness and they provide me creative inspirations. I intend to express these culmulative images as a visible space, that is, a painting. The doctrine of Support/Surface Group that a plane should be a phenomena offers theoretical basis of this thesis. In the methodological basis the works of Jean Dubuffet (1901~1985) who accounts much of material and materialization are referred and San Francis (1923~ ) who enjoys oriental touch, Mark Tobey (1890~1976)who intends to embody oriental spirit and Pierre Soulage (1919~ ) who regards his strong style as pure paintings are also studied. I study planes of paintings which are composed by the combination of material and spirit, and intend to create abstract painting space combined with happening, concious and mental expressions by the action of my ow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論文槪要 = ⅲ Ⅰ. 緖論 = 1 A. 硏究 問題의 陳述 = 1 B. 硏究의 目的 = 2 C. 硏究의 內容 = 3 D. 硏究의 方法 = 5 Ⅱ. 本論 = 6 A. 理論的 硏究 = 6 1. 內容的인 面 = 6 2. 造形的인 面 = 8 가. 行爲를 통한 平面 空間 = 8 나. 색채 공간 = 9 3. 方法的인 面 = 10 가. 우연성과 무의식성 = 10 나. 구조적 평면 공간 = 12 다. 기법적 연구 = 17 B. 本人 作品의分析 = 20 Ⅲ. 結論 = 37 參考文獻 = 38 ABSTRACT = 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782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물질-
dc.subject정신성-
dc.subject회화평면-
dc.subject서양화-
dc.title物質과 精神性에 의한 繪畵平面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lannar Nature of Painting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chotomy between Matter and Spirit-
dc.format.page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서양화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