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숙자-
dc.contributor.author손문경-
dc.creator손문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1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6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0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679-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ctualization of urban housewives and their clothing individuality-conformity, and the influence of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n these two variable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fine and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 1. General tendency in self-actualization of urban housewives. 2. Influence of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n self-actualization on urban housewives. 3. General tendency in clothing individuality-conformity of urban housewives. 4. Influence of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on clothing individuality-conformity of urban housewives. 5. Relationship between self-actualizati-n and clothing individuality-conformity of urban housewives. The measurement of self-actualization was based on the self-actualization test standardized by Kim, Jae Eun and Lee, Kwang Ja, which was obtained by reforming the Shostrom's POI for Korean society. The clothing individuality-conformity was measured by a questionnaire developed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studies. Data were collected from 433 housewives living in Seoul and Busan.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distribution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obtained and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ver 50% of urban housewive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are trying to be self-actualized. 2. Among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education and socio-economic classes had effect on self-actualization. Higher level of self-actualization was shown for those having more education and socio-economic allowance. 3. Generally, both clothing individuality and conformity were pursued by housewives, but the score of clothing individuality ranked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conformity. 4. Clothing individuality-conformity was influenced by only family type. 5.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actualization of housewives and their clothing behavior at the level of p< .001. The correlation of self-actualization was possitive with clothing individuality and negative with conformity. In other words , the tendency of pursuing individuality rather than conformity in clothing behavior was shown with the higher level of housewives' self-actualization.;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주부들의 자아실현성과 의복의 개성-동조성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사회·인구학적 제 요인에 따라 두 변인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밝히는데 있으며 주부들의 의복행동의 이해를 위한 이론정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주부의 자아실현성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도시주부의 자아실현성은 사회·인구학적 제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도시주부의 의복 개성-동조성변인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넷째, 도시주부의 의복 개성-동조성변인은 사회·인구학적 제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도시주부의 자아실현성과 의복 개성-동조성변인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측정도구는 자아실현을 측정하기 위해 Shostrom의 자아실현검사(POI)를 김재은, 이광자가 한국실정에 적합하도록 표준화 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의복 개성-동조성 측정은 문헌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본 연구자가 작성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표집대상은 서울과 부산에 거주한 주부 43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의 산출 및 t-test, 일원분산분석,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얻은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반수이상은 비교적 자아실현을 위하여 노력하면서 생활한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자아실현성과 유의적 관계를 가지는 변인은 학력과 사회·경제적계층으로 나타났다. 즉 학력과 사회·경제적 계층이 높을수록 자아실현성 수준은 높았다. 셋째, 의복의 개성-동조성변인은 전반적으로 개성과 동조성 모두 추구하는 양면성을 보였으나 의복의 개성추구가 약간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넷째, 의복의 개성-동조성변인과 유의적인 사회·인구학적 제 요인은 가족형태만이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였다. 다섯째, 주부의 자아실현성과 의복의 개성-동조성변인과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의복의 개성변인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동조성변인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주부의 자아실현수준이 높을수록 의복행동에 있어 개성적인 면을 추구하는 성향이 커며 동조성과는 상반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자아실현성의 개념과 관련연구 = 4 B. 의복의 개성-동조성 변인 = 9 Ⅲ. 연구문제의 서술 = 20 A. 연구문제 및 가설의 설정 = 20 B. 용어의 정의 = 20 Ⅳ. 연구방법 및 절차 = 22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2 B. 측정도구 = 22 C. 자료분석 = 26 Ⅴ. 연구결과 및 해석 = 28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성격 = 28 B.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자아실현성 = 34 C.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의복의 개성-동조성 변인 = 38 D. 자아실현성과 의복·개성-동조성변인과의 상관관계 = 40 Ⅵ. 결론 및 제언 = 43 A. 결론 = 43 B. 제언 = 45 참고문헌 = 46 부록 = 51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348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시주부-
dc.subject자아실현성-
dc.subject의복의 개성-
dc.subject의복의 동조성-
dc.subject.ddc600-
dc.title도시주부의 자아실현성과 의복의 개성-동조성 변인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 부산시 주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ctualization and Clothing Individuality-Conformity of Urban Housewives-
dc.creator.othernameSon, Moon Kyoung-
dc.format.pagev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