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柳喜卿-
dc.contributor.author金明淑-
dc.creator金明淑-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2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7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0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715-
dc.description.abstract冕服이 우리나라에 수용된 기록은 「高麗史」에서 처음 볼 수 있으나, 고구려 벽화 및 「三國遺事」에 이에 관한 자취들이 보이고 있어, 일찍부터 冕服이 수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면복에 관한 규정은 이미 고려시대에 마련되었고, 조선의 「國朝五禮儀序例」와 「國朝續五禮儀補序例」에 이르러서는 면복규정에 도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조선시대의 면복규정은 明의 제도에 의거한 것이었으나, 衣色, 方心曲領, 章文의 표현등에서 明과는 다른 점이 보인다. 또한 「大韓禮典」의 皇帝冕服 규정도 明의 嘉靖 8년 제도를 따른 것이었으나, 裳의 色등에서 차이가 발견된다. 그런데 조선시대의 면복규정은 매우 소략하고, 그림과 설명이 서로 부합되지 않는 점이 있어, 실제로 이에 의해 면복을 제조하기에 불충분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면복규정이 실제 면복제작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하는 의문이 제기되는 것이다. 그런데 國葬 및 禮葬, 遷陸都監儀軌에 包含된 服玩圖說은 이와같은 問題点을 푸는데에 도움을 주고있다. 즉 服玩品으로서의 冕服의 形態는 基本的으로 실제 착용하던 것과 같은 것이었으며, 儀軌 服玩圖說에는 冕服의 制度, 形態, 材料, 色등의 기록과 함께 채색도가 실려있어, 宣祖國葬이후 哲宗國葬까지의 면복을 알아보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에 儀軌 服玩圖說의 考察을 통해 얻은 結論은 다음과 같다. 첫째, 「國朝五禮儀序例」 면복규정은 조선시대 전반을 통하여 嚴格히 지켜진 것은 아니었다. 둘째, 조선시대 면복은 明에서 수용된 冕服에 의거하여 제조되었을 것으로 보나, 明으로부터 면복수용이 단절된 이후, 孝宗國葬때부터 면복형태가 국속화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세째, 조선시대 면복은 항상 동일한 色과 형태로 제조된 것은 아니었고, 시대에 따라 다소 變化가 있었다. 네째, 英朝國葬부터, 면복제도의 규정이 달라지고 있는데, 이는 「 國朝五禮儀序例」의 면복규정과 明의 제도를 參酌한 것으로, 孝宗國葬이후 國俗化되어오던 면복제도를 확립시킨 것이다.;Myun Bok originated in china was introduced into Korea in ancient times. Some evidences show that it had settled down as our own official robes already under Koryo Dynasty. And Koryo made her own regulations on Myun Bok. Kook Cho O Rye Eui(國朝五禮儀) of Choson Dynasty has comparatively detailed explanations on the way of cutting and shapes and materials. And the regulations are modeled after those of Ming China. But it has been impossible to know whether the regulations of Kook Cho O Rye Eui were strictly kept or not, because we have not enough remains through which to see it. And then we got very useful materials, Eui kue(儀軌), which are well known but have not been used in studying the history of costumes. Every Kook Chang DoGam Eui Gue(國葬都監儀軌) have the provision of the so-called Pok Wan(服玩) Series which includes the imitations or the full set of Myun Bok. And the provisions show us the illustrations colored in detail which help us understand the real shapes and the transformations of Myun Bok. After surveying the Pokwan provisions author arrived at conclusions as follow; 1) Myun Boks are not always made in the same shape and colars. 2) The Provisions of O Rye Eui were not always kept strictly due to the lack of detailed direc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ⅷ Ⅰ. 序言 = 1 Ⅱ. 冕服制度의 수용 = 3 Ⅲ. 朝鮮時代의 冕服制度 = 8 A. 「國朝五禮儀序例」 및 「國朝續五禮儀補序例」의 冕服制度 = 8 B. 「大韓禮典」의 冕服制度 = 14 Ⅳ. 服玩制度에서의 冕服규정 = 20 Ⅴ. 儀軌 服玩圖說에 나타난 冕服 = 30 A. 圭 = 32 B. 冕 = 38 C. 衣 = 42 D. 裳 = 49 E. 大帶 = 55 F. 中單 = 59 G. 佩玉 = 62 H. 綏 = 65 I. 方心曲領 = 67 J. 蔽膝 = 71 K. 紅襪 = 75 L. 赤潟 = 77 Ⅳ. 結語 = 79 參考文獻 = 81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248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선시대-
dc.subject면복-
dc.subject복원도설-
dc.subject국장도감-
dc.subject의궤-
dc.subject.ddc600-
dc.title朝鮮時代 冕服의 考察-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gulations and The Transformation of Myun Bok During the Latter Part of Chosun-
dc.creator.othernameKim, Myoung Sook-
dc.format.pageix,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8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