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재은-
dc.contributor.author趙瓚紀-
dc.creator趙瓚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0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6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70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62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purposed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s evaluation of messages would be differently facilitated by the age of listner, type of message, and age of speaker. A listner in a communicative interaction must decide whether or not a speaker's message has been informative. Young children often base their assessment of massages on the of speaker rather than the actual message perhaps because they lack age knowledge of the communicative rule. Children's cognitive ability improves in accordance with, age change, this study, assuming that children would evaluate messages correctly as they know communicative rule, is focused to evaluate for children in different age levels. The subjects were drawn among the middle-classed in consideration of household economy, academic score from K Elementary School in Seoul. 40 children were randomly selected from grade 1, 4 ; 20 children from each grade. Then 10 children at each grade level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ur groups, adult speaker and peer speaker group. Each subjects at each group received complete message, ambiguous message, and incomplete message from the speaker. For the testing materials, the experimenter organized referential communication game which is interesting and familiar to children nowadays for them to perform the speaker's instructions. This experimental study was proceeded as follows: Adult and peer speaker gave their instructions by tape recorder to each listner in referential communication game. After the listner performed the instructions, they evaluate their acceptance of correct message. During the procedure, the subjects were tested individually. The performance measures, resulted from evaluation of each message, were analysed by the age of listner, the age of speaker, types of message, then the averages and the standard deviation were three way ANOVA and t-tested. the results form this experimental study are as follows: 1. First graders were more likely to evaluate correctly a peer speaker than an adult speaker. Fourth graders" evaluations were not based on the age of the speaker. 2. For first graders, incomplete messages were evaluated correctly more frequently than ambiguous messages. For fourth grade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ncomplete and ambiguous messages. 3. With the adult speaker, ambiguous messages were evaluated correctly less than incomplete ones. With the peer speaker, there was no difference. As the results from above, incomplete messages were easy to evaluate, the evaluation of ambiguous messages were affected by the age of listner and the age of speaker. Although fourth graders attended solely to the quality of the messages, first graders based their evaluations of ambiguous messages on the age of speaker. Adult speaker's messages were more positively than peer's because the young children thought the adults were smart and therefore likely to be good communicators.;본 연구에서는 참조적 의사소통에서 청자(listner)로서의 아동의 메시지 판단능력이 청자의 연령, 메시지의 유형, 화자(speaker)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지의 여부를 살펴보았다. 의사소통적 상호작용에 있어서 청자(listner)는 화자(speaker)의 메시지가 정보적인지 비정보적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연령이 적은 아동들은 의사소통적 법칙(communicative rule)을 잘 모르기 때문에 메시지의 평가의 기준이 메시지의 질에 있지 않고, 맥락적 요소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동은 연령의 증가에 따라 인지 능력이 발달하므로, 점차 의사소통적 법칙을 이해하면서 메시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것이라는 기본 가정 아래, 학년별 아동의 메시지 판단능력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서울 시내 k국민학교의 1, 4학년 아동으로, 생활정도와 학업성적이 중간 정도인 아동으로 통제하여 각 학년별로 20명씩 40명을 표집하였다. 표집된 아동은 동료 화자집단, 성인 화자집단으로 각각 10명씩 배정되었으며, 각 집단 내에서 동일할 피험자는 완전한 메시지, 모호한 메시지, 불완전한 메시지를 화자에게서 받았다. 검사도구는 아동에게 친숙하고 흥미로운 놀이로 각 메시지별로 6번의 지시를 듣고 수행할 수 있도록 실험자가 구성하였다. 실험 절차는 참조적 의사소통 놀이를 화자의 연령에 따라 성인과 동료가 녹음한 테이프를 통해 지시문을 청자(listner)에게 주었다. 청자는 메시지를 듣고 지시문에 따라 과제를 수행한 후, 자신의 메시지 수용의 정확성을 판단하였다. 실험 방법은 각 피험자를 개별적으로 실험하였으며, 자료는 정확한 판단에 대한 비율을 구하여 청자의 연령, 화자의 연령, 메시지의 유형으로 나누어 변량분석과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학년 아동은 화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메시지의 판단이 어려웠다. 4학년 아동은 화자의 연령에 상관없이 정확한 판단을 하였다. 2. 1학년 아동은 모호한 메시지일수록 메시지 판단이 어려웠다. 4학년 아동은 메시지의 유형에 상관없이 정확한 판단을 하였다. 3. 성인이 모호한 메시지를 주었을 경우 아동의 메시지 판단이 어려웠다. 그러나, 동료화자가 메시지를 주었을 경우에는 정확한 판단을 하였다. 위의 결과들로 볼 때, 불완전한 메시지는 판단하기 쉬었고 모호한 메시지의 판단은 아동의 연령과 화자의 연령에 영향을 받았다. 4학년 아동들은 메시지의 질에 주의를 하였고, 1학년 아동들은 모호한 메시지의 판단은 화자의 연령에 기준을 두었다. 아동은 성인의 의사소통 능력이 높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동료의 메시지보다는 성인의 메시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가설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참조적 의사소통능력의 정의 = 5 B. 참조적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 = 6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3 A. 연구대상 = 13 B. 도구 = 13 C. 실험절차 = 15 D. 통계처리 = 17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18 A. 화자의 연령, 청자의 연령, 메시지의 유형간의 상호작용결과 = 19 B. 청자의 연령과 화자의 연령과의 상호작용효과 = 20 C. 청자의 연령과 메시지의 유형과의 상호작용효과 = 21 D. 화자의 연령과 메시지의 유형과의 상호작용효과 = 22 Ⅴ. 요약 및 논의 = 25 참고문헌 = 28 부록 = 32 ABSTRACT = 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86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동-
dc.subject의사소통-
dc.subject청자-
dc.title청자로서의 아동의 참조적 의사소통 발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of referential communication of children as listen-
dc.format.pagevi, 36-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심리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