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태호-
dc.contributor.author홍혜정-
dc.creator홍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1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3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9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344-
dc.description.abstractThe man, as a part of nature, existnet in the dispensation of nature is influenced mentaly and physically by the ceaseless change and harmony of nature and has formed the images and the esthetic experiences gained by observing nature. It is present-day tendencies in the fine arts that these expression of moulding is not just imitating and reemerging nature but expressing the feeling of that object originaly through artist's subject. And as is usual with the industrial arts, they are apt to show the same trends as that of fine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grope for the possibilities of expressing the moulding dyeing works in the process that the feeling impressed by mountain, clouds, and water is reconstituted as a rhythmic images, using the trascription dyes. In the backgroundings for this purpose, the records about nature, art, image and other expression of nature, so the six works are produced and analyzed that as following conclusions are to be gained. First, the studies of man's will of mounding and constant concern about nature are changed with the times and artists, and the artists are not the men who just depict nature but creat their own world of peculiar images. Second, the materials of works such as mountain, clouds, water and so on is good enough to be express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ranscription dyes. Thrid, arranging for the images of nature to trans-from into simplified forms and coloring by artist's subject, it is possible that new senseal expression in dyeing field can be created. Fourth, in the production of works,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grasp the change of color tone due to the peculiarity of transcription dyes that the color tone isn't dyed exactly and it depends on the degree of temparature of trasription heat. Consequently in here, in order to creat genpine and infinite the moulding world, more diverse ,ways of inquirment have to be developed through incessant studyies and experfrnents.;인간은 자연의 섭리 안에서 존재하는 자연의 일부분으로서 끊임없는 자연의 변화와 조화 속에서 물질적, 정신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자연을 관찰하고 자연에서의 미적 체험이나, 이미지를 형상화하여 왔다. 이러한 조형적 표현은 자연을 모방하거나 재현하는 것이 아나라, 그 대상에서 느낀 심상을 작가의 주관에 의해서 독창적으로 표현하려는 것이 현대미술의 추세이다. 이런 경향은 공예 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며 같은 추세를 보여왔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자연 그대로가 아닌 산, 구름, 물 등에서 느낀 심상을 전사염료를 사용하여 율동적 이미지로 재구성하여 표현함으로써 조형적 염색작품의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려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자연과 예술, 이미지란?, 자연의 표현등을 문헌을 통하여 고찰해 보고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6점의 작품을 제작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인간의 자연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과 조형의지의 연구는 시대와 작가에 따라 변화되었고, 예술가는 자연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나름대로의 특유한 이미지의 세계로 창조한다. 둘째, 작품의 소재인 산, 구름, 물등은 전산염료의 특성으로 표현하기 적합한 좋은 소재였다. 셋째, 자연의 이미지를 작가의 주관에 의해 단순화된 형태와 배색으로 변화시켜 표현하는 과정에서 염색의 세계에서도 새로운 감각적 표현의 가능성을 창조할 수 있었다. 네째, 작품제작 과정에서 전사염료가 지닌 특수성 즉 색상이 강하게 염색되지 않고 전사되는 열의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의 변화를 파악하려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연구자는 기법과 재료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와 실험을 통해 좀 더 다양한 방법을 개발시켜 독창적이며 무한한 조형 세계의 가능성을 추구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1 C. 연구의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자연과 예술 = 3 B. 이미지의 표현 = 6 1. 이미지란? = 6 2. 자연의 표현 = 8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16 A. 작품제작 = 16 1. 소재 = 16 2. 형성 = 17 3. 재료와 기법 = 17 B. 작품분석 = 19 Ⅳ. 결론 = 31 참고문헌 = 32 ABSTRACT = 3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831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자연-
dc.subject이미지-
dc.subject염색-
dc.subject표현-
dc.title자연의 율동적 이미지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염색 작품제작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ression of Rhythmic images in nature-
dc.creator.othernameHong, Hea Jung-
dc.format.pagevii, 3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