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유치원교수 단원개발을 위한 일 연구

Title
유치원교수 단원개발을 위한 일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Units in Kindergarten
Authors
서광일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유치원교수단원개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how to select and demonstrate the content of education in preschool education. As the kindergarten curriculum in Korea is centered on units,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proper uni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to review the units and the problems, if there are, currently taught in kindergarten, and to provide a material referred to develop new units appropriate to soci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the study, 450 kindergarten teachers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 and other 50 kindergarten teachers were interviewed for the follow-up question in Seoul. The survey results were made into statistical data through percentage, x^(2), t-test and F-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a.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surveyed, 52.31% say they make frequent use of the "guidance book for preschool education"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 the question why they use book, they respond that because the contents are developed systematically, or because they can find no other proper books for teaching. b. The kindergarten teachers say, however, the book dose not provide a sufficient number of materials for concrete activities and teaching principles. The book dose not lead teachers to think creatively according to their criticism. 2. a. Many kindergarten teachers think that the current units are not adequate to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y also say the units do not take into consideration regional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b. Of the kindergartens questioned, 55.78% reply that they teach unit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guidance book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y add such units as "colors and figures", "machines and tools", "change of things", "the world of imagination", "nature preservation", "equality between the sexes", "incidents at home and abroad". c. Even the teachers who do not add extra units also agree with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new units. They say, however, that they cannot apply new units because of the lack of time, and materials to refer to and lack of their knowledge. d. Children like such kinds of units that are related with every day life, and that satisfy their curiosity and sense of achievement. Also, the units which lead them to participate in activities are favoured by children. e. Most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say the overcrowded classroom situation is one of the major problems in preschool education. They also say education in kindergartens dose not provide sufficient activities for children to learn each units efficiently. 3. a. The kindergarten teachers show a favorable response on dealing with social issues in kindergarten. Many teacher think that education in kindergartens can deal with social issues like "pollution", "traffic congestion", "problems caused by materialism" and "problems of elderly persons", etc. b. The units are recommended to develop by teachers : "sex education", "equality of the sexes" and "pollution", in the category of social issues ; "space science", "concept of time" and "sound", in the category of science ; "order, rules and safety" and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in the category of social life. They also recommend units to help young children develop imaginative thinking and abstract concepts and deal with current social issues and the units to follow the life situation.;유아교육과정에 있어서,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전개하는 문제는 교육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한국의 유치원 교육과정은 단원을 중심으로 내용을 선정, 전개하고 있으므로, 단원의 올바른 선정은 유아교육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끄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재 유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단원의 유형 및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지역적, 사회적 특성에 따른 단원 개발에 참고 자료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서울시내 유치원 교사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결과에 따른 추후검사를 하기위해, 유치원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자료는 백분율과 x^(2), t검증, F검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 문교부「유아교육 지도자료집」을 많이 활용하는 교사는 전체의 52.31%로 나타났다. 「유아교육 지도자료집」을 많이 활용하는 이유로는, 그 외에 마땅한 자료집이 없거나, 내용이 체계적이어서 이용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나. 「유아교육 지도자료집」의 문제점으로는 구체적인 활동 및 자료의 제시가 부족하고, 내용이 단정적이어서 교사의 창의적인 사고를 유도해 내지 못하며, 근본적인 교수원리의 제시가 부족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 현재 유치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단원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사회의 변화에 비해 단원이 너무 구태의연하다는 의견과 지역적 특성이나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나. 「유아교육 지도자료집」에 없는 단원을 첨가하여 실시하는 유치원은 55.78%였다. 첨가하는 단원으로는, '색깔과 도형', '기계와 도구', '물체의 변화', '상상의 세계', '자연보호', '남녀평등', '국내외 사건'등 다양하였다. 다. 새로운 단원을 실시하지 않는 교사 중 66.94%가 새로운 단원이 필요하다고는 느끼나, 시간적 여유가 없고, 자료 및 지식이 부족하여 새로운 단원을 실시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다. 라. 유아들이 좋아하는 단원은 실생활과 관계가 있고, 성취감이나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으며, 직접 참여하는 시간이 많은 단원으로 나타났다. 마. 단원 전개시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원아수가 너무 많다는 것과 단원에 맞는 적절한 활동이 부족하다는 것이 지적되었다. 3. 가. 교사들은 유치원에서, 사회문제를 다루는 것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유치원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야 하는 사회문제로는 '공해 및 오염문제', '교통난 문제', '노인 문제 ' 등으로 나타났다. 나. 교사들이 제시한 새로운 단원으로는, '성문제', '남녀평등문제', '공해문제'등 사회문제에 관한 것과 '우주과학', '시간,''소리'등 과학적인 영역, '질서·규칙·안전', '지역사회 참여'등 사회영역, '상상의 세계', '추상적 개념'등 사고 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 및 시사적인 내용과 상황을 중심으로 하는 내용 등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