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간호원의 돕는 행위와 간호대상자의 자기노출행위관계의 비교

Title
간호원의 돕는 행위와 간호대상자의 자기노출행위관계의 비교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BETWEEN NURSE'S HELPING ACTION AND PATIENT'S SELF-EXPOSURE ACTION
Authors
강기선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Keywords
간호원간호대상자자기노출행위병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모경빈
Abstract
간호는 도움이 필요한 간호대상자와 도움을 제공하는 간호원과의 관계에 근원을 두고 있으며 이러한 전제에서 볼 때 간호원이 간호대상자에게 바람직한 도움을 효과적으로 제공하여야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간호원과 간호대상자 간의 관계는 간호원측에서 제공하는 간호대상자의 정신적 육체적인 지지뿐만 아니라 간호대상자가 도움을 받는 관계로 인지하는 것을 동시에 포함한다. 그런데 현대사조는 간호사업체제가 질환중심체제에서 건강유지 및 증진을 강조함에 따라 간호사업의 촛점이 치료중심에서 질병예방과 건강유지 중심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간호원의 역할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1차건강관리 분야에서 질병예방과 건강유지 및 증진에 촛점을 두고서 경미한 의료행위까지 행하고 있는 보건진료원과, 병원에서 입원한 내원자에게 계속적인 치료 및 간호를 포함한 건강회복에 촛점을 두고서 간호를 행하고 있는 병원간호원의 돕는 행위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 이에 따른 대상자의 자기 노출정도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병원 및 지역사회에서의 돕는 행위인 간호활동이 바람직하게 수행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도 내에 소재하는 4개의 종합병원의(응급실, 소아과, 정신과, 산과, 중환자실, 수술실 근무자는 제외) 간호원 40명과 동일 병원의 입원환자 40명, 그리고 제주도 내에 소재하는 29개 보건진료소 중 20개의 보건진료원 20명과 동일 보건진료소 간호대상자 20명을 대상으로 1986년 3월 1일부터 3월30일 사이에 질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김(1984)이 수정 보완한 Carkhuff의 Index of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간호원의 언어적 반응행위정도를 측정하였고, 또한 김(1984)이 수정 보완한 Henderson의 Irritating Listening Behavior를 이용하여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원의 경청행위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김(1584)이 번역, 보완개발한 도구를 사용해서 대상자의 자기문제이해행위 정도와 간호원신뢰행위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Cronbachα,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등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 처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I가설 :「병원간호원의 돕는 행위정도(언어적 반응행위정도, 경청행위정도)가 보건진료원의 돕는 행위정도보다 높을 것이다」는 언어적 반응행위 정도에서 t=2.65 p=0.0106, 경청행위정도에서 t=3.8 p=0.004로 각각 지지되었다. 즉 병원간호원의 돕는 행위정도가 보건진료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2. 제 2가설 :「병원간호대상자의 자기노출행위 정도(자기문제이해행위 정도, 간호원신뢰행위 정도)는 보건진료소 간호대상자의 자기노출행위정도보다 높을 것이다」는 자기문제 이해행위정도에서 t=3.81 p=0.004역으로 지지되었고 신뢰행위정도에서는 t=1.32 p=0.0919로 지지되지 못하였다. 즉 간호대상자의 자기문제이해행위 정도에서만 병원간호대상자가 보건진료소 간호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3. 제 3가설 :「간호원의 돕는 행위정도(언어적 반응행위정도, 경청행위정도)와 간호대상자의 자기노출행위정도(자기문제 이해행위정도, 간호원 신뢰행위정도)간에는 순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는 부분적으로만 지지되었다. 즉 간호원의 언어적 반응행위정도와 경청행위정도 간에는 r=0.2990 p=0.013으로 순상관관계가 있었고, 간호대상자의 자기문제이해 정도와 간호원신뢰행위 정도 간에는 r=0.5743 p=0.000으로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간호원의 돕는행위정도는 병원간호원이 보건진료원보다 높고 언어적 반응행위정도는 두 집단 모두 전문적 돕는행위를 하여야 하는 자의 최저수준인 3.0에 미달되었다. 또한 병원간호원의 돕는행위정도가 보건진료원의 돕는행위정도보다 유의하게 높은데도 불구하고 간호대상자의 자기문제이해행위 정도는 병원간호대상자가 보건진료소 간호대상자 보다 유의하게 낮은데 그 이유를 첫째, 병원간호원의 돕는행위정도가 보건진료원보다 높기는 하지만 전문적 돕는행위를 하여야하는 자의 최저수준인 3.0에 미달되어서 실제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고, 둘째 병원간호원은 보건진료원보다 독자적인 간호행위를 못하는 실정이며, 셋째 주민들의 보건진료원에 대한 호응도가 아주 높은 점으로 볼 수 있겠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자는 다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병원간호원 및 보건진료원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돕는행위를 하여야 하는 자의 최저수준인 3.0이상으로 언어적반응행위정도를 높일 수 있는 촉진적관계형성교육이 필요하고, 병원에서의 간호원의 독자적인 간호행위의 확장과 아울러 업무량의 과중함을 덜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하겠다.;Nursing i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lient who needs help and the nurse who gives help to the client, and it is natural that the nurse should effectively give the help to the client. The relation between the client and the nurse contains both the realization of the help given by nurse and the meaning of spiritual and physical help of the patient given by the nurse unilaterally. At this juncture, the researcher comparatively review the helping action of the hospital nurses and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who act the action of enlarged nurses-taking care of clients, rehabilitation, disease prevention, strengthening of health-in the community and the self-exposure degree of the hospital clients and community health clinic clients and seek for giving the materials to successfully performing the helping nursing activities in the hospital and community. The object of study is based on 40 nurses and 40 clients of the same hospital of 4 hospitals in Cheju-do(emergency room, Dept. of Pediatrics, Dept of Psychiatrics, Dept. of Obstetrics, Intensive care unit, Operation Room Nurses excluded and 20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of 20 health clinic out of 29 health clinics in Cheju-do and 20 clients of the community health clinic and the questionnaire was circulated from Mar. 1, 1986 to Mar. 30, I986 to collect the material. As the instrument of study, using Carkhuff's Index of Communication corrected and supplemented by KIM(1984), measured the language reaction degree, and measured the nurse's listening reaction degree perceived by the patient by Henderson's Irritating Listening Behavior corrected and supplemented by KIM(1984). And, using the instrument translated, corrected and supplemented by KIM(1984). The self matter understanding degree of the patient and reliability degree of the nurse.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statistically analized, using t-test, ANOVA, Cronbach'sα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etc.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below. 1. First Hypothesis that the hospital nurse's helping behavior degree(language reaction degree, listening degree) will show a higher degree than the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helping behavior. In language reaction degree, t =2.65, p=0.0106, In listening reaction degree, t = 3.8, p = 0.004, each supported. 2. Second Hypothesis that the hospital client's self-exposure degree(self-matter understanding degree, nurse reliance degree) will show a higher score than the clients of the community health clinic. In self matter understanding degree, t =3.81, p=0.004, supported. In nurse reliance degree, t=l.32, p=0.0919, not supported. 3. Third Hypothesis : There will be the relative relation between the helping degree of nurse and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language reaction degree, hearing action degree) and self-exposure degree (self matter understanding degree, nurse reliance degree) of hospital clients and health clinic clients. The relative relation between the language reaction degree and hearing degree of hospital nurses and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there existed r=0.2990, p=0.013, which was relative relation. The relative relation existed between self matter understanding degree of hospital clients and clients of the community health clinic nurse reliance degree as r=0.5743, p=0.000, relative relation. In conclusion, as the helping degree of hospital nurse and health clinic is lower than that of the professional helping degree, the education in professional helping should be performed in the nurse's training, and the hospital client's self matter understanding degree showed lower than that of the clients of community health clinic, but it is considered that the hospital patient is hospitalized with the serious matter than the patient of health clinic. the helping action of hospital nurse is much more important. KIM(1984) said that the nurse's helping behavior degree is the variable factor than patient's self-exposure degree in helping relation formation of nursing situation, to increase the self-exposure degree of clients. The special helping professional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to the hospital nur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