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연순-
dc.contributor.author오윤희-
dc.creator오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4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0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9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05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ship between cognitive style (reflective vs. impulsive) and learning style (intentional vs. incidental). It was assumed that the children's cognitive style might affect their learning behavior. The research question was as follows; Is there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ren's relectivity (impulsivity) and their learning? The Matching Familiar Figure Test was administrated to the 181 subjects. The subjects are about eight years old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One hudred and fourteen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since they showed clear reflective new and impulsiveness. The test of intentional (incidental) learning was administrated to the two groups. The data of two tests was analyzed by t-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 p □ 0.01) between the two groups (reflective and impulsive) on the score of discriminative ability reflected to the learning task-relevant (irrelevant) stimulus.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 (p □ 0.01) in intentional and incidental learning,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should take into account young children's cognitive style in terms of reflective- ness and impulsiveness when we present various stimuli to the students in classroom.;본 연구의 목적은 사려성-충동성 아동의 선택적 주의가 의도적 학습내용과 우연적 학습내용에 각각 어느 정도 반영되는가를 비교해 봄으로써, 인지양식(사려성-충동성)과 학습유형 (의도-우연)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인지양식 집단별로 의도-우연학습유형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는가? 2. 학습유형별로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집단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는가? 서울시내 K국민학교 2학년(만8세)의 아동 181명을 선정하여 MFFT(Matching Familiar Figures Test)를 실시한 결과 사려성 아동과 충동성아동으로 분류된 두 집단의 아동 114명만을 실제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실험대상 아동에게는 그림쌍 (pairs of pictures, Hale과 Piper : 1973) 자료를 가지고, 의도-우연학습유형별 검사를 실시하여 학습유형에 따라 인지양식 집단 내에서와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양식 집단별로 의도-우연학습유형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사려성 집단에서만 두 학습 유형간에 유의한 차이( P□ .01 )를 나타 나타냈다. 즉. 사려성 아동은 학습과제에서 교사의 의도적 학습내용에 관한 관련자극과 우연적 학습내용에 관한 비관련자극간의 선택적 주의의 구별이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에, 충동성아동은 교사의 관련-비관련 자극간의 선택적 주의의 구별이 의미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습유형별로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 집단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는 의도학습이나 우연학습에서 모두 인지양식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 P□ .01 ) 나타냈다. 즉, 의도학습에서는 사려성 아동이 충동성아동보다 더 높게 나타난 반면에, 우연학습에서는 충동성아동이 사려성 아동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충동성아동의 주의를 핵심적 관련자극에 집중할 수 있도록, 비관련 측면의 자극을 가능한 한 단순화시켜서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게 하기 위한 학습조건 상황을 모색하여야겠다. 또한, 학습평가에 있어서 표면적 교육과정에 의한 의도적 학습성취 뿐만 아니라, 잠재적 교육과정의 우연적 학습의 결과도 교육적인 가치로 점차 고려해야 할 것이라는 교육적 시사점을 주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 연구문제 = 2 C . 용어의 정의 = 3 D .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 우연학습 = 6 B . 사려성 충동설 인지양식 = 17 Ⅲ. 연구방법 = 25 A . 연구대상 = 25 B . 검사도구 및 측정기준 = 26 C . 절차 = 28 D .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 30 Ⅳ. 결과 및 해석 = 32 A . 인지양식 집단별 의도-우연학습유형 간의 점수비교결과 = 32 B . 학습유형별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 집단간의 점수비교결과 = 34 Ⅴ.요약 및 결론 = 36 A . 요약 = 36 B . 결론 및 제언 = 37 참고문헌 = 40 MATCHING FAMILIAR FIGURES = 45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51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아동-
dc.subject인지양식-
dc.subject우연학습-
dc.subject사려성-
dc.subject충동성-
dc.title아동의 인지양식과 우연학습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사려성, 충동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cognitive style and incidental learning-
dc.creator.othernameOH,Yun-hee-
dc.format.pagevii,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