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태호-
dc.contributor.author全成敏-
dc.creator全成敏-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9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8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9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858-
dc.description.abstract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art is restored to the figures of nature gradually, and the extremity is apt to reach on the art of abstraction or non-object. Therefore, according to the expressional bases of mentality and formative-language, the modern art was started from the departure of expressionism which emphasizes a artist's emotion by his inner thinking and outlook on the world. The modern art is a abstractive world which pursues the order of form, inspiring a conscious attitude and a unconscious fantastic world. In modern, pursuing various arts, materials or techniques have become a means for the expression of inner world. Artist is a spokeman of his time, regardless of time. Artist is affected by the outlooks on nature and value of his time, also he affect to his tim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ursuing the formative aspect on 'making appearance of unconsciousness'. The theoritical background for this purpose; 1. In the content-aspect, this study makes the world of unconsciousness from art history an object and is considered its general aspect. Through those, surrealism which emphasized the spirit of work's making and abstract-expressionism which present freely the inner emotion of human, are studied. 2. In the method-aspect, the expression-mode of kandinsky's formation theory which expresses unconsciously the process of inner character is studied. In the process of six works' making and analysis based on above the theoritical backgr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heoritical background help to establish the world of work. The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he inner expression are established for future creative activities. 2.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harmony of geometrical forms and curves presents the visual effect and the expression of space, by the specific shade of dyeing. The imperfection and the reglet remained in the work's mating. But, I think that the creation of textile art is limitless through continuous studies and creative activities.;미술은 20 C에 접어 들면서 자연의 모습들을 점차적으로 환원하였고, 그 극단은 추상이나 비대상 미술에 다다르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정신과 조형언어의 표현적 근거에 따라 현대미술에는, 자신의 내면과 세계관에 의한 예술가의 감정을 강조한 표현주의의 출발에서 시작되여 무의식적인 상상의 세계를 표출시킨 세계와 의식적인 태도를 고취하면서 형태의 질서를 추구한 또 하나의 추상세계 이다. 현대에는 자유로운 형태의 예술성을 추구면서, 소재나 기술은 작가의 내적세계의 표현을 위한 수단이다. 어느 세대를 막론하고 예술가는 그가 속해 있는 시대의 대변자이며,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간에 작가는 자기가 속해 있는 사회와 자연관이나 가치관을 서로주고 받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의식의 형상화'의 조형적인 면을 추구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론적 배경에서는 1. 내용적인 면에서 무의식의 일반적인 면을 고찰하고 미술사에 있어서 무의식의 세계를 대상화 하면서 작품을 제작하는 정신을 우위로 삼은 초현실주의와 인간내면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한 추상표현 주의를 살펴본다. 2. 방법적인 면에서는 내면적 성격의 과정을 무의식적으로 표현한 칸딘스키의 조형이론에서 표현양식적인 면을 알아 본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6점의 작품을 제작 분석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작품세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였으며 앞으로의 창작활동을 위한 미의식과 내적표현을 어느정도 확립하게 되었으며, 2. 제작 과정에서의 기하학적 형태와 곡선의 조화가 염색특유의 농담으로 공간성의 표현과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작품제작에 미흡한 점과 아쉬움을 남겼으나, 계속적인 연구와 창작활동을 통하여 염색공예에 있어서 무한한 창조를 가능하게 하리라고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1 C. 연구의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내용적인 면 = 3 1. 무의식의 일반적 고찰 = 3 2. 무의식세계의 표현 = 7 B. 방법적인 면 = 16 1. 칸딘스키의 조형적 이론 = 16 2. 칸딘스키의 작품세계 = 20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30 A. 작품제작 = 30 1. 조형요소 = 30 2. 조형관 = 31 3. 양식 및 재료 = 32 B. 작품분석 = 34 Ⅳ. 결론 = 46 참고문헌 = 48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827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무의식-
dc.subject형상화-
dc.subjectappearance-
dc.subjectunconciousness-
dc.title無意識의 形象化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작품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Research on making appearance of unconciousness-
dc.creator.othernameChun, Sung Min-
dc.format.pagevii, 5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