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音樂大學 敎科課程의 比較分析 硏究

Title
音樂大學 敎科課程의 比較分析 硏究
Other Titles
(THE) RESEARCH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USIC SCHOOL CURRICUIUM
Authors
金志映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음악대학교과과정비교분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시원
Abstract
This thesis aims at reviewing the foreign advanced music school system (i.e, the U.S.A. Germany and Japan), and comparing and analy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of Korean and American music schools. Also, it is intended to present a desirable music school system of Korean Universities through researching what they are now and where they should be heading at. The role of the music school, as a part of the various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s, is the most significant with regard to music development in one country. Then, the structure of music school and its curriculum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influence over its own country's music development in terms of education. The first music school in Korea was orginated from Ewha Special School. It was founded on missionary purposes. After 1945, they adopted "School of Music" system, which was one of three existing American music school system, as a form of music educational institution. However, there has been a lot of problem to apply other country's music education system because of their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us to initiate and develop a new desirable structure of the Section one in this paper covers introduction which deals with the necessity and objective of this research, and its limitation on the information gathering process. Section two begins with how to categolize the general music fields and then briefly discusses the music history since the Medievaltimes In terms of the music school system and its curriculum, I am concentrating on high education level(i.e., university). Presenting the structure of the American music school, I analyse and compare it with that of Germany, Japan and Korea. Through this research, I reveal why such structure has been settled down in Korea and how it has been adapted. In Section three, I introduce three American music school systems : "Music Department", "Conservatory" and "School of Music". Then, I present how Natio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s of Music (NASM), which is the supervisory institution of the American music schools, constructs and utilizes the regulated curriculum proportion ratio in order to categolize the type of music school and to control them. Then, in Section four, I select six famous music schools in Korea and review their curriculums. Through this study, I mak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curriculum constructions based upon the NASM's curriculum proportion ratio.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from the preceding analysis : 1. In terms of curriculum basis, the Korean music schools are in the middle position between "Conservatory" and "School of Music'' by using the NASM's criteria. 2. There is no indication that the Korean curriculums focus on "Music Department" system which emphasizes on 'musics speculativa'. According to the above conclusions, I suggest the followings for the better educational development of the Korean music school system : 1. In order to accomplish a balanced development in every music fields, it is critical to establish the new curriculum invention on the emphasis of 'Musica Speculativa' side, such as "Music Department" system in the U.S.A. 2. For the necessity of the above curriculum invention, creating the new professional occupation related to these fields and supplying the new faculties should be required.;本 論文의 硏究 目的은 美國의 音樂大學을 비롯하여 獨逸, 日本, 등 先進 外國의 音樂大學 體制를 알아보고, 美國과 韓國을 中心으로 音樂大學 敎科課程을 比較 分析함으로써, 韓國 音樂大學의 現 體制를 把握하여. 보다 바람직한 韓國 音樂大擧體制의 나아갈 進路를 提示하는데 있다. 音樂大學은 한 나라의 音樂을 主導해 나가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는 敎育 敎關 中의 하나이다. 音樂大學의 體制나 敎科課程은 音樂大學 發展 與否에 큰 영향을 미치는 要素이다. 韓國의 音樂大學은 美國에서 선교 目的으로 세웠던 梨花 專門學校에서, 音樂學料로 개편되며 시작되었다. 그러므로, 美國 音大의 敎科課程을 빌어 다 사용하였다. 1945년 以後, 解放되며 美軍政·下에서 美國 音大學制의 영향을 받아서 美國 音大 體制 中 하나인 'School of Music'의 體制가 韓國音大의 體制로 받아들여졌다. 다른 나라의 경우도 마찬가지이겠지만, 東洋에서 받아들인 西洋音樂이기 때문에, 그 體制를 수용함에 있어서 왜곡될 可能性이 있는 것이다. 韓國의 音大 體制도 外國의 영향을 받았다 하더라도 우리나라 現 실정에 맞도록 개선하고 發展시켜 보다더 바람직한 方向으로 이끌어 나가는 것이 重要하다. 本 硏究에서는 音樂의 全般的인 分野의 分類에서 시작하여 앞으로 論하게 될 音大의 효시인 中世 音大의 發展 傾向을 살펴보았고, 中世大學이 發展하여 現在에 이른 音樂敎育機關의 體制에 대하여 조사 硏究해 보았다. 音樂敎育機關 體制를 論하는데 있어서, 音大를 중심으로 하여 '高等敎育'의 관점에서 硏究하였다. 美國을 중심으로 音大 體制를 알아보았고, 美國의 學制에 영향을 끼친 獨逸의 音樂敎育機關의 體制를 삽입하여 간단히 論하였다. 또한 日本의 學制를 알아보며, 韓國에서의 現 音大 體制도 硏究하여 그 體制를 把握함으로써, 그러한 體制가 형성되었던, 原因과 過程도 생각해 보았다. 또한 이러한 音樂大學 學制와 敎育課程과 직관된 音樂 全般의 分野 別 從事職을 소개하여서 앞으로의 音樂 專門職의 開發에 실마리를 提示하였다. 그리고, 美國 音大의 감독기관인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s of Music에서 규정하는 美國의 演奏 專攻科의 敎科課程 비례와 傾向에 대하여 소개함으로써, 韓國 音大에서 現行되고 있는 敎科課程이나 敎育內容과 比較할 수 있도록 하였다. 敎科課程의 分析에 있어서는, 美國 音大의 세 가지 體制인 Music Department, Conservatory와 School of Music의 順으로 하였고, 韓國 音大 가운데 가장 역사가 있다고 판단되는 6개 音大의 敎科課程과 比較 分析하였다. 敎科課程의 分類法은 NASM(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s of Music)에서 分類한 方法과 Ⅱ장에서 提示한 바 있는 音樂 全般의 分野에 의한 分類法을 새 標準値로 선정하여 分析하여, 敎科課程 分類의 새로운 面을 보여 주었다. 本 硏究에 의하여 抽出된 論理와 종합하여 얻어지는 結果를 앞으로의 音大가 나아가야 할 方向이라고 판단하여 提示하면 다음과 같다. 1. NASM의 標準値에 따라 敎科課程을 分析하면, 韓國의 音樂大學의 敎科課程의 평균치는 Conservatory와 School of Music의 중간體制임을 알 수 있다. 2. 韓國音大의 體制 中중에는 Music Speculativa 分野에 重點을 두어 敎科課程을 편성하는 美國의 Music Department 體制가 存在하지 않는다. 앞에서 내린 결론에 입각하여 韓國의 音樂大學 體制의 바람직한 發展을 爲한 韓國音大 體制나 敎科課程의 나아갈 進路를 提示하면 다음과 같다. 1. 音樂全般의 分野에 있어 균등한 發展을 이루기 위하여, 美國의 音大體制中에서 Musica Speculativa 分野에 重點을 두어 敎科課程을 편성하는 "Music Department" 體制의 도입도 必要하다고 판단된다. 2. 音樂敎育의 發展을 爲한 바람직한 音大 敎科課程의 개선을 爲하여 音樂全般의 分野에 따른 새로운 音樂 專門職의 開發이 要求되어, 보다 바람직한 敎科課程의 作成을 爲한 多方面의 分野에 걸친 敎授陳이 충당되어야 한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