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감정이입과 지각 불일치의 관점에서 본 정신분열증 환자의 가족관계 특성 연구

Title
감정이입과 지각 불일치의 관점에서 본 정신분열증 환자의 가족관계 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mili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chizophrenia in the perspective of Empathy and Perception Incongruence
Authors
김정진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사업학과
Keywords
감정이입지각 불일치정신분열증 환자가족관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숙
Abstract
This study was concerned about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chizophrenic fami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 whether the schizophrenic families group and normal families group differed significantly in terms of empathy and perception incongruence in intrafamilial relationship The hypothesis Ⅰ tested was that mother's empathy score is lower in the schizophrenic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hypothesis Ⅱ tested was that the perception incongruence score is higher in the schizophrenic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used experimental tools were Robert Hogan's Empathy Scale(ES:1969) and Rudolf Moos' Family Environmental Scale(FES;1975). They were administered to schizophrenic and control group. The ES composed of 64 items was utiliz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efficiency and social adeqacy. The total score of subject is empathy score. The FES of 27 items consisted of three subscales; cohesion expressiveness conflict was utilized assess the relationship dimension of family climite. A perception incogruence score assesses the extent to which family members disagree with their family relations.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26 families of A girl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according to age. family size, education and economy to the schizophrenic group. The schizophrenic group consisted of 26 families of psychiatric inpatients and outpatients diagnosed of schizophrenia from 6 general hospitals in seoul. At the time of study each nuclear family had at least one child over the middle school age and family members were living together.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over a period of two months from the beginning of September to the middle of November 1983, after the pretest of instrument. To analize the data and test the hypothesis, t-test with mean differenc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The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ing was as follows; In hypothesis Ⅰ, mother's empathy score of the schizophrenic group was 30.1 and the control group's mother score was 33. The difference of th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01 level. The hypothesis I that empathy score of mother or father in the schizophrenic group is lower then the score of mother or father in the control group was partially supported. In the hypothesis Ⅱ, the schizophrenic group's incongruence score was 5.76 and the control group's score as 4.51.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0.02 level. The hypothesis Ⅱ that the schizophrenic group's perception incongrunce score on family relationship i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score was supported. In conclusion, the famili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chizophrenia in the perspective of empathy and perception incongruence is the inconsistency among the intrafamilial members in these process. Therefore, the schizophrenic group ha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disharmony of empathic and perception process, and specifically mother's low empathic ability. It is suggested that social work intervention designed to increase empathic ability of mother and intrafamilial empathic communication may be useful avenue toward improved schizophrenic pathology these characterized family.;사회가 산업화, 도시화되어 감에 따라 점차 인간의 고립현상이 만연되어 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정신질환의 誘病率도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런 현실에서 정신분열증은 정신질환의 주요 형태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정신의학계 및 정신의료 사회사업계의 집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 현재까지 정신분열증에 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최근의 추세는 그것을 인간이 살고 있는 물리적 환경의 차원에서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내지 경제사회적 차원에서 특히 하나의 단위로서의 가족과 정신분열증 간에는 어떤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명제가 부각되고 있다. 이에따라 1950년 이후 구미에서는 정신분열증에 관한 제 이론들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 가족의 문화적 특성 및 정신분열증 환자 가족의 관계특성이 뚜렷이 제시되고 있지 못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그 이론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우리의 특유한 맥락에서 구미의 기존 이론들을 검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임상적 유효성 여부 또한 신뢰할 만한 근거가 희박하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구미의 정신분열증에 관한 제 가족관계 이론들을 고찰해 보고 감정이입과 가족관계에 대한 지각의 관점에서, 그들 변수들을 측정하는데 유효하다고 검증된 감정이입 척도와 가족환경 척도를 사용하여, 일반대조군 가족과 비교함으로써, 정실분열증 환자 가족의 관계 특성을 究明하고, 그에 수반되어 결과되는 우리 고유의 임상적 실마리를 확인해 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두가지 주된 가설을 세웠다. 제 1가설은 '정신분열증 환자의 어머니나 아버지는 대조군의 어머니나 아버지보다 감정이입의 점수가 낮을 것이다' 이고, 제 2가설은 '정신분열증 환자 가족의 가족관계에 대한 지각불일치 점수는 대조군 가족의 지각불일치 점수보다 높을 것이다'라는 것이었다. 연구결과 제 1가설에서는 어머니만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P<0.01) 가설의 일부가 검증되었다. 제 2가설에서는 환자군 가족의 불일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P<0.02) 가설이 받아들여졌다. 이 가설 검증의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정신분열증 환자의 가족은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구미의 그것과 대부분 유사하지만, 어머니의 감정이입 능력이 유의하게 낮았다는 것이 고유성이라 하겠다. 그런데 여기서 감정이입의 능력이 적은 어머니가 반드시 정신분열 因性的 (schizophrenogenic) 어머니라고는 볼 필요가 없다고 보아야할 것이고 오히려, 우리 사회의 사회문화적 내지 경제사회적 차원에서 어머니의 감정이입 정도를 좀더 분석해야할 필요성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위의 결론과 함께 본 연구자는 그 해결책에 관한 제언을 했다. 즉, 정신분열증 환자의 가족관계는 구성원간의 감정이입과 지각불일치라는 변수가 작용함을 유의해야 한다. 이에 따라 개인 단위와 함께 가족 단위의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 개인 단위의 경우 치료과정 중 사회사업가가 어머니에게 감정이입의 능력과 기술을 향상시켜 주는 감정이입 훈련이, 가족단위의 경우 환자를 포함하여 가족관계가 감정이입적 의사소통이 되어 가족의 응집력이 향상되고 지각 불일치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사회사업가 측의 상호작용 지향의 가족접근이 요망된다는 결론으로 본 논문을 마무리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