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친구 지각에 관한 일 연구

Title
친구 지각에 관한 일 연구
Other Titles
(The) Research of perceptions in friendships : focusing on children and adolescents
Authors
백화정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친구아동청소년교육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태련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이 그들의 친구 관계를 얼마나 지지적인 것으로 지각하는지를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학교 3학년, 6학년, 중학교 3학년 남녀 학생 총 259명으로, Berndt Perry(1986)의 조사 방법에 따라 본인이 구성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행해졌다. 질문지는 지지적 관계(supportive relationships)를 재기 위한 것으로, 공유 활동, 친사회적 행동, 친밀감, 신의, 애착/자존심 고양, 정보 등 6개의 하위 변인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처리는 6개 하위 변인 각각에 대한 평균 평정을 종속 변인으로 하여 3 × 2 × 2 ( 학년별 × 성볕 × 친구 유형별)의 요인 변량분석과 보충적으로 t-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친구 유형(친구, 지인)에 따른 평정에 있어 국민학교 3학년, 6학년, 중학교 3학년 등 대상이 된 학년 모두에서 친구와 지인의 평정 점수간에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결과는 아동들이 그들의 실제 친구 관계에서도 가설적인 친구 관계에서의 기대와 마찬가지로 지지받고 있다고 지각함을 말해준다. 2. 6개 하위 변인 모두에서 학년의 주효과와, 친구 유형과 학년간의 상호 작용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이 효과는 국민학교 3학년이나 중학교 3학년 학생에서보다 국민학교 6학년 학생들에서 더욱 뚜렷한 친구 - 지인간의 구분을 하는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선행 연구들에서는 밝혀지지 않은 내용이다. 이 결과는 보충적인 연구를 필요로 하는 부분이다. 3. 공유 활동, 친사회적 행동, 친밀감, 그리고 정보 변인의 경우 성에 따른 주효과를 나타내고 있는데, 대체로 여학생들의 평정이 남학생들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성과 친구 유형간의 상호작용은 신의와 애착 두 변인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남학생 보다 여학생들에서 친구와 지인간의 구분을 더욱 뚜렷이 하는 데에서 나타난 결과이다.;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perceptions of supportive relationships of their own friendships. Subjects of this reserch are those of 3rd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3rd graders of middle school total of 259 boys and girl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made following the method of Berndt & Perry(1986)'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qustionnaire is supportive relationships, which consists of 6 subvariables such as play/association, prosocial behavior, intimacy, loyalty, attachment/ self-esteem enhancement, and information. The data are analyzed by 3 X 2 X 2(grade X sex X friendship) ANOVA and t-test as supplementary method. The results are : (a) Ratings of friend and acquainta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ree grades. This result suggests that children perceive their actual friendship as supportive one just as their conceptual friendship expectations (b) Each 6 subvariables shows a strong main effect of grade an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friendship and grade. This interaction effect came from 6th graders' differentiations between friend and acquaintance is more apparent than other's. This result has not been shown in previous researches, so more studies have to be done (c) Variables such as play/association, prosocial behavior, intimacy, and information showed main effect of sex. Girls' rating is higher than boys' is the reason of this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between friendship and sex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loyalty and attachment. Girls' differentiation between friend and acquaintance is more apparent than boys' is the reason of this resul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