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0 Download: 0

室內環境改善 要因으로서의 유리活用에 關한 硏究

Title
室內環境改善 要因으로서의 유리活用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ING GLASS AS FACTOR FOR INTERIOR ENVIRONMENTAL IMPROVEMENT : ON THE MODEL OF THE HOTEL LOBBY
Authors
許瓊淑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Keywords
실내환경개선유리활용호텔 로비공간USING GLASS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배만실
Abstract
우리가 空氣의 중요성을 간과하듯이, 유리 또한 人間의 生活空間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관심도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유리에 대한 科學的 탐구인 유리工學 분야와 建築學 분야는 각기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나, 실로 중요한 室內空間과 유리의 관련성에 관한 탐구가 미비한 점은 매우 안타깝다. 本 硏究는 이러한 점을 인식하여 室內環境에서 유리가 갖는 意味를 강조하고자 하며, 유리가 室內環境改善에 어떠한 要因으로 作用하는지 밝히고자 하는 目的에서 시도되었다. 유리는 窓의 槪念인 透視性과 벽의 槪念인 遮斷性이라는 상반되는 성질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점에서 室內環境改善을 위한 活用의 여지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 本 硏究論文의 展開內容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지 規制하기 위한 것이 空間이 아니라 自然과 一體가 되는 空間이 그 추구하는 바이며, 이때 유리를 通하여 自然과 融合하는 空間이 된다는 유리의 필연성을 硏究의 촛점으로 제기하고, 둘째, 유리는 위험부담을 가진 科學的 産物인 만큼 실제 活用時에 대비하여 그 物理的 성질과 특성에 관해 考察한다. 세째, 유리部가 室內環境改善에 미친 영향을 세가지 측면으로 分析한다. 유리의 채광성, 조망성, 차단성, 개방성을 포함한 環境的 측면과 Frank Lloyd Wright와 Mies van der Rohe의 건축정신을 통해 본 유리의 心理的 측면, 그리고 유리部가 美學的으로 어떻게 해석되는가에 관한 측면이다. 네째, 유리活用 計劃의 대상으로서 호텔로비 空間을 설정하여 現況을 평가하고 유리部 계획을 위한 기초로서 호텔로비空間의 일반적인 室內디자인에 관해 考察한다. 다섯째, 自然으로부터 고립되고 정체된 空間이 活性化된 空間이 되도록 유리部를 계획한다. 本 硏究는 이러한 展開過程을 거치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유리는 採光性, 眺望性, 遮斷性, 그리고 開放性이라는 多面的 側面을 갖고 있으므로 室內環境改善을 위한 活用의 여지가 매우 크다. 둘째, 폐쇄된 現代의 室內空間에서 自然과 融合하여 一體感을 갖게하며, OPEN SPACE를 창출하는 계기가 되게 한다. 세째, 벽면에 대해 유리部가 그림이 된다는 Aesthetic적 묘미와, 유리部 形態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空間을 창조한다는 장점이 있다. 네째, 호텔로비의 유리 벽면 계획으로 心理的 開放感, 영역의 확대감을 취하고, 天窓 계획으로 室內의 전반적인 自然採光을 확보하여 活性化된 室內環境을 형성한다.;As we overlook the importance of air, also we are not concerned about 'glass', in spite glass is greatly used on architectural space. They are very developed, glass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however it is regretable that is insufficient for relation study between interior environment and glass. In recognition of this point, this study emphasizes the meaning of glass in interior environment and clarifies the glass is the factor for interior environmental improvement. Glass has 'seeing-through' concept of window, and simultaneously 'shutting' concept of wall. Therefore with glass, there is much room for glass to improve interior environment.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 Chapter one/purpose and method of this study. It brings up a problem about necessity of glass in interior environment. · Chapter two/Theoretical research on physical quality of glass. Glass is scientific product with danger, so it needs to research on physical quality of glass. · Chapter three/Influence of glass on interior environmental improvement. This chapter describes three dimensions of glass; environmental, psychological and aesthetical dimension. · Chapter four/From doing case study on the model of model of Hotel Lobbies & planning glass part on Paradise Beach Hotel Lobby, isolated and shutted space returns to active on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