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국홍일-
dc.contributor.author안화영-
dc.creator안화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2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6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8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687-
dc.description.abstract좌창의 원인들 가운데서 수종 외용도포물질의 반복적인 사용이 모낭벽의 이상각화를 초래하여 기왕의 좌창을 악화시키거나 면포의 형성을 일으킬 수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이들 물질들의 면포생성능력과 정도를 사전에 측정할 수 있는 실험적인 방법을 필요로 한다. 이에 저자는 흔하게 사용되는 화장품성분 14종과 식물성유제 3종, 0.06% betamethasone dipropionate 연고제 및 8% sulfur제를 가지고 가토의 외이도에 2주간 도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1. 14종의 화장품성분중 propylene glycol과 petrolatum은 면포 생성력이 없었고, squalene, acetylated lanolin, polyethylene glycol, cetyl alcohol, Tween 80에서는 경도, Propylene glycol monostearate,sodium lauryl sulfate, oleic acid에서는 중등도, myristyl myristate, isopropyl myristate, butyl stearate, myristyl lactate에서는 고도의 면포생성력이 관찰되었다. 2. Olive oil, sesame oil, corn oil의 3종의 유제에서는 중등도내지 고도의 면포생성력이 관찰되었다. 3. 8% sulfur제 및 0.06% betamethasone dipropionate 연고제에서는 중등도의 면포생성력이 각각 관찰되었다. 4.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육안적 소견과 일치하였다.;With the marked propensity the human possesses for the application of various materials to the acne areas of the skin, it is natural to wonder whether any of these substances are acnegenic.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omedogenicity of several cosmetic ingredients, vegetable oils, steroid and sulfur. The test materials were applied to one ear canal of rabbits for 6 weekdays for 2 weeks. The results were an follows: 1. Among the 14 cosmetic ingredients, no comedogenicity was shown in propylene glycol and petrolatum, mild comedogenicity in squalene, acetylated lanolin, polyethylene glycol, cetyl alcohol and Tween 80. Propylene glycol, sodium lauryl sulfate and oleic acid showed moderate comedogenicity. Severe comedogenicity was observed in myristyl myristate, isopropyl myristate, butyl stearate and myristyl lactate. 2. Moderate to severe comedogenicity was shown in olive oil, sesame oil and corn oil and moderate comedogenicity in sulfur(8%) and betamethasone dipropionate (0.06%). 3. Histopathologic gradings were paralleled the findings of the naked ey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실험재료 및 방법 = 2 1. 실험재료 = 2 1) 실험물질 = 2 2) 실험동물 = 2 2. 실험방법 = 2 3. 판정기준 = 4 1) 육안적 소견상의 판정기준 = 4 2) 병리조직학적 소견상의 판정기준 = 4 Ⅲ. 실험성적 = 6 1 . 화장품성분 도포에 의한 가토 외이도 피부의 육안적 및 병리조직학적 성적 = 6 2 . 식물성유제 도포에 의한 가토 외이도 피부의 육안적 및 병리조직학적 성적 = 6 3 . 8 % sufur제와 0.06% betamethasone dipropionate 연고제 도포에 의한 가토 외이도 피부의 육안적 및 병리조직학적 성적 = 8 4 . 도포물질에 따른 가토 외이도 피부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의 비교 = 8 5 . 면포생성력의 정도에 따른 실험물질의 분류 = 8 Ⅳ. 고찰 = 11 Ⅴ. 결론 = 18 REFERENCES = 19 사진부도 및 설명 = 22 ABSTRACT = 3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35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가토-
dc.subject외이도-
dc.subject외용도포물질들-
dc.subject좌창발생-
dc.subject.ddc600-
dc.title家兎 外耳道를 利用한 外用塗布物質들의 座瘡發生에 關한 實驗的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EXPERIMENTAL STUDY ON COMEDOGENICITY OF SEVERAL EXTERNAL CONTACTANTS-
dc.format.pagevii, 3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8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