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9 Download: 0

이동규칙과 통사층위에 관한 연구

Title
이동규칙과 통사층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Move-α and Syntactic Levels
Authors
金廷實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이동규칙통사층위영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익환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Riemsdijk & Williams (1981)의 주장과는 달리 NP-이동규칙(NP-movement)과 wh-이동규칙(wh-movement)을 같은 층위에서 적용해야 하며 또한 S-구조(S-structure) 가 LF층위의 입력부(Input)가 되어야 타당함을 입증하는 데 있다. 제Ⅱ장에서는 GB-이론에서의 층위 설정과 Move-α의 특성, 그리고 이 Move-α의 출력부(Output)가 되는 S-구조의 설정이 타당함을 논한다. 제Ⅲ장에서는 Riemsdijk & Williams(1981)가 재구조화한 L-모형(Linear Model)에 대해서 논한다. L-모형에서 새로운 층위인 NP-구조(NP-structure)와 S-구조의 입력부로서 LF층위를 설정하게 된 동기를 살피고 NP-구조 설정의 타당성으로 제안된 NP-구조의 특성이 오히려 층위의 혼란을 가져온다는 점을 지적한다. 제Ⅳ장에서는 PRO-이동(PRO-movement)에 대해서 살펴 본다. PRO-이동을 wh-이동의 한 유형으로 볼 때 L-모형에서 PRO-이동을 다룸에 있어서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고 따라서 NP-이동과 wh-이동규칙은 같은 층위에서 적용되어야 타당하다는 것을 보인다. 제Ⅴ장에서는 wh-이동과 LF층위에 대해서 논한다. 먼저 결속관계(Binding Relationship)를 들어 L-모형에서의 LF층위는 완전히 해석받지 못한 층위임을 지적하고 상응여과(Correspondence Filter)로써 공범주원리(Empty Category Principle)를 대신하기 위해서는 S-구조가 LF층위의 입력부가 되어야 하며 상응여과가 공범주원리를 완전히 대신해 주지 못함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완성구성성분제약(Complete Constituent Constraint)으로 설명되는 현상들이 L-모형하에서는 LF의 입력부로서 S-구조가 작용할 때에 비로서 올바르게 설명될 수 있음을 본다. 따라서 LF층위가 S-구조의 입력부가 되는 L-모형의 층위 설정이 타당하지 않음을 입증한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at NP- and wh-movement reduced to the rule schema Move-α must apply at the same level (i.e., D-structure) and that S-structure is the only input to LF. In chapter Ⅱ, I investigated the levels of representation in GB-theory and Move-α.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the traces left by the application of NP- and wh-movement, we may conclude that NP- and wh-movement should be reduced to Move- α and that S-structure, the output of Move- α should be postulated as a syntactic level. Chapter Ⅲ is concerned with the L-model (Linear Model) remodelled by Riemsdijk & Williams(1981). In the L-model, NP-structure functions as the output of NP-movement and the sole input to LF which is in turn the input to S-structure. I point out that the existence of NP-structure as a syntactic level raises some confusions between the levels. In chapter Ⅳ, PRO-movement is investigated. Regarding PRO-movement as a type of wh-movement, we can have some consequences unfavorable for the L-model. Then, it is shown that NP- and wh-movement should not be considered as separate modules. Chapter Ⅴ treats the interaction of wh-movement and LF. First, it is claimed that LF is not completely interpreted in the L-model concerning Binding Relationship. Second, it is also claimed that S-structure must be the input to LF in order to replace Empty Category Principle by the Correspondence Filter in the L-model. Furthermore, it is clear that some facts explained by the Complete Constituent Constraint can not be accounted for without applying it to the post-wh-movement structure. These facts argue against the L-model.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post-wh-movement structure must be the input to LF contrary to the prediction of the L-mod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