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9 Download: 0

관현합주곡에서의 해금 선율 고찰

Title
관현합주곡에서의 해금 선율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F THE MELODY OF HAEGUM IN ORCHESTRAL MUSIC
Authors
崔眞雅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과
Keywords
관현합주곡해금선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운조
Abstract
奚琴은 樂器 分類法에 의하면 엄연히 絃樂器에 속하면서도 흔히 管樂으로 편성되고 있다. 이러한 奚琴이 管絃合奏曲에서 管樂器에 더 가까운 旋律을 가졌는지 또는 絃樂器와 더 類似한 旋律을 가진 樂器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本 硏究의 目的이다. 이 硏究를 위하여 奚琴의 旋律을 대금·피리·가야금·거문고의 旋律과 各各 서로 比較하여 보았다. 旋律 比較 方法은 한 拍子를 기본 단위로 하여, 比較한 旋律이 서로 같은지 혹은 다른지만을 단순히 알아 본 것이다. 管絃合奏曲 中 柳初新之曲·重光之曲·千年萬歲·壽延長之曲·頌九如之曲·與民樂의 旋律을 比較한 결과 알 수 있는 사실의 하나는 柳初新之曲과 重光之曲의 上靈山·中靈山처럼 느린 속도로 연주되는 곡에서의 奚琴 旋律은 피리·대금 旋律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곡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管樂器들과의 유사성은 줄어들고, 오히려 絃樂器 旋律과의 유사성이 더욱 높아진다는 점이다. 그리고 各 曲을 細分하여 살펴보면 奚琴 旋律이 때때로 絃樂器 中 특히 가야금 旋律과 더욱 一致하는 부분도 있으나, 여섯 曲의 통계에 의한다면 해금 旋律과의 공통 旋律이 피리 89.6%, 대금 86.4%, 가야금 70.4%, 거문고 65%로 나타나고 있어서 해금 旋律은 絃樂器 보다는 管樂器의 旋律과 더 많은 共通 旋律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해금과 共通 旋律을 많이 이루고 있는 樂器의 順位에 있어서 대금·피리順이거나 또는 피리·대금順으로 뒤바뀌는 현상은 보이지만, 해금 旋律이 絃樂器 보다 管樂器의 旋律과 더 많이 類似하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本 硏究를 통하여 奚琴 旋律은 管樂器와 類似한 旋律을 가졌고, 그 중에서도 대금 보다는 피리 旋律과 더욱 同一한 旋律이며, 絃樂器 중에서는 거문고 보다는 가야금 旋律과 더 一致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A Haegu˘m( 奚琴 ) is classified as a stringed instrument(絃樂器), however practically it is regarded as a wind instrument(管樂器).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ich melody is more similar to that of Haegu˘m(奚琴), a wind instrument(管 樂器) or a stringed instrument(絃樂器), in orchestral music (管絃合奏曲).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lody of Haegu˘u(奚琴)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aegu˘m(大等) P'iri(피리), Kayagu˘m(伽倻琴) and Ko˘mungo(玄琴) respective. The comparative method of melody is to discover that the compared melodyies are same or not each other under the bassic unit of a beat(拍子).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method with Yucho'sinjigok (柳初新之曲), Chunggwangjigok(重光之曲), Ch'unyu˘nmansei (千年萬歲 ), Songguyo˘jigok(頌九如之曲), S'uyo˘njangjigok (壽延長之曲 ), and Yo˘millak(與民樂) are as follows. The melody of Haegu˘m(奚琴) is very similiar to those of P'iiri (피리) and Taegu˘m(大琴) in the slow-tempo musics such as Sangyo˘ngsan(上靈山) and Chungyo˘ngsan(中靈山) of Yucho'sinjigok (柳初新之曲) and Chunggwangjigok(重光之曲). On the other hand. the tun become to be played faster, the similarity with a wind instrument become to be smaller, contrary, the similarity with a stringed instrument become to be higher. The melody of Haeg˘um(奚琴) has more somewhat that of Kayagu˘m among stringed instruments .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method with six musical pieces, however, the persentages of common melodies with the Haegu˘m(奚琴) show that P'iri(피리), Taegu˘m(大琴), Kayagu˘m(伽倻琴) and Ko˘mungo (玄琴) are 89.6%, 86.4%, 70.4% and 65% respectively. Accordingly, it is made clear that the melody of Haegu˘n(奚琴) has more common melodies with instrument than stringed instrument. The rank of instruments to have common melodies with Haegu˘m(奚琴) can be reversed Taegu˘m(大□) and P'iri(피리) or P'iri(피리) and Taegu˘m(大□), but it is true that the melody of Haegu˘m(奚琴) is more similar to the wind instruments than that of the strings . Resultly, this study shows that Haegu˘m(奚琴) produce similar melody to that of wind instrument, more like the melody of P'iri(피리) than Taegu˘m(大□). And so it was found that it is more like the melody of Kayagu˘m(伽倻琴) than Ko˘mungo (玄琴) in the stringed instru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