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유방 자극 수축검사가 모체 및 제대혈청 CORTISOL치에 미치는 영향

Title
유방 자극 수축검사가 모체 및 제대혈청 CORTISOL치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Cortisol response associated with breast stimulation-contraction stress tests
Authors
양미희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유방 자극모체제대혈청CORTISOL수축검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姜信明
Abstract
유방 자극 수축검사는 자궁수축과 태아 심박과의 관계를 관찰하는 자극검사로서 oxytocin 정맥내 점적 수축검사에 비해 실용적이고 편리한 검사이다. 유방을 자극함으로 자궁수축이 유발되고 진통이 오면 이 진통자극으로 모체의 혈청내의 cortisol 치가 높아지며, 태아 혈청내 certisol 치도 증가한다. Cortisol은 태아의 폐를 성숙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실험은 임신 38-42주의 합병증이 없고, 진통이 없는 만삭임부 25예에서 유방의 자극으로 규칙적인 자궁수축을 30분간(9예)및 40분간(9예)유발시켜 유방자극 수축검사가 모체 및 태아제대혈청 cortisol 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유방자극전 및 유방자극 후 규칙적인 자궁수축이 나타나는 군과 유방자극을 40분간해도 규칙적인 자궁수축이 유발되지 않은 군(7예)의 모체혈청 cortisol 치와 제왕절개 분만을 한 태아제대혈청 cortisol 치의 변화를 방사면역법에 의해 혈청중 cortisol 치를 측정·관찰한 결과에 대한 보고이다. 즉 진통이 없는 만삭임부 7예의 모체혈청 cortisol 치를 측정하고, 유방자극을 주지 않고 자궁수축이 없는 상태에서 제왕절개술을 하여 분만한 태아의 제대혈청 cortisol 치를 측정하여 비교·관찰하였다. 1. 만삭임부에서 유방자극을 하지 않고 진통이 없는 군의 모체혈청 cortisol 치는 407.9±52.4 ng/ml였으며, 태아 제대혈청 cortisol 치는 110.1±11.8 ng/ml 였다. 2.유방자극 후 30분간 및 40분간 규칙적인 자궁수축을 유발시켜 수축검사를 한 군들에서 모체혈청 cortisol 치는 각각 473.8±60.6 ng/ml, 498.3± 69.1 ng/ml로 유방자극 전의 모체혈청 cortisol 치에 비해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으나, 40분간의 자극군에서는 자극 후의 cortisol 치가 5.5% 증가하였다. 모체혈청 cortisol 치가 유방자극 전보다 유방자극 후에 증가된 예의 빈도는 유방자극으로 30분간의 규칙적인 자궁수축군에서는 44.4%, 40분간의 규칙적인 자궁수축군에서는 55.6%였고, 유방자극으로 규칙적인 자궁수축이 오지 않는 군에서는 28.6%였다. 3 유방자극 후 제왕절개술로 분만된 태아의 제대혈청 cortisol 치는 30분간, 40분간의 규칙적인 자궁수축 및 규칙적인 자궁수축이 오지 않는 군에서 각각 127.2±16.5 ng/ml, 125.2±11.8 ng/ml 및 165.2±31.1 ng/ml로 유방자극을 하지 않은 대조군의 제대혈청 cortisol 치 110.1±11.8 ng/ml에 비해 통계학적 의의는 없으나 증가된 경향을 나타낸다. 4. 대조군의 모체 및 제대혈청cortisol 치의 비율은 3.7:1이며, 유방자극을 한 군들의 모체 및 제대혈청 cortisol 치의 비율은 3.9 : 1∼3.2 : 1로 비교적 일정하게 비율을 유지하였다.;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s of cortisol levels in maternal and cord serum after breast stimulation in the pregnant women at 38 to 42 gestational weeks. It is based on the 32 cases of uncomplicated term pregnant women without labor including 7 cases of control subject undergoing elective cesarean section without breast stimulation and 25 cases undergoing cesarean section after breast stimulation (9 cases with 30 minute contraction stress test (CST), 9 cases with 40 minute CST, and 7 cases with poor uterine contraction). Breast stimulation was tried to induce CST with 3-4 contractions per 10 minutes for 30-40 minute duration just before cesarean section to term pregnant women.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mothers before and after breast stimulation and from fetal cord right after cesarean section delivery. Serum cortisol was analyzed by solidphase radioimmunoassa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erum cortisol levels of maternal and fetal cord blood were 407.3 ± 52.4 ng/ml, and 110.1 ±11.8ng/ml respectively in control cases without breast stimulation. 2. Maternal serum cortisol levels in cases after breast stimulation were 473.8 ± 60.6ng/ml in 30 minute CST group, and 498.3 ± 69.1ng/ml in 40 minute CST group respectively and 531.4 ±47.05ng/ml in poor uterine contraction group. These level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initial levels before breast stimulation, bur the level of 40 minute CST group was increased 5.55% compared with the initial level before breast stimulation. The incidence of increased cases of maternal serum cortisol level after breast stimulation compared with the initial maternal serum cortisol level before stimulation were 44.4% (30 minute CST group), 55.6% (40 minute CST group) and 28.6% (poor uterine contraction group) respectively. 3. Cortisol levels of fetal cord serum in 30 minute CST group, 40 minute CST group and poor uterine contraction group after breast stimulation, followed by immediate cesarean delivery were 127.2 ± 16.4 ng/ml, 125.2 ± 11.8 ng/ml, and 165.2 ± 31.1 ng/ml, respectively. These levels showed increased tendency than that of control group without breast stimulation, although those did not show significant higher levels statistically. 4. The ratio of maternal to fetal serum cortisol Level was 3.7:1 in controlled group and the ratios were 3.9:1 - 3.2:1 in 30 minute CST group, 40 minute CST group and poor uterine contraction group after breast stimu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