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손승희-
dc.contributor.author박은주-
dc.creator박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2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9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8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91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현대 종교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하나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James Michael Lee의 종교 교수이론을, '이론과 실제의 일관성'이라는 시각(perspective) 에서 분석, 종합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종교교수'(Religious Instruction), 교수학습 차원에 역점을 두는 것으로, '종교를 가르치는 것' ( teaching religion )이다. 이는 예수와 그의 교회의 중심사역으로, 종교교육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1960년대 이래로, 종교교육계에서는 신학을 종교교육의 학적 체계화를 위한 유일한 틀로 보지 않고, 종교교육의 이론을 형성시키는데 필요한 여러 학문적인 요인들 중의 하나로 보게 되었다. 이러한 학적인 추세와는 달리, 실제현장에서, 심지어는 이론자체속에 실제와 이론이 비일관적으로 실시되고 형성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점을 간파한 J . M. Lee는, 문제의 원인중, 종교교수의 성격과 과제에 타당치 못한 접근 즉, 신학적 접근에서 이론을 형성한 데서 그 근본적인 요인을 발견한다. 그리하여 "종교교수는 신학에 예속되는 한 가지 (a branch)라기 보다는 오히려 사회과학의 한 양태( a mode )이다"라는 대전제하에서 1차적인 이론적인 구조틀을 형성하고, 이 틀 안에서 신학 및 모든 학문들과의 대화를 가능케 하였다. 기본적으로 사회과학적 접근의 근거위에서 제시되는 이론적 설정에 따라, Lee는 어떻게 교육과정과 방법이 응용되는가 하는 구체적인 실제이론(praxiological theory)을 발전시킨다. 결국, J . M . Lee가 논하는 '이론과 실제의 일관성'의 문제는 실제와 일관성있게 형성된 이론을 현장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실현시킬 것이가인 것이다. 결국, Lee는 기초적으로 사회과학적 접근으로부터 종교교수의 이론과 실제의 일관성을 위한 근거를 제시받음으로써, 어떠한 장소에도 구애됨없이 교사의 전문적인 기능에 의하여 효과적인 교수행위를 실시할 수 있게 할 과학적 거시이론(scientific macrotheory)을 제시한 것 이다. 그리하여 Lee의 이론은 신학적 접근의 지배하에 있는 현 종교교수의 이론과 실제의 괴리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을 뿐 아니라, 역사적인 종교교육의 오류인 주지주의와 도덕주의를 극복하고 새로운 통합의 가능성을 시도한 것이다.;This thesis is attempted to analyze and integrate the religious instruction theory and practice of James 'Michael Lee that suggests a new possibility for the problems of the present religious education with the perspective of the consistency of theory and practice. The religious instruction, teaching religion, is focused on the teaching-learning dimension. It is a kind of the intentional education process by and through which desired religious learning outcomes are actually facilitated in some way, This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is the main ministry of Jesus and His church. Since 1960's, theology has not been considered as the unique framework for the scientific system of religious education, but as one of the various scientific elements required in developing the theory of religious education. In spite of this tendency, it is true in the real field of religious education that theory and practice have been inconsistently constructed and performed. As the fundamental reason of the inconsistency of theory and practice, James M. Lee indicates that it is the invalid approach with the character and work of the religious instruction, the theological approach. In fact, "religious instruction is a mode of social science rather than a form of theology." Lee finds the ground for the consistency of theory and practice from social science approach. Because it is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 and work of religious instruction. Under this basic assumption, he suggests the scientific macro-theory that the effective teaching act can be operated autonomously without regard to any place by the professional function of teacher. First of all, Lee constructs the fundamental theoretical framework on the base of social science approach. Therefore he makes possible the communication with even theology as well as social science within this framework. Second, according to this theoretical framework, he develops the concrete praxiological theory of how the aim, content, method, and curriculum of teaching religion can he applied. Through all these works, he shows how effectively the consistency of theory and practice can be actualized in the real field of religious instruction. Consequently he proposes not only the possibility for overcoming the inconsistency of theory and practice Of the religious instruction under the dominant influence of the theological approach, but the integration for overcoming the historical mistakes of the religious education, such as the intellectualism and the moralism. Nevertheless, his theory has some limits; his scientific macro- theory has the contribution to the aspect of the professionality but the overemphasis of it is easy to overlook spirituality, another aspect of religious education. Only when the professionality that Lee emphasizes is integrated to the unique dimension of religious education, the spirituality, the authentic religious education may be accomplish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ⅳ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순서 = 3 Ⅱ. 종교교수 이론과 실제의 일관성의 문제 = 8 Ⅲ. 종교교수의 정의 및 위치 = 13 A. 종교교수의 정의 = 13 1. 종교교수의 명칭 = 13 2. 종교교수의 정체성 = 16 3. 종교교수의 범위 = 18 B. 종교교수의 역사적 위치 = 20 Ⅳ. 종교교수의 이론적 근거 = 26 A. 종교교수의 성격 및 과제 = 26 1. 종교교수의 성격 = 26 2. 종교교수의 과제 = 29 B. 사회과학적 종교교수 = 34 Ⅴ. 종교교수의 실제이론 = 39 A. 종교교수의 목적 = 39 1. 종교교수의 일반적 목표 = 39 2. 구체적 행동목표 = 41 B. 종교교수의 내용 = 43 1. 종교교수 내용의 범위 및 특성 = 43 2. 본질내용의 성격 및 구조 = 44 3. 본질내용의 개념화 = 45 C. 종교교수의 방법 = 54 1. 학습환경 = 55 2. 교수행위 (The Teching act) = 56 ㄱ. 교수이론 (Teaching Theory) = 57 ㄴ. 교수행위의 분류 (texonomy of teaching act) = 59 ㄷ. 교수행위의 구조절차 = 62 ㄹ. 교수모형 (Teaching Model) = 63 3. 교사 = 68 ㄱ. 교사 = 68 ㄴ. 교사훈련 = 69 Ⅵ. 결론 = 73 A. 종합 및 공헌 = 73 B. 한계 및 제언 = 77 참고문헌 = 84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412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James-
dc.subject종교교수이론-
dc.subject교수행위-
dc.subject기독교학-
dc.subject.ddc200-
dc.titleJames M. Lee의 종교교수이론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교수행위의 이론과 실제의 일관성을 위한 고찰-
dc.title.translated(A) Study on James M. Lee's religious instruction theory : a consideration for the consistency of theory and practice of teaching act-
dc.creator.othernamePark, Eun Ju-
dc.format.pagevi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