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모경빈-
dc.contributor.author김명애-
dc.creator김명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9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4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8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411-
dc.description.abstract인체의 생리적 조절계로 기능하는 신경계와 내분비계는 내적 환경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스트레스시에 나타나는 생리적 반응은 신경계 및 내분비계의 통합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신체활동의 내적 환경을 이루고 있는 수분과 전해질 대사에 관련 되어있는 신장은 renin을 분비함으로서 sodium의 재흡수와 관련된 renin-angiotensin-aldosterone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중한 신체활동이나 운동시에는 이들 호르몬 및 전해질의 불균형을 초래할수 있으며 이는 신체의 모든 기능에 영향을 미칠수 있게된다. 한편 간호원은 일일 3교대로 하여 생활주기가 변화되는 특수한 상황에서 간호활동을 하며, 빈번한 근무교대 및 업무 부담으로 많은 스트레스와 피로를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그에 따른 신체 기능의 생리적인 변화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지 않아서 그 관련성 여부가 확실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간호활동이 스트레스와 체액조절에 깊은 관련성을 가지며 체내 환경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몇가지 호르몬 및 신장기능에 어떠한 변화가 초래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3교대별 임상 실습군과 정상 수업군을 중심으로 일부 간호학생의 호르몬 분비 및 신장 기능을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임상 실습중인 전북의대부속 간호전문대학생 30명과, 비교군으로 강의를 받고있는 간호학생 43명 이었다. 채뇨는 낮번 (오전8시 - 오후3시), 초번 (오후3시 - 오후9시), 밤번 (오후9시)의 각 실습이 시작되는 시각과 끝나는 시각에 하였으며 이를 채취하여 뇨중 norepinephrine, cortiso1, renin 및 전해질 농도를 chemical assay 및 radioimmunoassay 방법에 의해 측정,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상 실습군의 뇨중 호르몬 변인중 norepinephrine 농도는 초번과 밤번의 경우 수업군과 유사한 경향이었으나, 낮번 실습시에는 수업군이 68.02 (±11.48) ng/ml 에서 41.61 (±7.95) ng/ml 로 감소한데 비해 (P < 0.05), 실습군은 전의 43.02 (±6.39) ng/ml 로 증가하였다. 뇨중 cortisol 농도는 초번 실습시 현저한 변화를 나타내 수업군이 5.55 (±0.98) ug/dl 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실습군에서는 2.53 (±0.37) ug/dl 에서 5.94 (±0.57) ug/dl 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P < 0.001). 한편 뇨중 renin 농도는 밤번 실습시 큰 변화를 나타내 수업군이 0.29 (±0.04) ngAI/ml/hr에서 0.22 (±0.04) ngAI/ml/hr로 감소의 경향을 보인 반면, 실습군에서는 0.26 (±0.03) ngAI/ml/hr에서 0.26 (±0.03) ngAI/ml/hr로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실습 전후의 ratio도 수업군이 0.85 (±0.13)로 감소한 반면, 실습군은 1.22 (±0.12)로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2. 간호홀동에 따른 신장기능의 변화중 UNa/UCr은 낮번과 초번에서는 양군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밤번에서는 수업군이 179.87 (±9.42) mEq/L/mg/ml 에서 232.16 (±11.96) mEq/L/mg/ml로 현저하게 증가하였음에 비하여 (P < 0.01). 실습군은 266.27 (±16.58) mEq/L/mg/ml에서 131.43 (±8.80) mEq/L/mg/ml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P < 0.001). UCl/UCr은 UNa/UCr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UK/UCr은 양군이 유사한 경향을 보여 간호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뇨중 삼투질 농도도 양군이 유사한 경향을 보여 간호활동량이 항이뇨 호르몬 분비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일일 3교대 간호활동을 하는 간호원의 근무조건 개선을 위해 앞으로 3교대 간호활동에 따른 신체기능의 circadian rhythm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The sympathico-adrenergic system and the hypophyseal-adrenocortical system mediates the regulation of the internal milieu. And the kidneys regulate both water and electrolyte balance of the body fluid. The kidneys are the sites of production of renin which participate indirectly in maintaining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These system deserve spetial attention in the context of adjustment the effects on the body function. And so, maxixal exercise and work load are associated with homeosthetic function. The nurses working in the hospital have been complained of fatigue and stress by frequent duty changes and overload. In order to define this, the possible changes of hormonal excretion during three-shift nursing practice were investigated.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at pre-duty and post-duty, and were measured with chemical assay and radioimmunoassay in 30 nursing students, in nursing practice and 43 nursing students, in studying.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nursing practice, urinary norepinephrine concentration showed a marked increase during day duty, urinary cortisol concentration showed a marked increase during·evening duty, and urinary reni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night duty 2. Corrected ratio of urinary sodium excreted by the urinary excretion of creatinin (UNa/UCr) and UCl/UCr shoved a marked decrease during night duty. Nursing practice did not affect on the UK/UCr and urinary concentrating ability.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to define the effects on some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three-shift nursing practice against circadian rhythm are needed for better working condition of nur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3 A. 연구대상 = 3 B. 연구방법 = 4 Ⅲ. 연구결과 = 12 A. 임상 실습군의 뇨중 호르몬과 전해질 농도변화 = 12 B. 수업군의 뇨중 호르몬과 전해질 농도 변화 = 17 C. 실습군과 수업구느이 뇨중 호르몬 및 전해질 농도 비교와 Ratio 비교 = 20 Ⅳ. 고찰 = 31 Ⅴ. 결론 및 제언 = 37 A. 결론 = 37 B. 제언 = 38 참고문헌 = 40 ABSTRACT =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96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일일 3교대-
dc.subject호르몬-
dc.subject신장기능-
dc.subject변화-
dc.title일일 3교대 간호활동시 호르몬분비 및 신장기능의 변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HANGES OF IRINARY HORMONAL EXCRETION AND RENAL FUNCTION DURING THREE-SHIFT NURSING PRACTICE-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