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채희완-
dc.contributor.author馬福一-
dc.creator馬福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9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4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8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410-
dc.description.abstractCompiling documents from critical essays on dance performance, as a cornerstone of the study on the Korean Dance History, I have classified on the period when dance began to be regarded as a cultural experience and a theatrical art. I have also summarised same critical visual angles to be found in those documents. In the instruction, I refer to the background of the times the early years, the performance condition in which our classical dance had made inroads into the theatre stage without any artistic consideration, and the necessity of investigating the collected materials. Then I try to arrange them by matters, remaining several problems occured in classifying the commentary writings about dance. The comments collected are classified by matter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The first is the periodical division, the second , somewhat enlightenment manifestos on Korean Folk Dance, development of dance, and dance education, and the third, the ones containing critical tint, though not regular, for instance, a nonprofessional account of impression and a discussion of dancer. Also I treat the articles relative to dance separately, among them what refers sufficiently to dance is included into the main discussion. Autobiographical records, reports on dance performance, and the ones pertaining to none categories are treated here, too. Next, I seize the critical visual angles represented in these comments with the eyes on tradition, on dance theory reflecting western influence, and on the dancers of the day. The commentary writings are largely made on the story of the dancer who leaded so called "New Dance". In nineteen-twenties, prevaiIing articles pertains to various aspects on dance. For example, the ones giving first consideration to interest, guides in form of individual expression, and the dancer's opinion, autobiographical records, etc. In the nineteen-thirties, the most contributors were non-professional dance critics with main background as writer, such as Dong-whan Kim, Seol-ya Han, Mun-chip Kim, Yeun-Sook Mo, Sueng-ill Choe. The appearance of professional dance critics occured much late. In the articles of folk dance and developmen of dance written by exports on folk-lore, Seok-ha Song, Neung-Wha Lee, etc., the necessity of correct understanding as to folkart and of inspiring the independant spirit are emphasized from the view point that dance would carry on our traditional as well as nationalistic culture heritage to next generations, eve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In the articles on dance of that period, we can see that the author replaced the meaning "folk" with the concept of "Chosen" or "Nation" against the Japanese policy on eradication of the Korean cultural genuiness. We can discover the critical articles maintaining that we develop the rural-dancing and make it as a guidance to national art of the people, and describing criticism against the new-angled dancing-promoters who assert the modernization without any understanding of our folk-dance. But I should conclude that the articles on dancing from 1920 to 1945 haven't value to be known as well-balanced and regular ones.;본 논문은 역사적 연구의 礎石으로서 舞踊史 내지 舞踊枇評史의 자료 集成에 목적을 두고 무용이 예술, 나아가 문화로서 우리 사회에 인식되기 시작하는 1920년대부터 1945년까지의 무용평문을 수집, 분류하면서 그러한 글에서 밝혀볼 수 있는 批評的 視覺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우선 머릿글에서는 전래된 古典舞踊이 아무런 변형없이 극장무대에 올라지고 서구의 무용이 우리에게 처음 소개되기 시작하는 20세기 초기의 시대적 배경과 무용 상황, 그리고 평문을 통한 무용비평의 초기 情況을 대략적으로 언급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이 시기의 무용평문을 분류하고자 했을때 따르는 몇가지 문제점을 문제점으로 둔채로 내용별 정리를 시도하였다. 수집된 무용평문을 내용에 따라, 첫째, 향토무용론·무용진흥론·무용교육론등 무용시평에 해당하는 것. 둘째, 무용에 관한 언급이 비교적 충실한 무용론이라든가 非專門적이긴 하지만 공연평의 것, 그리고 무용가론등 무용평론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아도 좋은 것. 세째, 공연평에 포함시키기에는 충분치 못한 단순한 인상기 및 自傳的 記錄, 報道用 關係記事 그리고 위의 어느 분류에도 합당치 않은 무용에 관한 글 등으로 三大別하여 여기에 모아 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위의 무용평문들에게서 보이는 비평적 시각을, 첫째, 傳統에 대한 視覺, 둘째, 舞踊을 보는 눈, 세째, 現代化 작업을 포함한 辯舞踊論, 그리고 그 당대 활약했던 무용가를 보는 눈 등을 중심으로 밝혀 보고자 하였다. 舞踊評文은 주로 신무용을 이끌어 갔던 무용가 본위로 이루어졌으며 흥미위주의 취재기사와 個人發表會를 중심으로 한 紹介, 그리고 舞踊家 자신의 舞踊論 내지 自傳的 기록의 글 등으로 1920年代에는 무용발표회의 소개등 무용관계 기사의 글이 主를 이루었다. 1930 年代에 들어 무용비평 초기 情況을 알수 있는 글들은 金東煥, 韓雲野, 金文輯, 毛允淑, 崔承一 등의 文筆家에 의해 쓰여졌던 만큼 비전문적 인상기였다. 민속학자 宋錫夏, 李能和 등에 의해 쓰여진 鄕土舞踊論이나 舞踊振興論에서는 일제 통치기라는 民族的 비운의 시대적 상황하에 民族文化 産出을 위한 전통계승이라는 側面에서 民俗藝術에 대한 올바른 태도의 필요성을 주지시키고 있으며 무용이 독립정신 고취의 일환으로 시도되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 시기의 舞踊評文에서 일제의 民族文化 말살 정책하에서 향토라는 意味를 朝鮮 또는 民族이라는 의미로 대치하여 사용된 점에 주목된다. 전통계승이라는 側面에서 향토무용, 민족무용을 진흥시켜 민중적 예술로서 대중의 선도적 역할을 하여야 한다는 비평적 글과 우리 춤에 대한 자각 없이 現代化라는 名分아래 주도되었던 신무용 주창자들에 대한 비판적 글도 엿볼 수는 있지만 1920년-1945년까지의 무용평문은 평문으로서의 비평적 시각이 균형잡힌 본격적 무용평문으로서의 가치는 크게 인정될 수는 없다고 결론지을 수 밖에 없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머릿글 = 1 Ⅱ. 1920 - 1930년대 무용상황 = 5 Ⅲ. 무용평문의 내용별 분류 = 10 A. 무용시평 = 18 1. 향토무용론 = 18 2. 무용진흥론 = 21 3. 무용교육론 = 25 B. 무용평론 = 27 1. 무용론 = 27 2. 공연론 = 30 3. 무용가론 = 35 C. 무용관계기사 및 자전적기록 = 45 1. 인상기 = 45 2. 무용관계기사 = 47 3. 자전적 기록 = 54 Ⅳ. 무용평문의 비평적 시각 = 60 A. 전통에 대한 시각 = 60 B. 무용을 보는 눈 = 66 C. 현대화 작업을 포함한 신무용론 = 71 D. 무용가론 = 75 1. 韓 成俊 = 75 2. 裵 龜子 = 77 3. 崔 承喜 = 82 4. 趙 澤元 = 87 5. 朴 氷仁 = 90 6. 金 敏子 = 92 Ⅴ. 결론 = 94 참고문헌 = 99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345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일제하-
dc.subject무용평문-
dc.subject무용평론-
dc.subject무용비평-
dc.title日帝下 舞踊評文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20年-1945年-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Critical Essays on Dance Performanc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e : From 1920 to 1945-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