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5 Download: 0

취학전 아동의 의복디자인 선호성과 사려성-충동성 성향과의 상관 연구

Title
취학전 아동의 의복디자인 선호성과 사려성-충동성 성향과의 상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CLOTHING DESIGN AND THE NATURE OF REFLECTIVENESS-IMPULSIVENESS FOR A GROUP OF PRESCHOOL CHILDREN
Authors
신혜봉
Issue Date
198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Keywords
아동의복디자인선호성사려성-충동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숙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not only to investigate mut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clothing design and the nature of Reflectiveness-Impulsiveness, but to offer clothing design for desirably developing of child, especially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 practical research was performed for 166 preschool children who are in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nd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sex and social class. This study used Kagan's MFFT and Personality Inventory of Hwang Eung-Yeon for the test of Reflectiveness-Impulsiveness, while for the preference of clothing design used the photo deck which is showed to children. The data analysis was based on frequency, percentage, mea,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x^(2)) test, t-test, F-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 can conclude based on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that girls rather than boys, high class children rather than middle or low class children were more reflective as a general tre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eference of clothing design, sex and social class are as follows: 1. In color, yellow and red were favored, while black and red were disgusted. From relationship between sex and favorable color, boys liked blue series and red series, while girls liked yellow series and pastel series. 2. In warm-cold color, warm color was favored. From relationship between warm-cold color and sex, girls more liked warm color than boys. 3. In color combination, similar color were favored. From relationship between color combination and sex, girls more liked similar color than boys. 4. In texture, soft one was favored, but rough one was disgusted. From relationship between favorable texture and sex, boys liked thick and rough texture, while girls liked soft and shiny texture. 5. In pattern, flower pattern and lettering pattern were favored. From relationship between pattern and sex, boys liked striped, lettering, and checked pattern while paisley pattern disgusted. Girls liked flower and dotted pattern, while lettering pattern disgusted. 6. In pattern size, from relationship between pattern size and sex, boys disgusted mall size pattern, while girls disgusted large size one. 7. In style, formal style was favored. From relationship between style and sex, boys more liked sporty style ,than gir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of clothing design and the nature of Reflectiveness and Impulsiveness is as follows : 1. In color, group of Reflectiveness liked blue series and pastel coloring series, while they disgusted red series. The group of Impulsiveness liked red series. 2. In warm-cold color, group of Reflectiveness liked cold color, while group of Impulsiveness liked warm color. 3. In color combination, group of Reflectiveness liked similar color, while group of Impulsiveness liked contrasting color. 4. In texture, group of Reflectiveness liked soft and shiny texture, while they disgusted thick and rough texture. Group of Impulsiveness liked heavy and stiff texture, while they disgusted light and crisp texture. 5. In pattern, group of Reflectiveness liked flower and lettering pattern, while they disgusted lettering and checked pattern. 6. In. pattern size, group of Reflectiveness liked small size, while group of Impulsiveness liked large one. 7. In style, group of Reflectiveness liked formal style, while group of Impulsiveness liked sporty style.;본 연구의 목적은 취학전 아동들의 의복디자인 선호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그들의 심리적 특성인 사려성-충동성 성향과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아동들에게 적합한 의복디자인 요소를 제공하고, 나아가서 아동의 의복행동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에 위치한 4개 유치원의 취학전 남·여아동과 그들의 어머니를 성별 및 사회계층을 고려하여 표집한 각각 16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아동의 사려성-충동성의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아동을 대상으로는 Kagan의 MFFT(Matching Familiar Figure Test)방법을, 어머니를 대상으로는 자녀의 사려성-충동성을 측정하는 황응연의 인성진단검사를 사용하였다. 의복디자인 선호성검사를 위해서는 본 연구자가 작성한 photo deck을 사용하였다. 조사자료에 대한 통계처리는 SAS package를 사용하여 빈도분포,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했고, χ^(2)-검증, t -검증, F -검증과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성향은, 남아보다 여아가, 중·하층아동에 비해 상층아동이 사려적 경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취학전 아동의 의복디자인 선호성과 성별·사회계층과의 관계를 보면, 1. 색상의 경우, 아동들은 노랑과 빨강색을 좋아했고, 검정과 빨강색을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비교해 보면, 남아는 파랑계열과 빨강계열을, 여아는 노랑계열과 분홍 및 하늘색의 파스텔계통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아동들은 난색과 유사배색을 좋아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여아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3. 아동들은 부드러운 질감을 좋아하였고, 거칠은 질감을 싫어하였다. 성별로 보면 남·여아 모두 부드러운 질감과 매끄럽고 광택있는 질감을 좋아하였고, 두껍고 거친질감은 여아에 비해 남아가 좋아하였다. 4. 아동들은 꽃문양, 문자문양, 줄문양을 좋아하고, 체크문양, 문자문양, 페이즐리 문양을 싫어하였다. 성별로 보면 남아는 줄문양과 문자문양을 좋아하고, 체크문양과 페이즐리 문양을 싫어한 반면, 여아는 꽃문양과 정문양을 좋아하고, 문자문양과 체크문양을 싫어하였다. 5. 여아는 남아에 비해 큰 문양을 싫어하였다. 6. 아동들은 정장스타일을 좋아하였고, 성별로 보면 활동적인 스타일의 경우, 여아보다 남아의 선호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취학전 아동의 의복디자인 선호성과 사려성-충동성 성향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1. 색의 경우, 사려성집단은 파스텔색계열과 파랑계열을 좋아하였고, 빨강계열과 무채색계열을 싫어한 반면, 충동성집단은 빨강계열을 좋아하고 무채색계열을 싫어하였다. 2. 난·한색의 경우, 사려성집단에 비해 충동성집단이 난색을 더 좋아하였다. 3. 조화색의 경우, 사려성집단은 유사배색을, 충동성집단은 대비배색을 좋아하였다. 4. 질감의 경우, 사려성집단은 부드러운 질감과 매끄럽고 광택있는 질감을 좋아하였고 두껍고 거친질감을 싫어한 반면, 충동성집단은 부드러운 질감과 무겁고 뻣뻣한 질감을 좋아하고, 비치고 깔깔한 질감을 싫어 하였다. 5. 문양의 경우, 사려성집단은 꽃문양과 문자문양을 좋아하였고, 문자문양과 체크문양을 싫어한 반면, 충동성집단은 꽃문양과 줄문양을 좋아하고 페이즐리문양을 싫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문양의 크기는, 사려성집단은 작은 문양을, 충동성집단은 큰문양을 좋아하였다. 7. 스타일의 경우, 사려성집단은 정장스타일을, 충동성집단은 활동적인 스타일을 좋아하였다. 8. 부가적 관심의 결과는 아동의 사려성-충동성을 측정하기 위해 MFFT한가지 도구를 사용하여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