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玉經-
dc.contributor.author洪性蘭-
dc.creator洪性蘭-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1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0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7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033-
dc.description.abstract1979년 1윌부터 1986년 6월까지 7년 6개월 동안의 이화여자대학병원과 서울 백병원 병리과에 의뢰되어 진단된 자궁경부선암 19례, 자궁내막선암 18례와 자궁내막증식증 44례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병리학적 분류를 한 다음, 그에 따라 면역조직화학법인 peroxidase ariti-peroxidase방법으로 조직내 CEA의 존재유무 및 그 분포양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EA에 대한 PAP 양성을 나타낸 경우는 자궁경부선암이 19례중 16례(84.2%)였고, 자궁내막선암이 18례중 12례(66.7%)였다. 자궁내막증식증의 낭포성과 선종성 증식증에서 모두 음성반응을 보였으나, 이형성증식증에서는 6례 중 1례가 국소적으로 세포 표면에서만 CEA양성반응을 보였다. 2. CEA면역조직화학적 염색에서 양성반응의 강도를 보면, 증등도 이상의 양성반응을 보인 경우는 자궁경부선암이 63.1%이었으나, 자궁내막선암은 27.8%로 자궁내막선암이 자궁경부선암에 비해 다소 낮은 CEA양성율을 보였다. 3. 질환별 CEA 양성반응의 분포양상으로 자궁경부선암과 자궁내막선암 각각에서 미만성인 경우는 12례(63.1%)와 2례(11.1%)였고, 개개 암세포의 세포질 전체에 CEA 양성반응을 나타낸 경우는 15례(78.9%)와 2례(11.1%)였으며, 세포 표면에만 분포하는 경우는 1례(5.3 %)와 10례(55.6%)였다. 4. 자궁경부선암 중 자궁내막양유형선암과 자궁내막선암에서의 CEA 염색양상을 비교해 볼 때, 양성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분포양상에서 자궁내막양유형의 경부선암과 자궁내막선암 각각에서 미만성인 경우가 5례(55.6%)와 2례(11.1%)로 차이를 보였고, 세포질 전체에 양성인 경우도 각각 6례(66.7%)와 2례(11.2%)로 서로 차이를 보여 자궁경부의 자궁내막양유형선암과 자궁내막선암의 기원세포가 다르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고 생각하였다. 이상의 연구성적을 종합하여 보면, 자궁선암을 CEA의 면역염색으로 자궁경부선암과 내막선암을 감별할 때 CEA 양성율보다는 그 양성반응의 분포양상에 더 큰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겠다. 즉, 자궁경부선암은 CEA가 미만성으로 세포질 전체에 분포하나, 자궁내막선암에서는 CEA가 국소적으로 세포 표면에 주로 분포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자궁내막의 증식증과 선암에서 서로 양성율의 차이가 있어 이는 두 질환의 감별 진단에 CEA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이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Carcinoembryonic antigen (CEA) first described by Gold and Freedman (1965) has now become one of the best known tumor markers. Although CEA was originally described as a tumor associated antigen of the colon, it is demonstrated in serum of patients with various kinds of neoplasm. In patients with gynecological malignancies, CEA is desmonstrated in the serum by radioimmunoassay and in the tissue by immunohistochemistry. The histological difference of adenocarcinoma of the uterus and endometrial hyperplasia has been a diagnostic problems and it is very important for subsequent treatment and prognosi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degree and distribution of CEA between endocervical and endometrial adenocarcinoma and to distinguish between endometrial hyperplasia and adenocarcinoma, using immunoperoxidase technique for CEA. The 19 endocervical adenocarcinoma, 18 endometrial adenocarcinoma and 44 endometrial hyperplasia (20 cystic, 18 adenomatous and 6 atypical) were studied by peroxidase antiperoxidase method (PAP) for CE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Sixteen cases (84.2%) of 19 endocervical adenocarcinoma and 12 (66.7%) of 18 endometrial adenocarcinoma revealed positive CEA immunostain. Only 1 case of the 6 endometrial hyperplasia contained CEA with moderately focal positive immunostain. All 20 cystic and 18 adenomatous hyperplasia revealed negative CEA immunostain. 2. In degree of CEA immunostain, 12 (63.1%) of endocervical adenocarcinoma and 5(27.8%) endometrial adenocarcinoma contained CEA with moderately and strongly positive immunostain. 3. In distribution, CEA was present in entire cytoplasm in 15(78.9%) and diffuse pattern in 12(63.1%) of endocervical adenocarcinoma. In contrast, CEA was focally stained in 10(55.6%) and on cell surface in 10 (55.6%). 4. Both endocervical and endometrioid types of endocervical adenocarcinoma revealed positive CEA over whole cytoplasm more frequently than on cell surface. In summary, the majority of endocervical adenocarcinoma showed abundant diffusely distributed intracellular CEA in degree of moderate and strong positivity, while endometrial adeno carcinomas contained focal small amounts of cell surface CEA. Only 1 case of the 6 atypical endometrial hyperplasia contained CEA with moderately focal immunostain. In contrast, 12(66.7%) endometrial adenocarcinoma revealed positive CEA immunostai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연구재료 및 방법 = 3 A. 연구재료 = 3 B. 연구방법 = 3 1. 병리조직학적 검색 = 3 2. CEA에 대한 immunoperoxidase 염색방법 = 4 3. 염색상의 판독 방법 = 4 Ⅲ. 연구성적 = 6 A. 자궁선암과 자궁내막증식증의 병리조직학적 분류 = 6 B. 자궁선암과 자궁내막증식증에서의 CEA 양성율 = 7 C. 자궁경부 및 자궁내막 선암의 CEA염색 반응강도와 분포 = 8 D. 자궁경부선암의 조직학적 유형에 따른 CEA의 반응강도 및 양상 = 9 Ⅳ. 고찰 = 10 결론 = 14 참고문헌 = 16 사진부도 및 설명 = 20 ABSTRACT = 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581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궁선암-
dc.subject자궁내막증식증-
dc.subjectcarcinoembryonic antigen-
dc.subject.ddc600-
dc.title자궁선암 및 자궁내막증식증의 조직내 carcinoembryonic antigen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THE CARACINOEMBRYONIC ANTIGEN IN UTERINE ADENOCARCINOMA AND ENDOMETRIAL HYPERPLASIA-
dc.creator.othernameHong, Sung Ran-
dc.format.pagevii, 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