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희경-
dc.contributor.author申祥浩-
dc.creator申祥浩-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9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4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7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476-
dc.description.abstract本 論文에서는 우리나라의 귀고리와 귀걸이에 관해서 樂浪時代부터 朝鮮時代까지 문헌과 유물을 中心으로 귀고리, 귀걸이 착용風俗과 이당, 세환식과 태환식귀고리, 파란과 금파귀걸이의양식의 변천을 考察한 것이다. 우리나라 귀고리는 樂浪時代에 漢의 영향을 받은 원시양식을 만들었고 그것이 高句麗의 기본적 양식의 귀고리로, 다시 百濟, 新羅로 전해져서 다양하고 화려한 양식의 귀고리로 發展된 것이다. 三國이 모두 기본적인 양식도 보이고 있으며 透作球體의 중간식과 心葉形의 수하식이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발달된 양식일수록 장식이 많아지고 길이도 길어졌다고 생각되며 다양한 細工術이 보인다. 金, 銀외에도 曲玉이나 유리로 장식한 것도 나타나고 있어 특이했다. 그러한 발전된 양식의 귀고리가 高麗時代에 전해지고 점차 간단한 형식의 귀고리로 변화했다고 하겠다. 朝鮮時代에 와서도 계속 貴賤에 관계없이 男女 모두 佩用되었으나 宣祖代에 이르러 風俗이 변하여 남자귀고리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여자의 귀고리도 형태가 달라져서 宮中이나 班家에서는 귀에 거는 형식의 귀걸이를 사용하였다. 파란, 금파귀걸이로 그 형태를 볼 수 있는데 銀파란과 금파, 마노가 주재료이며 고리와 술, 각색구슬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형태가 유사하여 발달상을 가리기는 어렵고 다만 天桃形안의 문양의 변화를 볼 수 있다. 民家에서는 간혹 귀를 뚫어서 귀고리를 계속 사용했다. 이렇게 착용風俗이 변하면서 三國時代의 발달된 細工術이 다소 퇴보한 듯하며 그 재료에 있어서도 金, 銀이 주로 사용되었다가, 銀製파란, 금파, 瑪瑙와 술장식, 각색의 구슬등 여러 다른 재료들을 혼합 사용하는 기법을 보여 주고 있다.;In this thesis,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earring custom and styles of our country are examined historically. From the Rak-rang Dynasty to the Yi-Dynasty, I have examined every document and remain. The fundamental earring-style of the ko-gu-kyo dynasty, which had been influenced by I-Dang, Rak-rang, had been developed into maginificent and various kinds. It is said that such earrings were transformed gradually into more simplified styles during the ko-ryo dynasty. In the period of the Yi-Dynasty, both men and women, regardless of the nobles and the means alike, had carried the earring, during king Sueng-Jo, the men's earring had disappeared, according to the custom of that time. As to the women's earring, the form of theirs had been changed extremely, and their in the court and the upper class were the earrings hanging down from ears. Among the general public, they, if not very often continued to use the form of the earrings adhered to the small holes of each ear. As the customs were changed, gold and silver as the earrings' material were varied to other materials and in the work manship of the products, there had been retrog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Ⅰ. 序論 = 1 Ⅱ. 三國以前의 귀고리 = 3 Ⅲ. 三國時代의 귀고리 = 6 A. 高句麗 = 6 B. 百濟 = 12 C. 新羅 = 17 Ⅳ. 高麗時代의 귀고리 = 37 Ⅴ. 朝鮮時代의 귀걸이 = 41 A. 文獻的 考察 = 41 B. 유물로 본 귀걸이 = 44 C. 발기로 통해본 귀걸이 = 64 Ⅵ. 結論 = 68 參考文獻 = 70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363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이식-
dc.subject귀걸이-
dc.subject귀걸이 장식-
dc.subject장신구-
dc.title耳飾考-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nsideration of the earrings through transition proces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