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효재-
dc.contributor.author오숙희-
dc.creator오숙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0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6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7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68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봉건적 사회경제 질서의 해체와 자본주의로의 이행 그리고 그 모순의 심화 속에서 한국여성들이 어떻게 반외세·반봉건적의 민족적 과제에 참가하면서 한국 여성의 주체적 의식의 발전을 이루어 왔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여성학적 관점에서 1920년대에 나타난 네 부류의 여성운동을 분석하였는데 그것은 기독교여성운동, 신여성운동, 사회주의여성운동, 근우회운동이다. 각각의 여성운동을 분석하기에 앞서 gender system을 역사분석의 주요범주로 하는 여성학적인 역사인식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자본주의가 가부장제를 이용하여 여성을 착취하는 기제를 밝힘으로써 식민지하 여성운동은 가부장제에 대한 투쟁과 민족해방투쟁을 통일적으로 전개해야 했음을 설명하였다. 기독교여성운동은 가장 오래된 역사와 조직을 가지고 계몽주의적 입장에서 여성의 근대적 의식향상에 기여했고 종교적인 봉사정신과 애국정신으로 사회문화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기독교가 갖는 보수적 여성관과 반민족적인 기독교 선교정책의 영향으로 본질적인 여성운동과 민족사회운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다. 신여성운동은 전통적인 규범에서의 인간해방이라는 자유주의에 입각하여, 여성을 억압하는 가부장제의 윤리질서에 정면으로 도전하였다. 신여성운동은 여성해방 이념에는 충실한 반면 당시 한국의 식민지 상황으로 집단적 전개기반을 얻지 못하였다. 신여성운동은 교육을 통해 여성의 자아의식이 성장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대한 도전은 분명히 여성운동상의 발전이었다. 그러나 신여성운동의 사상적 기반인 자유주의는 식민지 상황하에서 극도로 빈곤에 처한 한국여성을 해방시킬 수 있는 이념으로는 불충분했다. 1920년대 중반에 들면서 민족해방운동은 민중들의 치열한 생존권투쟁운동으로 나타났다. 여성노동자들의 용감한 노동운동이 활발히 전개되자, 사회주의 이념하의 여성운동으로 본격적인 여성해방운동이 시작되었다. 사회주의여성운동은 여성의 해방을 식민지 사회구조의 전면적인 변혁 속에서 찾음으로써 보다 발전적인 여성해방의 이론을 정립하였고 민중여성을 여성운동의 주체로 파악하는 운동상의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초기의 파벌대립과, 일제의 탄압으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지 못하였다. 1927년, 사회주의여성운동은 내부의 파벌을 청산하고 각계 여성들과의 협동전선을 이룩하여 근우회를 탄생시킴으로써 여성운동의 전선이 통일되는 큰 발전을 이루었다. 근우회는 민중여성을 운동의 주체로 하면서 여성운동을 제반사회운동의 부문운동인 동시에 독자적인 운동으로 파악하는 여성운동론을 정립하였고,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전국적으로 급속히 확장되어 갔다. 그러나 1920년대 말기부터 더욱 강고해진 일제의 탄압으로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할 수 없었다. 광주학생사건으로 핵심적 지도자가 대거 검거되자 근우회의 성격이 개량화되었고 이에 반발하는 지회들이 해소를 결의하여 근우회는 소멸되고 말았다. 이후 여성운동은 지하화되고 개별화되어 일제의 말기적 발악 속에서 표면에 드러나지 못하였다. 1920년대 여성운동을 고찰한 결과, 한국여성운동은 근대사 매계기마다 자신들의 해방욕구를 표출해 왔으며 실천을 통하여 억압에 대항하는 가운데 자기인식을 새로이 정립하는 발전적 과정을 겪어왔다. 실천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자기인식의 발전으로써 한국여성 운동은 여성해방의 의지를 한국사회의 총체성 속에서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식민지 상황의 억압현실에 대항하는 변혁 운동의 부분운동인 동시에 독자적인 운동으로 진행되었음을 알게 되었다.;The mai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clarify how Korean women had accomplished the development of their subjective consioussness participating in the anti-imperialistic and anti-federal national task under the disorganization of Korean federal social economic structure, the shifting to capitalism and many contradictions from the process of the shifting. For this objective, this study has analyzed four types of women's liberation movement appeared in the 1920's from the feminist point of view, which are Christian women's movement, New women's movement, Socialist women's movement and Keunwoohoe movement. Prior to the analyses of each women's movement, this study has explained feminist recognition of history which main category of historial analysis is gender system. And by revealation of the mechanism which had exploited women by taking advantage of patriarchy, this study has explained that women's movement in the colonial period should be developed this strifes for national liberation and patriarchy at the same time. Christian women's movement contributed on the improvement of women's modern consciousness in the enlightment's point of view and developed cultural activities by the religious servicemanship and patriotism. But, this movement couldn't be developed up to the essential women's movement and national social movement because of the conservative viewpoint and anti-national Christian missionary work of Christianity. New women's movement challenged to the ethical system of patriarchy, right in the front, which had been suppressed the women, based on liberalism emancipating human being in the traditional norm. New women's movement couldn't achieve the massive bases on development because of the colonial situation of that period, while it was faithful to the idea of women's liberation. New women's movement showed the growing of women's selfconsciousness through the education and the challenges to the patriarchial ideology was surely the progess of women's movement. However, the liberaism which was the ideological basis of new women's movement was not enough as an idea which was able to liberalize Korean women facing at the extreme poverty under the colonial ruling. Approaching to the middle of the 1920's,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was appeared in the form of the intensive strifes for the right of survival. As the brave labor movement of women workers was expanded actively, the genuine women liberation movement as women's movement under the socialism was started. Socialist women's movement established the theory of more progressive from of women's liberation by searching for it from the total renovation of colonial society structure and accomplished the development in realizing proletarian women as the subject of women's movement. But the active movement couldn't be developed because of the factional strifes at early stage and the suppression of Japanese colonial policy. In 1927, Socialist women's movement made a big progress in the unification of women's movement by establishing Keunwoohoe after clearing up all the factinal strifes and accomplishing the united front with women from each field. Keunwoohoe established the theory of women's movement by realizing the women's movement as not only a part of whole social movements but the independent movement as well. And it was rapidly spread out across the nation even under the suppression of Japanese. But, from the end of the 1920's, they couldn't expand the active movement because the suppression of Japanese became more serious. As most of the great leaders were arrested by Kwangjoo student demonstration, the characteristic of Keunwoohoe was weakened. Finally it was disppeared because the branches which were opposed to this deterioration decided to dissolve the organization. After that, women's movement became thunderground movement and individualized and couldn't be appeared in public under the extreme suppression at the end of the colonial period. The result of the study on women's movement in the 1920's shows that Korean women's movement had poured out women's desire of liberation and had accomplished the progress which newly established selfconsciousness by resisting to the suppression through the pratices. This study indicates that Korean women's movement, as a progress of selfconseciousness accomplished through the practical processes, realized the will of women's liberation more objectively in the wholeness of Korean society and was developed as not only the partial movement of the renovation movement by resisting to the suppressed reality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but also the independent movement to escape from patriarchy as wel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1 Ⅰ. 서론 = 4 A. 문제의 제기 = 4 B. 연구의 목적과 구성 = 10 C. 논문의 의의및 한계 = 12 Ⅱ. 식민지시대 한국여성운동에의 접근시각 = 14 A. 여성학적 역사연구의 방법론 = 14 B. 식민지하 여성운동론 = 24 Ⅲ. 한국여성운동의 배태 = 33 A. 반식민지·식민지하 한국여성의 존재형태 = 33 1. 여성노동의 전자본주의적 기반의 와해 = 34 2. 여성임금노동자의 형성 = 37 가. 농민층의 분해 = 37 나. 여성임금노동자 계급형성 = 40 B. 여성해방의식의 출현 = 46 1. 여성교육운동으로 나타난 여성해방의식 = 48 가. 근대적 여성관과 여성교육론 = 48 나. 찬양회와 여학교 설시통문 = 50 2. 기독교수용으로 나타난 여성해방의식 = 56 가. 기독교 전과의 배경 = 56 나. 한국여성의 기독교 수용 = 58 다. 기독교를 통한 여성의 근대적 성장 = 60 C. 여성단체의 조직과 활동 = 62 1. 애국적 여성단체 = 62 가. 여성교육계몽단체 = 63 나. 국제보상운동단체 = 67 2. 친일적 여성단체 = 70 3. 기독교 여성들의 항일독립운동 = 74 Ⅳ. 1920년대 한국 여성운동의 전개 = 78 A. 사회경제적 배경 = 81 1. 3.1운동의 의의 = 81 2. 1920년대의 사회경제적 배경 = 84 가. 사회적 변화 = 84 나. 경제적 변화 = 85 다. 사회운동의 변화 = 88 3. 1920년대 식민지 한국여성의 존재형태와 여성노동운동 = 91 가. 한국여성의 존재 형태 = 91 나. 여성노동운동 = 99 B. 기독교 여성운동 = 106 1. 기독교 여성운동의 배경 = 106 가. 기독교의 여성관 = 107 나. 한국기독교의 동향 = 109 2. 기독교 여성운동의 전개 = 111 가. 교육 계몽운동 = 111 나. 문화운동 = 116 다. 여성해방운동 = 122 라. 교회내의 여권운동 = 126 3. 기독교여성운동의 평가 = 127 C. 신여성 운동 = 129 1. 신여성운동의 배경 = 131 2. 신여성 운동의 전개 = 134 3. 신여성운동의 평가 = 147 D. 사회주의 여성운동 = 152 1. 사회주의 여성 운동의 배경 = 152 2.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전개 = 155 가.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단초 = 157 나.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본격화 = 161 다. 사회주의여성운동의 분립과 통합 = 169 3.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평가 = 174 E. 근우회 = 176 1. 근우회의 창립과 이념 = 178 가. 창립경위 = 178 나. 창립이념 평가 = 186 2. 근우회 활동의 전개 과정 = 192 가. 제 1 회 대회까지의 활동 (1927.5 ~ 1928.7) = 192 나. 제 2 회 대회까지의 활동 (1928년 7월 - 1929년 7월) = 209 다. 1930년 확대 집행위원회까지 (1929년 8월 - 1930년 12월) = 213 3. 근우회의 협동전선적 의미 = 218 4. 근우회 평가 = 231 Ⅴ. 결론 = 234 참고문헌 = 241 ABSTRACT = 2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409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여성운동-
dc.subject1920년대-
dc.subjectWomen's Liberation Movement-
dc.subject.ddc300-
dc.title한국 여성운동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920년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Korean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the Colonial Period : through the 0analysis of the 1920's-
dc.creator.othernameOh, Sook Hee-
dc.format.pageiv, 2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