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영희-
dc.contributor.author채현주-
dc.creator채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7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0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6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089-
dc.description.abstract만성질환의 일반적인 특성을 지닌 고혈압 환자는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때에도 치료를 계속하여야 하고 건강상태에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투약을 계속하여야 하기 때문에 치료기간은 장기화된다. 이같이 긴 치료기간에서는 사회 또는 의료인의 지지를 최소화하여야 하며 자가간호로서 대체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난점으로 인하여 고혈압 환자는 환자로서 지켜야 할 행위에서 쉽게 이탈하여 회복을 지연시키거나 질병을 악화시키게 된다. 또한 고혈압은 혈압이 높아진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증상이 나타난다 하더라도 점진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환자가 느끼는 정도와 신체적 건강상태 사이에는 부조화가 일어나서 환자는 긴장감과 불안정감 등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정서적 지지의 도움방법인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고, 둘째 정서적 지지의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기간은 1985년 9월 1일부터 10월5일까지였으며 서울 시내에 있는 4개 대학교 부속병원과 1개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수축기 혈압이 160㎜Hg以上이고 이완기 혈압이 95㎜Hg以上인 환자로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 즉 6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건강신념 및 지식에 관한 연구도구는 최가 개발한 결핵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이행 측정도구를 고혈압 환자에게 맞도록 수정 보완하였다. 정서적 지지는 Putt에 의해 사용된 치료적인 접근단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은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서적 지지의 효과분석 결과 정서적 지지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자가간호행위와 건강신념 및 지식변수의 측정치를 분석하여 가설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가설 : 「정서적 지지는 자가간호행위 이행도를 증가시킬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t =-0.81, p=0.421). 제2가설 : 「정서적 지지는 건강신념에 영향을 줄 것이다」는 지지되지 않았다(지각된 민감성, 심각성, t=-0.81, P=0.423 : 지각된 장애성 t=1,63, P=0.109 : 지각된 이익성 t=-1.38, P=0.175). 제3가설 : 「정서적 지지는 질병에 대한 지식정도를 증가시킬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t=-2.86 P=0.006 ). 이상의 정서적 지지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간호원에 의해 주어진 정서적 지지가 단기간에 효과를 낼 수 있었던 변수는 지식변수였다. 이에 연구자는 입원해 있는 고혈압 환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고혈압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퇴원 후 계속적인 추후건강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건강신념과 건강행위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하겠다. 2) 자가간호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제요인 자가간호행위의 이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 건강신념 변수와 질병에 대한 지식변수를 자가간호행위의 이행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중회기분석을 시도한 결과 1단계에서는 민감성,심각성 변수로 13.3%를 설명할 수 있었고, 2단계에서는 지식변수가 포함되어 18%를 설명할 수 있었다. 3단계에서는 장애성 변인이 포함되어 이 세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18.6%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혈압 환자에 대한 정서적 지지의 효과 연구에 있어서는 입원기간과 Clinic을 연결하는 종단적 연구가 필요하겠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될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on hypertensive patients' self- care behavior. The purpose was to in- crease patient compliance. The study objectives were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self-care behavior and the effect of emotional support on self-care behavior. The subjects, consisting of 60 hypertensive patients who were admitted of the medical department at four University and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City,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l ,to October 5, 1985. through questionaire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Choi Young-Bee's Self-care behavior scale for tuberculosis patient ; the instruments to measure patients' knowledge,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of illness, barriers and benefits of health care, compliance for self-care behavior were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for data was done by us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Results from analyzing the effect of emotional support 2) Factors influential on self-care Behavior: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etween compliance for self-care behavior and variables. 1 Suceptibility- Severity is the most important and significant of varriers for explaning the dependent variables. It accounts for the highest variance of patient's self- care behavior (13.3%). 2 Then taking the former together with knowledge, the variance of self- care compliance was also increase (18%). 3 And with addition of barrier to the first , two, the variance of compliance was also increased (18.6%) A hypothetical test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easurement of self-care behavior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o confirm the effect of emotional support resulted in the following: The first hypothesis that emotional support will increase self-care behavior was rejected. The second hypothesis that emotional support influence health belief was rejected. The third hypothesis that emotional support increase patients ' knowledge was supported. As a result , emotional support increased patients ' knowledge but not influenced health belief and self-care behavi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가설 = 4 D.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8 A. 자가간호행위 = 8 B. 건강신념과 건강행위 = 10 C. 정서적 지지, 신념 및 건강행위 = 13 D.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 = 15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의 설계 = 17 B. 연구 대상 = 18 C. 연구의 도구 = 19 D. 연구진행절차 = 22 E. 자료의 분석 = 22 F. 연구의 한계 = 24 Ⅳ. 연구결과 = 25 A. 정서적 지지의 효과분석 = 25 제1 가설 = 25 제2 가설 = 25 제3 가설 = 25 B.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결과 = 27 Ⅴ. 논의 = 30 A. 정서적 지지의 효과분석에 대한 논의 = 30 B.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논의 = 34 Ⅵ. 결론 및 제언 = 36 A. 결론 = 36 B. 제언 = 38 참고문헌 = 39 부록 = 49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903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서적 지지-
dc.subject고혈압 환자-
dc.subject자가간호-
dc.subject간호학-
dc.title정서적 지지가 고혈압 환자의 자가간호 행위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ON SELF-CARE BEHAVIOR-
dc.creator.othernameChae, Hyun-Ju-
dc.format.pagex,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