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信子-
dc.contributor.author金才敬-
dc.creator金才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0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7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66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700-
dc.description.abstractNowadays, we live in a Visual world and we are concerned about visual communication more and more. Visual perception is the most essential element of visual communication and is the most efficient organ of human cognition. And it is not a passive recording of stimulus material but an active concern of the mind. Visual perception, far from being a mere collector of infor-mation about particular qualities, objects, and events, is to be concerned with the grasping of genera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 the visual percept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faculty and a mechanism of the sense of vision, visual perception in visual communi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Second, the correlation of visual perception with Gestalt psychology. Third, visual perception in relation to thinking and mental images. The following is the outcome from study of visual perception. A sense of vision is the first stage, which makes to meet an organic body and environment. And it is not passive sensation but it operates selectively. Namely, active selectivity is a basic trait of a sense of vision, as it is a trait of any other intelligent concern. The great virtue of a sense of vision is that it is not only a highly articulate medium, but that its universe offers inexhaustibly rich information about the objects and events of the outer world. Therefore, a sense of vision is the primary medium of thinking. Visual perception in visual communication, it plays an important role of the translation of visual signals to message, And far form being a mechanical recording of sensory elements, visual perception prove to be truly creative apprehension of realityimaginative, inventive, shrewd. It is generally admitted that the foundations of our present knowledge of visual perception were laid in the Gestalt psychology. Gestalt psychology describes as the basic law of visual perception: Any stimulus pattern tends to be seen in such a way that the resulting structure is as simple as the given con-ditions permit. Thinking influence what we see, and vise versa. Nevertheless, the prejudicial discrimination between perception and thinking is still with us. Cognitive operations called thinking are not the privilege of mental processes above and beyond visual perception but the essential ingredient of visual perception itself. Visual perception it visual thinking. Visual perception in the thinking process include mental images. The kind of mental images needed for thinking is unlikely to be complete, colorful, and faithful replica of some visi-ble scene. Thinking calls for images, and images contain thinking.;인간의 인지 중 가장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는 시지각은 정신의 능동적 관심사로서, 인간에게 잠재되어 있는 보는 능력을 훨씬 더 개발시켜 줄 수 있다. 또한 Visual Communication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기도 한 시지각은 언어만을 매체로 할 때 포착하지 못하는 주요한 세부 내용을 포착해 내기도 한다. 뿐만아니라 시지각은 대상의 기계적인 기록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실재를 창조적으로 예민하게 파악하며, 외계의 사물과 사건에 관해 풍부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사고의 일차적 매체가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시지각이 바르게 이해되고 잘 활용된다면 교육에 있어서 가장 효율성이 크고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Visual Communication에 있어서도 시지각이 언어와 상호보완 하여 적용되었을 때, 동적이며 유의미하게 교육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가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지각에 관한 연구에 그 목적을 두고 관련 문헌을 통해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고찰하였다. 첫째, 시지각의 감관통로인 시감각의 기능과 생리적 기제에 대하여 그리고 Visual Communication에 있어서 시지각의 기능과 시지각의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둘째, 시지각 이론의 기반이 되는 형태심리학에 대해서, 특히 형태 심리학의 근간을 이루는 통찰설과 장이론의 이론적 배경과 시지각에 어떤 이론적 근거를 마련해 주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셋째, 시지각과 사고와의 관계, 사고과정에서의 심상과 시지각의 연관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지각의 감관통로인 시감각은 유기체와 환경이 눈을 통해 접촉하는 첫 단계로서 자극에 대해 수동적이 아니라 능동적이며 선택적으로 활동한다. 고로 시지각은 시감각이라는 감각기관을 통해 얻어 지는 감각내용을 소재로 한다. Visual Communication에 있어서 시지각은 시각표상화한 메시지를 시감각을 통해 받아 들여 해독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빈약하고 각기 별개인 감각자료들을 바탕으로 그 자료들을 체계화하고 의미있는 표상으로 만들에 의식에 제시한다. 시지각이론의 기반이 되는 형태심리학은 구체적인 인지법칙을 통해 인간이 사물을 그대로 지각하지 않고 더 간단하게 일정하게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지각과 사고의 관계에 있어서 시지각과 사고는 따로 분리된 과정이 아니고, 상호간에 영향을 주므로 정신이 작용하는데 있어 서로를 필요로 한다. 또한 시지각은 여러 종류의 물체와 사건들의 상을 제공함으로써 사고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준다. 그러므로 시지각은 모든 독창적 사고에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지각은 외부 대상을 있는 그대로 표현, 기록하는 것과 같은 기계적인 작용이 아니고 대상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며, 사고할 수 있도록 심상을 제공하는 인간나름의 독특한 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ⅶ Ⅰ. 緖論 = 1 A. 硏究의 意義 및 目的 = 1 B. 硏究方法 및 範圍 = 3 Ⅱ. 視感覺과 視知覺의 機能 및 特性 = 4 A. 視感覺의 機能과 生理的 機制 = 4 B. Visual Communication에서의 視知覺과 視知覺의 特性 = 8 Ⅲ. 形態心理學(Gestalt Psychology)과의 연관성에서 본 視知覺 = 16 A. 洞察說 (Insight theory) = 16 B. 場理論 (Field theory) = 20 C. 形態心理學과의 연관성에서 본 視知覺 = 29 Ⅳ. 視覺表象의 기초로서의 視知覺에 관한 硏究 = 39 A. 視知覺과 思考 = 39 B. 視知覺과 思考로서의 心像 = 47 C. 시각패턴을 통해 본 시지각의 실례 = 55 Ⅴ. 結論 = 62 參考文獻 = 66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7541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시각표상-
dc.subject기초-
dc.subject시지각-
dc.title視覺表象의 기초로서의 視知覺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VISUAL PERCEPTION ON THE BASIS OF VISUAL PRESENTATION-
dc.creator.othernameKim, Jae Kyung-
dc.format.pagevii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시청각교육과-
dc.date.awarded1983.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